• 제목/요약/키워드: survival regression

검색결과 620건 처리시간 0.031초

Trastuzumab으로 장기 생존한 진행성 위암 증례 1예 (A Case of Long Term Survival of Gastric Cancer on Trastuzumab Based Treatment)

  • 박지혜;이상길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3권1호
    • /
    • pp.39-41
    • /
    • 2015
  • HER2 양성인 진행성 위암에서 어떤 치료 약제를 선택하는가에 대하여는 진료지침이 정립되어 있지만, 그 유지기간에 대하여는 아직 정립된 진료 지침은 없다. 저자들은 진행성 위암 환자에서 36개월 동안 trastuzumab을 기반으로 한 항암화학 요법을 하여 유지하고 있는 사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hloride and lactate as prognostic indicators of calf diarrhea from eighty-nine cases

  • Gencay Ekinci;Emre Tufekci;Youssouf Cisse;Ilknur Karaca Bekdik;Ali Cesur Onmaz;Oznur Aslan;Vehbi Gunes;Mehmet Citil;Ihsan Keles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38.1-38.16
    • /
    • 2024
  • Importance: Deaths due to neonatal calf diarrhea are still one of the most critical problems of cattle breeding worldwide. Determining the parameters that can predict diarrhea-related deaths in calves is especially important in terms of prognosis and treatment strategies for the disease. Objectiv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ortality rates and durations, survival status, and predictive prognosis parameters based on vital signs, hematology, and blood gas analyses in neonatal diarrheic calves. Methods: The hospital automation system retrospectively obtained data from 89 neonatal diarrheic calves. Results: It was found that 42.7% (38/89) of the calves brought with the complaint of diarrhea died during hospitalization or after discharge. Short-term and long-term fatalities were a median of 9.25 hours and a median of 51.50 hours, respectively. When the data obtained from this study is evaluated, body temperature (℃), pH, base excess (mmol/L), and sodium bicarbonate (mmol/L) parameters were found to be lower, and hemoglobin (g/dL), hematocrit (%), lactate (mmol/L), chloride (mmol/L), sodium (mmol/L) and anion gap (mmol/L) parameters were found to be higher in dead calves compared to survivors. Accordingly, hypothermia, metabolic acidosis, and dehydration findings were seen as clinical condi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actate (odds ratio, 1.429) and CI- (odds ratio, 1.232)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ath in calves with diarrhea. Conclusions and Relevance: According to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determination of lactate and Cl- levels can be used as an adjunctive supplementary test in distinguishing calves with diarrhea with a good prognosis.

솔잎혹파리 피해임지내 수목의 외형적 인자와 관련한 수세변동과정 해석 (The Study on Vigor and External Factors of Tree in Damaged Pine Stands by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이찬용;김종국;채희문;이상배;원대성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45-52
    • /
    • 2001
  • 본 논문은 솔잎혹파리 피해임지에서 수목의 외형적인자(수고, 수관폭, 흉고직경, 지하고)와 shigometer를 이용한 전기 저항치 ($k{\Omega}$)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외형적인자와 저항치간의 관계는 수고, 수관폭, 흉고직경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고, 지하고는 뚜렷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고, 수관폭, 흉고직경은 큰 수목이 전기저항치가 낮았고(수목의 활력이 높음) 작은 수목이 전기저항치가 높았다(수목의 활력이 낮음). 솔잎혹파리 피해임지의 고사목과 생존목을 비교하면 고사목이 생존목에 비하여 수관폭과 흉고직경의 크기는 작았고, 지하고는 높았다. 전기저항치를 3등급으로 구분 한 결과(< $14{\Omega}$, 생존가능성 양호, $14{\sim}20{\Omega}$, > $20k{\Omega}$고사 가능성 있음), 외형적인자의 크기는 낮은등급(< $14{\Omega}$)에서 수고, 수관폭, 흉고직경이 컸으며, 지하고는 낮았다. 조사한 외형적인자와 수세와의 관계를 직선회귀 방정식으로 산출한 결과 Y=-0.572${\times}$수고-1.163${\times}$수관폭-0.242${\times}$흉고직경+0.757${\times}$지하고+25.765이였으며 이들의 회귀식은 5%의 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된다.

