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urface-approach

검색결과 2,545건 처리시간 0.038초

접착제의 구조물성과 접착특성 (Structure/Property of Adhesives and Adhesion Performance)

  • Hiroshi Mizumachi
    • 펄프종이기술
    • /
    • 제29권1호
    • /
    • pp.73-83
    • /
    • 1997
  • Most of the materials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also in our daily life are multi-component materials or composite materials, and it is well known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adhesion between the constituents within the bonded systems plays an important role. There are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evaluation tests for the bonded materials, among which tests for evaluating the bond performance under various conditions may be regarded as the most interesting ones for those engaged in work related to adhesion. I have studied on the mechanism of adhesion form the rheological standpoint with my colleagues, including some students from Korea, and I am very happy to be able to have a talk on some of our research works. In Japan, the so-called "adhesives" are usually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adhesives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PSA). Adhesives are the materials which solidify after bonding and are after used as the structural adhesives because the adhesive strength is comparatively strong. On the other hand,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never solidify and are used as PSA tapes, labels or decals. About the adhesives, we have examined the dependence of adhesive strength(shear, tensile, peel) upon both temperature and rate of deformation, and found out some empirical rules which are applicable to most of the adhesive systems. We have also developed a simplified theory of adhesion, which is deseribed in terms of mechanical equivalent mode1 and a few failure criteria. Although some of the common rules can be accounted for according to this theory, it must be pointed out that a fracture mechanical approach ms inevitable especially in the region where the meehanical relaxation time of the adhesive is extremely large [W. W. Lim and H. Mizumachi]. About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e have studied on the PSA performance (peel, tack, holding power) as a function of both the viscoelastic properties and surface chem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and found out some rules, and again we have developed a theory which deseribes the mechanism. And in addition, we have studied on the miscibility between linear polymers and oligomers, because PSA is generally manufactured by blending gums and tackifier resins. Many phase diagrams have been found and some of them have been analyzed on thermodynamic basis, and it became evident that the miscibility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PSA [H. J. Kin and H. Mizumachi]. In this presentation, I want to emphasize the fact that the adhesion performance is closely related to the structure/property of the adhesives.adhesives.

  • PDF

물질 보류 : 안료 코팅 처리를 위한 새로운 시도 (Material Retention: A Novel Approach to Performance of Pigment Coating Colors)

  • McKenzie, Ken;Rutanen, Anne;Lehtovuori, Jukka;Ahtikari, Jaana;Piilola, Teuvo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8년도 제33회 펄프종이기술 국제세미나
    • /
    • pp.47-70
    • /
    • 2008
  • Cost efficiency is today the primary requirement in the paper and board industry. This has led therefore, to a greater preponderance of products with specifically designed functionality to take account of current industry needs. Continually increasing machine coating speeds together with these new coating colour components have put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correct rheology and water retention of the coating colours to achieve good runnability and end product quality. In the coating process, some penetration of the aqueous phase, to the base paper or board must occur to anchor the pre-coating to the base or the topcoat to the pre-coat. The aqueous phase acts as a vehicle not only for the binder, but also for the other components. If this water or material penetration is not controlled, there will be excessive material shift from the coating colour to the base, before immobilization of the coating colour will stop this migration. This can result in poor machine runnability, unstable system and uneven coating layer, impacting print quality. The performance of rheology modifiers or thickeners on the coating color have tended to be evaluated by the term, "water retention". This simple term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ir performance changes during coating. In this paper we are introducing a new concept of "material retention", which takes note of the total composition of the coating colour material and therefore goes beyond the concept of only water retention. Controlled material retention leads to a more uniform z-directional distribution of coating colour components. The changes that can be made to z-directional uniformity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print quality as measured by surface strength, ink setting properties, print gloss, mottling tendency. Optical properties, such as light scattering, whiteness and light fastness delivery should also be improved. Additionally, controlled material retention minimizes changes to the coating colour with time in re-circulation giving less fluctuation in quality in the machine direction since it more closely resembles fresh coating for longer periods. Use of the material retention concept enables paper and board producers to have more stable runnability (i.e. lower process costs), improved end product quality (i.e. better performance of used chemicals) and/or optimized use of coating colour components (i.e. lower total formulation cost)

