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wipe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Frictional Characteristics of Woven and Nonwoven Wipes

  • Das A.;Kothari V. K.;Mane D.
    • Fibers and Polymers
    • /
    • 제6권4호
    • /
    • pp.318-321
    • /
    • 2005
  • Demand for the fabric wipes is growing continuously. Wipes in industry are used for cleaning purpose. Cleaning involves rubbing action, so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how much frictional force is encountered during the cleaning action.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normal load, sliding speed on frictional characteristics of nonwoven and woven wipes, both dry and wetted with different liquids, against glass and floor tile surfaces have been reported. With the increase in the normal loa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goes on decreasing for both nonwoven and woven wipes and this trend is observed in both dry and wet wip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of both nonwoven and woven wipes against glass surface is in general higher than the floor tile surface. The wipes wetted with water shows an increase in coefficient of friction as compared to dry sample, but there is reduction in the coefficient of friction when the wipe samples are wetted with vegetable oil. In case of dry wipes,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n case of nonwoven wipe is higher than the woven wipe. In case of woven wipes, the ranges of coefficient of friction either due to change in liquid type, normal load or sliding speed are in general smaller than that in case of nonwoven fabrics.

항균티슈와 물티슈 사용에 따른 시간별 세균 수 변화의 차이 (Amount of bacteria over time according to the use of antibacterial and wet wipes behavior)

  • 한수민;김은지;서문혜지;임수민;한지영;궁화수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27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time for re-detection of bacteria after surface disinfection using wet wipes, isopropyl alcohol, and benzalkonium chloride antibacterial tissue and provide standards for re-execution of surface disinfection with wet and antibacterial tissues. Methods: Seven laptops were wiped with wet tissue and isopropyl alcohol and benzalkonium chloride antibacterial tissues. Test areas were rubbed with a sterile cotton swab at baseline and after 30, 60, and 120 min. After plating on a tryptic soy agar medium, the number of colonies was counted by culturing at 36.5℃ for 24 h. Results: The average number of bacterial colonies was 5.85 ± 4.33 before isopropyl alcohol wiping and nil after wiping. The average number of bacterial colonies was 12.28 ± 14.67 benzalkonium chloride wiping and nil after wiping. Before wiping with wet wipes, the average number of bacterial colonies on laptop surfaces was 3.42 ± 5.22. Bacteria decreased after wiping with wet wipes but increased again over time. Conclusions: Wet wipes can temporarily reduce bacteria but are unsuitable for removing bacteria.

Health Risks Assessment in Children for Phthalate Exposure Associated with Childcare Facilities and Indoor Playgrounds

  • Kim, Ho-Hyun;Yang, Ji-Yeon;Kim, Sun-Duk;Yang, Su-Hee;Lee, Chung-Soo;Shin, Dong-Chun;Lim, Young-Wook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6권
    • /
    • pp.8.1-8.9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assessed the health risks for children exposed to phthalate through several pathways including house dust, surface wipes and hand wipes in child facilities and indoor playgrounds. Methods: The indo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children's facilities (40 playrooms, 42 daycare centers, 44 kindergartens, and 42 indoor-playgrounds) in both summer (Jul-Sep, 2007) and winter (Jan-Feb, 2008). Hazard index (HI) was estimated for the non-carcinogens and the examined phthalates were diethylhexyl phthalate (DEHP), diethyl phthalate (DEP), dibutyl-n-butyl phthalate (DnBP), and butylbenzyl phthalate (BBzP).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se four kinds of samples, i.e., indoor dust, surface wipes of product and hand wipes. Results: Among the phthalates, the detection rates of DEHP were 98% in dust samples, 100% in surface wipe samples, and 95% in hand wipe samples. In this study, phthalate levels obtained from floor dust, product surface and children's hand wipe samples were similar to or slightly les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50^{th}$ and $95^{th}$ percentile value of child-sensitive materials did not exceed 1 (HI) for all subjects in all facilities. Conclusions: For DEHP, DnBP and BBzP their detection rates through multi-routes were high and their risk based on health risk assessment was also observed to be acceptable. This study suggested that ingestion and dermal exposure could be the most important pathway of phthalates besides digestion through food.

대중음식점 일회용 물티슈의 세균 오염도 조사(2) (Bacterial Contamination in Disposable Wet Wipes in General Restaurants 2nd)