  • PDF

Genetic Variants of NBS1 Predict Clinical Outcome of Platinum-based Chemotherapy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Chinese

  • Xu, Jia-Li;Hu, Ling-Min;Huang, Ming-De;Zhao, Wan;Yin, Yong-Mei;Hu, Zhi-Bin;Ma, Hong-Xia;Shen, Hong-Bing;Shu, Yong-Qi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3호
    • /
    • pp.851-856
    • /
    • 2012
  • Objective: NBS1 plays a key role in the repair of DNA double-strand break (DSB). We conduct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wo critical polymorphisms (rs1805794 and rs13312840) in NBS1 on treatment response and prognosis of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with platinum-based chemotherapy. Methods: Using TaqMan methods, we genotyped the two polymorphisms in 147 NSCLC patients. Odds ratios (ORs) and their 95% confidential intervals (CIs) were calculated as a measure of difference in the response rate of platinum-based chemotherapy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Kaplan-Meier and log-rank tests were used to assess the differences in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hazard ratios (HRs) for PFS and OS. Results: Neither of the two polymorphism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reatment response of platinum-based chemotherapy. However, patients carrying the rs1805794 CC variant genotype had a significantly improved PFS compared to those with GG genotype (16.0 vs. 8.0 months, P = 0.040). Multivariable cox regression analysis further showed that rs1805974 was a significantly favorable prognostic factor for PFS [CC/CG vs. GG: Adjusted HR = 0.62, 95% CI: 0.39-0.99; CC vs. CG/GG: Adjusted HR = 0.56, 95% CI: 0.32-0.97). Similarly, rs13312840 with a small sample size also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PFS (CC vs. CT/TT: Adjusted HR = 25.62, 95% CI: 1.53-428.39).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NBS1 polymorphisms may be genetic biomarkers for NSCLC prognosis especially PFS with platinum-based chemotherapy in the Chinese population.

NCI-H460 폐암 유발 누드마우스 모형을 이용한 난담반의 항암 효과 연구 (Anticancer Effects of Egg White Combined-Chalcanthite on NCI-H460 Tumor Regression Model)

  • 최은아;김정근;김경순;최정은;조종관;이연월;유화승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72-277
    • /
    • 2010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effect of Egg white combined-Chalcanthite (InSan 4, IS4) in xenografted nude mice with NCI-H460 human lung cancer cell. We cultured NCI-H460 cell lines and xenografted them on nude mice. These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with dose of 45 mg/kg IS4 orally, group with dose of 90 mg/kg IS4 orally, and the control group. They had been raised and treated for 28 days. We checked their body weight, tumor weight and volume twice a week, and their absolute organ weight, microhistological observation and biochemical blood analysis at the final day by sacrificing them. We also calculated their tumor inhibition rate (IR), mean survival time and percent increase in life span (% ILS). In this study, we observed that all of the IS4 treated mice have tumor regression, dosage-depende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umor weight and volume of high dose treated mice were smallest. IR increased in IS4 in a dose-dependent manner. Mean survival time and percent increase in life span (% ILS) in high-dose IS4 treatment group were the highest of the thre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iochemical blood analysis, alanine phopsphatase (ALP), Calcium, creatinine (CRE), alanine 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transaminase (AST) levels. The urea nitrogen (UN) level results significantly decreased by IS4 45 and 90 mg/kg (IS4 45 mg/kg, IS4 90 mg/kg, p<0.01). IS4 may have potential anti-tumor effect in a solid tumor induced by NCI-H460 without remarkable side effects.

Does oral doxycycline treatment affect eradication of urin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A tertiary hospital study