  • PDF

춘천 중도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토기 탄착물에 대한 화학적 분석 (Organic Analysis of Charred Residues on the Pottery in the Proto-Three Kingdom from Joong-do Site, Chuncheon)

  • 강소영;지상현;김윤지;장홍선
    • 보존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37-444
    • /
    • 2013
  • 춘천 중도 유적에서 출토된 원삼국시대 경질무문토기 내부의 탄화된 물질에 대한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과 퓨리에변환적외선분광분석을 이용하여 부착물에서 유래한 유기물의 정성분석을 수행한 결과, 지방산, 스테롤 등 지방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탄소와 질소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부착물을 구성하고 있는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평균 $-14.7{\pm}2.8$‰ (-8.7‰~-18.4‰, n=9),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는 평균 $6.2{\pm}1.1$‰(-4.4‰~-7.6‰, n=9)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부착물이 조리된 음식물에서 유래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조리용 토기 내 탄화된 잔존물 분석에 적용한 국내 첫 사례로서 당시의 토기 용도와 식생활 습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세종 합강리 유적 출토 고대 유리구슬의 특성 연구 (A Characteristics on the Ancient Glass Beads Excavated from the Site of Hapgang-ri in Sejong, Korea)

  • 김은아;김규호;강지원;윤천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05-420
    • /
    • 2020
  • 본 연구는 세종 합강리 유적을 중심으로 발굴 유적과 유물을 조사한 고고학적 접근과 주구토광묘 15호에서 유일하게 출토된 유리구슬의 표면, 단면, 조성 특성을 분석한 보존과학적 접근으로 구분하여 융합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묘의 형태와 출토유물을 통한 고고학적 연구에서 합강리 유적은 주구토광묘의 등장 시기가 2세기 후엽부터이고 유리구슬이 출토된 주구토광묘 15호 편년은 2세기 후엽~3세기 초엽으로 추정할 수 있다. 유리구슬 완형은 형태, 색상 및 제작기법을 파악하고 유리구슬편 16점은 단면관찰과 화학 조성을 분석한 결과에서 청색 계통은 감청색과 자색으로, 적색 계통은 적갈색으로 구분되며 세부 색상에서 청색 계통은 광택과 명도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하나 적색 계통은 균일도가 높게 나타난다. 제작기법은 표면의 줄무늬와 기포배열에서 늘인기법으로 확인되며 구슬 양 끝부분에서 열처리나 연마 흔적도 관찰된다. 유리구슬 편 16점의 화학 조성은 포타쉬유리군 3점과 소다유리군 13점으로 분류된다. 소다유리군 13점에 대한 안정제 특성은 청색과 적색 계통에 따라 구분된다. 이중에서 적색 계통의 안정제 특성은 지금까지 다른 지역에서 확인된 적갈색 유리구슬과 다른 조성으로 구분되는 점이 특이하다. 착색제는 청색 계통이 MnO 성분을 함유한 코발트(Co), 그리고 적색 계통은 구리(Cu)와 철(Fe)이다.

설마천유역 혼효림에서 실측된 증발산과 토양수분을 이용한 SWAT모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Soil Moisture of SWAT Simulation for Mixed Forest in the Seolmacheon Catchment)

  • 조형경;이지완;신형진;박근애;김성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9-297
    • /
    • 2010
  • 국내 수문관측자료의 부족으로SWAT(Soil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의 적용성 평가는 대부분 유출자료만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실측된 여러 수문자료가 SWAT수문모형의 불확실성 및 오차의 감소를 위해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형적인 산지 유역인 설마천 유역을 대상으로 준분포형 장기강우유출모형인 SWAT 모형을 적용하여 수문성분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먼저 모형의 입력자료인 기상자료 및 지형자료를 획득하여 구축하였고, 모형의 검 보정 위하여 유출, 증발산, 토양수분 실측자료를 획득하였다. SWAT 모형은 유츨량, 증발산, 토양수분 자료가 동시에 측정된 2007년 자료를 사용하여 보정된 후, SWAT 모형의 모의값은 유출량은 2003~2008년, 증발산과 토양수분은 2008년의 관측값과 비교, 분석한 뒤 전체적인 검증을 통해 모형의 적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출량의 검 보정 이용한 모의결과보다 다른 실측자료를 이용한 모의결과가 신뢰성이 높게 나타났다(결정계수($R^2$) 상향: 유출량은 0.72에서 0.76, 토양수분은 0.49에서 0.59, 증발산은 0.52에서 0.59). 유역의 실제적인 상황을 근접하게 모의하기 위해서는 다른 수문성분의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자료의 구축과 적용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Bombina orientalis 피부손상 후 과립선 재생에 관한 미세구조적 연구 (Fine Structural Approach of Granular Gland Regeneration after Skin Injury in Bombina orientalis)