  • 정무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23-27
    • /
    • 2022
  •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대중음식점에서 제공하는 일회용 물티슈를 대상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정하는 표시사항을 준수하는지 여부와 세균의 오염도를 평가하였다. 일회용 물티슈 32종류 중 5 종류의 일회용 물티슈는 영업소의 명칭 및 소재지가 표기되어 있지 않았다. 제조연월일과 유통기한은 12 종류의 물티슈만 표시 되어있었다. 일회용 물티슈 32종류 중 9종류의 물티슈에서 세균 집락이 배양되었으며, 23종류(71.9%)의 물티슈에서는 세균이 배양되지 않았다. 세균을 동정한 결과 그람양성알균은 Staphylococcus haemolyticus 4균주, Staphylococcus hominis 1균주, Staphylococcus warneri 3균주, 그람음성막대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1균주로 동정되었다. 동정된 그람양성알균 8균주에 대한 항균제감수성검사를 시행한 결과 oxacillin, vancomycin 감수성으로 MRCNS(methicillin resistant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동정된 그람음성막대균 1균주에 대한 항균제감수성검사 결과는 imipenem, meropenem에 모두 감수성으로 다약제내성균은 아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위생용품으로 지정된 일회용 물티슈 개별 포장지 겉면에 반드시 제조년월일과 유통기한을 표기하고, 보관기준을 준수하여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티슈를 사용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개선방안 및 개인 위생관리 및 국민보건 수준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손소독제(겔형, 액제형, 와이프형)의 효능 평가법 개선: 평가 전략 연구 사례 및 손 균총 정보 활용 등 최근 동향 (Improvement of the Efficacy Test Methods for Hand Sanitizers (Gel, Liquid, and Wipes): Emerging Trends from in vivo/ex vivo Test Strategies for Application in the Hand Microbiome)

  • 오윤;송지섭;박한솔;이영훈;신진송;박다솜;남궁은;조태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11
    • /
    • 2023
  • 피부를 대상으로 한 살균을 목적으로 하는 외용소독제의 경우 식품 취급자에 오염된 미생물의 사멸 또는 제거를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최근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제품 소비 증가와 제품 다양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살균 효능은 소독제의 핵심 품질 평가 요소로서 수행 절차 및 조건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시험법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총설논문에서는 주요 제형별(겔형, 액제형, 와이프형) 시험법 개발 현황을 파악하고 시험법별 특장점 분석 결과와 최근 관련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향후 효능 평가 체계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체 대상 시험법의 경우 시험 유형에 따라 소독제를 시험 대상 피부 표면에 처리하는 조건이 다양화되어 있어 시험법 간 동등성에 대한 평가를 통해 소독제 제품의 성분이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시험 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되는 적절한 평가 체계 및 관련 규제의 표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특히 와이프형 소독제의 경우 처리 방식이 미생물 제거 및 살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피부에 노출하는 손 대상 처리를 위한 사용 패턴의 표준화 사례가 부족 하였다. 한편 [전처리 - 소독제 노출 - 미생물 회수] 등 각 시험 절차별로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결정 요인을 발굴하는 연구의 지속 수행을 통해 기존 시험법을 개선하고 신규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최근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ex vivo 시험법은 인체 시험의 제한적인 연구 재현성과 같은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인간 피부 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적용을 통해 연구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손 피부를 대상으로 한 균총 연구 등 소독제 처리 전후 미생물의 특성과 분포 분석 관련 연구가 최근 다수 보고되고 있어 이를 활용한 미생물 군집 단위의 소독제 효능 평가 시험법의 확립이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소독제 효능 시험법의 현황 기반 발전 전략은 보다 효과적인 개인위생 관리 확립을 통해 손을 통해 교차 오염되는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 발생을 최소화하여 공중보건 및 식품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차량수리업에서 사용하는 이소시안계 페인트에 의한 피부와 눈의 노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ermal and Ocular Exposure to Isocyanate-Based Paints in Crash Repair Workshops)

  • 이수길;디노 피사니엘로;이내우;마이클 차카츠크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2-78
    • /
    • 2009
  • 차량수리작업장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HDI의 노출은 직업성 천식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비록 피부나 눈의 오염이 흡수경로로 고려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폭로에 관한 작업장의 노출허용 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많은 실험 자료들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피부, 눈 그리고 호흡보호구와 눈보호구의 표면에 대한 HDI의 오염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손잡이, 작업대 그리고 분사건과 같이 다양한 오염표면이 있다는 것도 명확히 하였다.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의 분사임에도 불구하고 목, 이마, 손등, 팔과 손목 등에서 채취한 시료의 많은 부분(47~80%)이 HDI오염에 양성이었다. 분사실 내부에서의 오염정도는 좋지 못한 작업여건이나 보호경과 같은 부적절한 개인보호구 때문에 분사실 외부의 오염정도보다 일반적으로 높다. 경험이 있는 페인트 공보다 초보자들의 폭로수준이 높은 것은 안전이나 보건의식의 결여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고, 보호구내부의 오염 정도는 호흡기관, 피부 및 눈의 잠재적인 노출을 야기할 것이다. 작업자 14명중에서 4명의 눈물시료로부터 HDI양성반응을 보였으며, 이것은 부적절한 눈 보호구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호흡기의 과민반응을 포함한 건강징후에 관여되는 피부와 눈의 노출 잠재성을 고려해볼 때 실질적 자료는 작업자들의 근무여건개선, 적절한 보호구의 선택과 사용 그리고 관리의 중요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