  • Kim, Yoonjung;Bae, Sohyun;Hwang, Soyoon;Kwon, Ki Tae;Chang, Hyun-Ha;Kim, Su-Jeong;Park, Han-Ki;Lee, Jong-Myung;Kim, Shin-Woo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7권2호
    • /
    • pp.112-121
    • /
    • 2020
  • Background: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VRE) has become more common in nosocomial infections, especially in urine samples. However, until now, no treatment regimen has been proven to effectively eradicate urine VRE colonization. Therefor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doxycycline in eradicating urine VRE and shortening VRE isolation period, we compared VRE colony detection period between doxycycline-treated and untreated patients. Method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83 patients with VRE colonization in urine cultures was conducted at a tertiary academic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February 2018.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eradication rates in the treatment and non-treatment groups. Factors affecting urine VRE colonization persistence were analyz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overall rate of VRE eradication during the entire hospital stay was higher in the doxycycline treatment group (90.5%) than in the non-treatment group (58.1%, p=0.014).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the 5-, 10-, and 20-day cumulative eradication rates were 78.3%, 100%, and 100% in the doxycycline treatment group, and 18.5%, 45.7%, and 67.8% in the non-treatment group, respectively, thereby indicating that eradication rates were higher in the doxycyclin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non-treatment group (p<0.001). Only doxycycline treatment was shown to affect urine VRE colonization persistence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Doxycycline treatment enhanced the eradication rate of urine VRE colonization and appeared to be useful in shortening VRE isolation period.

Br${\aa}$nemark 임플란트의 15년 임상적 후향 연구 (A 15-year clinical retrospective study of Br${\aa}$nemark implants)

  • 박효진;조영애;김종은;최용근;이정열;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1-66
    • /
    • 2012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Br${\aa}$nemark 임플란트의 후향적인 연구를 통해 machined 임플란트 의 15년, TiUnite$^{TM}$ 임플란트의 5년 누적 생존율을 구하여 비교하고, 위험 요소와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8년까지 고려대 구로병원 임플란트클리닉에서 임플란트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환자의 임상기록을 토대로 조사하였고, 임플란트 일차수술 후 즉시 부하를 가한 경우와 임플란트 보철물이 다른 임플란트 시스템과 결합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15년 간 총 155명의 환자에게 541개의 Br${\aa}$nemark 임플란트 중, 264개의 machined 임플란트와 277개의 TiUnite$^{TM}$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임플란트 수술 및 보철수복 술식은 Adell 등이 제안한 방법에 따랐다. 6개월에서 1년 간격으로 Follow-up을 위한 재내원 기간 동안 임플란트에 대한 임상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관찰 기간은 1차 수술일로부터 2008년 12월 이내의 최종 내원일까지였고, 임상검사시 동요도, 타진, screw loosening, 그리고 환자의 불편감 등을 관찰하고, Zarb와 Albreksson에 의한 임플란트 생존 범주를 근거로 누적생존률을 평가하였다. 임플란트 누적생존율(CSR)이 Kaplan Meier estimate를 이용하여 얻었으며, 각각의 위험요소가 누적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alpha}$=.05). 결과: 전체 Br${\aa}$nemark 임플란트의 15년 누적생존율은 86.07%이었고, machined 임플란트의 경우 15년 누적생존율은 82.89%, 5년 누적생존율은 89.21%였으나 Tiunite$^{TM}$ 임플란트의 5년 누적생존율은 98.74%로 machined surface가 Tiunite$^{TM}$ 임플란트에 비해 실패율이 4.6배 정도 더 높았다. 전신질환을 가진 환자의 경우 실패율이 32% 더 증가하였고, 상악동 거상술 또는 골이식을 동반한 수술 등 부가적인 수술을 받은 경우 임플란트 실패율이 40% 더 증가하여 위험 요소와 임플란트의 생존율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 Kennedy 분류에 따른 부분 무치악부의 위치에 따라 임플란트 실패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으며, 소구치와 구치부가구치부가 전치부에 비해 임플란트 실패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Br${\aa}$nemark machined 임플란트와 TiUnite$^{TM}$ 임플란트는 모두 우수한 임상적 결과를 보였으나, TiUnite$^{TM}$ 임플란트가 더 성공적이었으며, 임플란트의 누적 생존율은 위험요소와 연관성이 있었다.