  • 정문진;임도선;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3호
    • /
    • pp.275-284
    • /
    • 2002
  • 두꺼비 등 피부손상 후 과립선의 재생과정을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절개에 의하여 피부손상을 가한 후 실험을 위하여 특수히 제작된 cage 내에서 최대 20일간 사육하였다. 투과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손상 4일 후 미성숙 형태의 신생 과립선이 관찰되었으며, 상피세포는 신생 과립선의 첨단부로 이동하여 있었다. 상피세포의 표면은 편평하였으며 desmosome 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미토콘드리아를 많이 함유한 세포돌기 (MRC)들이 선의 내강을 형성하고 있었고, 이들 돌기에서는 hemidesmosome이 관찰되었다. 신생선의 기저강은 MRC, 과립형성전세포 및 과립형성 세포 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특히, 손상 후 10일에 xanthophore가 상피세포의 기저부로 이동하여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들 세포는 다수의 크기가 큰 pterinosome 과 중등도의 전자밀도를 가진 carotenoid vesicle을 포함하고 있었다. 손상 후 13일에, xanthophore는 많은 carotinoid vesicle과 lammelated pterinosomes을 포함하고 있었다. Iridophore는 손상 16일에 분화중인 xanthophore 주변에서 관찰되었다. 이러한 소견은 손상으로부터의 회복 과정에 선조세포(glandular precursor cell)로부터 과립선이 재생되며, 선세포의 팽대는 이들 신생 세포의 성숙 및 증식에 의한 것을 의미한다.

나노섬유 방사노즐 설계를 위한 거미 실크 방적장치의 생체모사 분석 (Biomimetic Analysis on the Spider Silk Apparatus for Designing the Nanofiber-spinning Nozzle)

  • 문명진;김훈;박종구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2호
    • /
    • pp.67-76
    • /
    • 2012
  • 고강성 나노섬유 생산이 가능한 전기방사장치 방사노즐의 설계를 위해 자연을 모방하는 공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무당거미(Nephila clavata L.Koch) 대병상선의 토사관과 그 생체방적 시스템이 지닌 미세구조적 특성을 고해상도의 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 분석하였다. 자연계에서 가장 강도가 높은 드래그라인을 생성, 분비하는 대병상선의 토사관은 bullet type spigot을 통해 전방적돌기 표면에 개구되어 있었으며, 신축성 구조를 지닌 토사관 말단마디의 노즐을 통해 고체상의 실크가 생성되었다. 분비낭과 토사관 사이를 연결한 분비관은 루프를 형성한 후 방적돌기에 수납되었고, 분비관 내강의 직경은 점진적으로 축소되어 노즐을 통해 방사되는 실크의 직경은 펀넬 부위의 1/10 이하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실크 중합과정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큐티클의 특수구조가 관찰되었는데, 분비낭의 펀넬 부위에서는 해면상 큐티클 구조가 그리고 분비관의 말단부에서는 비후된 subcuticle 구조와 함께 잘 발달된 상피의 미세융모 층이 확인되었다. 또한 분비관의 내강부 큐티클 표면에서 확인된 나선형 강선구조는 실크 전구물질의 신속한 유동을 촉진하는 장치일 것으로 해석되었다.

성견 치계줄기세포 및 골수줄기세포 특성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f postnatal stem cells from canine dental tissue and bone marrow)

  • 진민주;김영성;김수환;김경화;이철우;구기태;김태일;설양조;구영;류인철;정종평;이용무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9권2호
    • /
    • pp.119-128
    • /
    • 200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emness of cells from canine dental tissues and bone marrow. Methods: Canine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PDLSC), alveolar bone stem cells (ABSC) and bone marrow stem cells(BMSC) were isolated and cultured. Cell differentiations (osteogenic, adipogenic and chondrogenic) and surface antigens (CD146, STRO-1, CD44, CD90, CD45, CD34) were evaluated in vitro. The cells were transplanted into the subcutaneous space of nude mice to assess capacity for ectopic bone formation at 8 weeks after implantation. Results: PDLSC, ABSC and BMSC differentiated into osteoblasts, adipocytes and chondrocytes under defined condition. The cells expressed the mesenchymal stem cell markers differently. When transplanted into athymic nude mice, these three kinds of cells with hydroxyapatite /${\beta}$- tricalcium phosphate (HA/TCP) carrier showed ectopic bone formation.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anine dental stem cells have stemness like bone marrow stem cells. Transplantation of these cells might be used as a therapeutic approach for dental stem cell-mediated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정량 광유도 형광법(QLF)과 광활성제를 이용한 초기 치아우식증의 진단 (Diagnosis of Early Dental Caries with Dye-Enhancing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 김미희;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8-22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전 법랑질과 우식 병소의 형광 차이를 증진시켜 QLF의 영상학적인 진단강도를 높이고, QLF로 촬영한 이미지 상에서 착색과 우식병소를 감별하기 위해 형광 염색제인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접목하여 사람 치아의 법랑질 표면에 유발된 초기 우식병소를 평가하는데 있다. 치아우식증이나 균열이 없는 최근 발거된 소구치 및 제3대구치를 대상으로 하여 치아의 평활면을 $6mm{\times}3mm{\times}3mm$ 크기로 절단한 후 아크릴 주형에 매몰하였고, 시편 표면적의 1/2에 nail varnish를 도포하여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시편은 무작위로 15개씩 총 6개 탈회그룹(6, 12, 24, 48, 72, 96시간)으로 나누었다. 시편을 각 시간에 맞게 탈회시키고 생리 식염수로 세척한 후 QLF-D를 이용하여 탈회 정도(${\Delta}F$)를 측정하고 0.075%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적용한 후 세척하고 ${\Delta}F$ 값을 측정하여 그 값을 비교하였다. 시편의 중앙 부위를 삭제하고 연마하여 주사전자현미경 상으로 영상을 저장한 후 병소 깊이를 측정하였다. QLF를 이용하여 관찰한 우식병소는 건전 법랑질보다 어둡게,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도포한 후 QLF로 관찰한 우식병소는 건전 법랑질보다 밝게 관찰되었으며 탈회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형광염료는 더 많이 침투하였다.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적용한 후 측정한 ${\Delta}F$ 값은 염색 전과 비교하여 모두 증가하였다(p < 0.05). QLF 수치와 병소 깊이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선형 방정식을 추출하였다. 따라서 플루오레세인나트륨을 접목시킨 QLF 측정은 임상적으로 초기우식을 감지하고 분류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QLF로 촬영한 이미지에서 우식병소와 착색을 감별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거리독립 해양환경에서 고속이동 음원의 고주파 잔향음 신호모의 (High-frequency Reverberation Simulation of High-speed Moving Source in Range-independent Ocean Environment)

  • 김선효;이원병;유승기;최지웅;김우식;박정수;박경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4-115
    • /
    • 2013
  • 천해 환경에서 고주파 능동소나를 운용할 경우 각 경계면에서의 잔향음 및 도플러 효과는 소나 운용에 제한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잔향음 제한 환경에서 소나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그 환경 조건에서 발생하는 잔향음 준위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거리 독립 환경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음원에서 수신되는 잔향음 신호를 모의할 수 있는 고주파 잔향음 모델을 제안한다. 본 모델에서는 음선 이론과 음선 송신각 최적화 방법을 이용하여 음원에서 각 경계면까지의 고유음선 정보를 계산하고, 이동하는 음원에 의해 변화된 음원 수신 위치는 음속 그리고 음원의 방향 및 속도를 고려한 산란경로 탐색 알고리즘에 의하여 계산된다. 또한 해수면 및 해저면에서의 산란 효과는 APL-UW 산란 모델을 적용하여 고려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잔향음 모델은 2010 년 8월 측정된 실험과 비교 검증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잔향음 모델은 잔향음 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잘 반영하도록 개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