절제 불가능한 제 3 기 비소세포 폐암의 MVP 복합 항암요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 -추가 항암요법에 대한 임의 선택 - (Hyperfractionated Radiotherapy Following Induction Chemotherapy for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Randomized for Adjuvant Chemotherapy vs. Observation-)

  • 최은경;장혜숙;안승도;양광모;서철원;이규형;이정신;김상희;고윤석;김우성;김원동;송군식;손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2호
    • /
    • pp.295-301
    • /
    • 1993
  • 절제 불가능한 제 3기 비소세포 폐암에서의 MVP(Mitomycin C 6 $mg/m^2$, Vinblastine 6 $mg/m^2$, Cisplatin 60 $mg/m^2$) 복합 항암요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1991년 1월부터 전향성 임의 선택연구(prospective randomized study)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제 III기의 비소세포 폐암중 절제가 불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MVP 항암요법을 3 회 시행한 후 다분할 방사선 치료 (120 cGy/fx, BID)를 6480 cGy까지 시행하였다. 방사선 치료가 끝난 1개월 후 유도 항암요법에 부분 관해 이상의 반응을 보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추가 항암요법을 시행하는 군과 계속 관찰하는 군으로 임의 분류하였다. 1992년 12월까지 48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으며, 이중 3명은 항암요법후 치료를 중단하였으며, 6명은 방사선 치료중 치료를 중단하거나, 개인적 사정으로 다분할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지 못하여 39명의 환자에 대한분석을 시행하였다. 유도 항암요법을 마친 환자중 2명은 완전 관해를 보였으며, 21명은 부분 관해를 보여 MVP 유도항암요법에 대한 관해율은 $58\%$ (23/39)이었다. 항암요법에 부분관해를 보인 21명중 1명은 방사선 치료후 완전관해를 보였으며, 10명은 부분관해를 보였으나, 나머지 10명은 방사선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항암요법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16명의 환자중 9명은 방사선 치료에도 전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유도항암 요법과 다분할 방사선 치료후의 관해율은 $64\%$이었다. 방사선 치료후 19명의 환자에 대하여 추가 항암요법에 대한 임의 선택을 시행하여 이중 9명은 추가 항암요법 군으로 분류되어, 3회의 추가 항암요법을 시행하였다. 아직까지는 추가 항암요법군과 관찰군 사이에 원격전이나 생존율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은 13개월이었고, 6개월과 12개월의 생존율은 각각 $84.6\%$$53.7\%,\;40.3\%$이었다. 특히 유도항암요법에 부분관해 이상의 반응을 보였던 환자들은 무반응환자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된 생존율을 보였다(p=0.0287). 아직까지 추적 관찰기간이 짧으나, $64\%$의 높은 치료 관해율과 증가된 생존율, 그리고 합병증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는 점으로 보아 본 연구를 계속 진행함으로써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말기 암 환자에서 임상변수를 이용한 생존 기간 예측 (Prediction of Life Expectancy for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Based on Clinical Parameters)

  • 염창환;최윤선;홍영선;박용규;이혜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5권2호
    • /
    • pp.111-124
    • /
    • 2002
  • 목적 :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생존 기간이 길어졌지만, 암 발생율과 사망율은 오히려 증가하고 있어 그로 인해 말기 암 환자는 계속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말기 암 환자를 진료하는 데 있어서 환자의 생존 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로 만약 환자의 생존 기간을 예측할 수 있다면 남은 시간에 따라 환자, 가족, 의료진은 치료의 선택에 큰 차이를 보일 것이다. 이에 저자 등은 말기 암 환자에서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예후 인자를 알아내고 이들 예후 인자의 개수에 따른 생존 기간을 예측하여 말기 암 환자의 진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2000년 7월 1일부터 2001년 8월 31일 사이에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가정의학과에 말기 암으로 입원한 환자 157명을 대상으로 입원당시 환자의 임상변수 31가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환자의 의무기록과 조사된 환자의 신상기록을 가지고 2001년 10월 31일까지의 환자의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Kaplan-Meier 방법과 로그순위 검정(log-rank test)을 이용하여 임상변수에 따른 생존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Cox의 비례위험함수 모형(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임상변수 중 사망 위험도를 높이는 유의한 변수를 얻은 후 이를 예후 인자로 삼고, 이것을 와이블 비례위험함수 모형(Weibull proportional hazard function model)을 이용하여 예후 인자들의 유무에 따른 생존 기간의 평균, 중앙값 제 1사분위수 그리고 제 3사분위수를 계산하여 생존기간을 예측하였다. 결과 : 말기 암 환자 157명 중 성별은 남자가 79명(50.3%), 여자가 78명(49.7%)이었고, 평균 연령은 남자가 $65.1{\pm}13.0$세, 여자는 $64.3{\pm}13.7$세였다. 암의 종류를 보면 위암이 36명(22.9%)으로 제일 많았고, 폐암이 27명(17.2%), 대장암이 20명(12.7%) 순이었다. 의식변화, 식욕부진, 저혈압, 수행능력 저하, 백혈구 증가증, 중성구 증가증, 크레아티닌 증가, 저알부민혈증, 고빌리루빈혈증, 간효소(SGPT)치 증가, 프로트롬빈 시간(PT) 연장, 활성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연장,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등을 보이는 환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생존 기간이 짧았다. 이중 Cox의 비례위험함수 모형을 통해 수행능력 저하, 중성구 증가증, PT 연장, aPTT 연장인 경우가 환자의 사망위험도를 높이는 유의한 예후 인자로 나왔다. 생존 기간의 중앙값은 4가지 인자가 모두 있는 경우는 3.0일, 3가지만 있는 경우는 $5.7{\sim}8.2$일, 2가지만 있는 경우는 $11.4{\sim}20.0$일, 1가지만 있는 경우는 $27.9{\sim}40.0$일, 4가지 모두 없는 경우는 77일로 나왔다. 결론 : 말기 암 환자에서 수행능력 저하, 중성구 증가증, PT 연장, aPTT 연장이 사망위험도를 높이는 예후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 4개 인자를 통해 말기 암 환자에서 생존 기간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간암 환자에서 예후인자를 통한 생존기간의 예측 (Prediction of Life-expectancy for Patient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Based on Prognostic Factors)

  • 염창환;심재용;이혜리;홍영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권1호
    • /
    • pp.30-38
    • /
    • 1998
  • 배경: 간암은 우리나라에 흔한 암으로 암등록 자료($1991{\sim}1992$)에 의하면 암발생율 3위, 암에 의한 사망 원인 중 2위를 차지한다. 암환자에서 환자의 생존기간을 예측하는 것은 환자의 진료에서 환자 자신이나 가족, 의료진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간암 환자에서 환자의 생존 기간을 예측할 수 있는 예후 인자를 찾아 간암 환자의 진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1995년 1월부터 6월 사이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영동세브란스 병원에 간암으로 입원한 환자 91명(남자 73명, 여자 18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해 입원 당시 임상적인 특성 28가지를 조사하였으며, 의무기록과 동사무소 기록을 가지고 1996년 7월 31일까지 추적하여 생존 여부를 확인하였다.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임상적 특성 중 사망위험도를 높이는 유의한 변수를 얻은 후 이를 예후 인자로 삼았다. 이것을 life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예후 인자 각각이 존재할 때의 생존 기간 및 동반된 예후 인자 갯수에 따른 생존 기간을 예측하였다. 결과: 1) 원발성 간암 91명 중 남자가 73명(80.2%), 여자가 18명(19.8%)이며, 평균 연령은 $56.7{\pm}10.6$세이었고, 추적 불가능한 사람 16명을 제외한 75%명중 그 기간 사이에 사망한 사람이 57명(76%), 생존한 사람이 18명(24%)이었다. 2) 임상적인 특성 중 프로트롬빈 시간(prothrombin time) 40% 미만(RR: relative risk. 10.8), 체중감소(RR. 4.4), 고혈압의 과거력(RR. 3.2), 복수(RR. 2.8), 저칼슘혈증(RR. 2.5)인 경우가 환자의 사망위험도의 유의한 예후 인자였다(P<0.01). 3) 사망위험도 예후 인자 5가지가 모두 있는 경우는 생존 기간이 1.7일, 4가지만 있는 경우는 $4.2{\sim}10.0$일, 3가지만 있는 경우는 $10.4{\sim}41.9$일, 2가지만 있는 경우는 $29.5{\sim}118.1$일, 1가지만 있는 경우는 $124.0{\sim}296.6$일, 모두 없는 경우는 724.0일이었다. 결론: 간암 환자에서 프로트롬빈 시간의 연장(<40%), 체중감소 고혈압의 과거력, 복수, 저칼슘혈증(<8.7mg/dl) 등의 순으로 높은 사망위험도를 예측하게 하는 유의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고, 동반된 예후인자의 갯수로써 생존 기간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