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port element

검색결과 1,174건 처리시간 0.03초

임의의 탄성 경계 지점으로 지지된 판과 쉘의 기하학적 선형 및 비선형해석 (Geometrically Linear and Non-linear Analysis of Plates and Shells Resting on Arbitrary Elastic Edge Supports)

  • 이원홍;한성천;박원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1-21
    • /
    • 2008
  • 여러 가지 하중을 받는 임의의 탄성 경계 지지된 판과 쉘의 기하학적 선형 및 비선형해석을 수행하였다. 가정변형률 9절점 쉘 요소를 이용하였으며, 임의의 탄성 경계 지지를 표현하기 위해 6개의 자유도를 갖는 스프링 요소가 사용되었다. 탄성 경계지지 구조물 해석의 응용을 위하여, 여러 형태의 단부 지지를 받는 판과 쉘이 분석되었으며, 이들 단부 지지에 대한 휨 거동을 정확히 얻을 수 있었다. 6개의 스프링으로 표현된 탄성 경계 지지 조건에 대하여 적절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해석 결과로부터 본 연구의 해석 방법이 임의의 탄성 경계 조건을 갖는 판과 쉘의 거동을 해석하는데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상생활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Daily Living Factor on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the Aged)

  • 리해근;하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80-292
    • /
    • 2012
  • 본 연구는 노인의 일상생활요인(사회적지지, 경제상태, 건강상태, 여가활동, 의사소통, 소비활동)이 영역별 삶의 만족도(자아존중, 대인관계, 정서상태, 신체건강, 경제생활) 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및 t-test, ANOVA, 분산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도 차이는 성별을 제외한 분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요인과 영역별 삶의 만족도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노인의 일상생활요인이 영역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아존중 만족도는 사회적지지와 여가활동이 영향요인으로, 대인관계 만족도와 신체건강만족도의 경우 사회적지지, 여가활동 및 건강상태가 영향요인이었고, 정서상태만족도는 의사소통, 경제생활 만족도는 경제상태, 의사소통 및 소비활동이 영향요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roduct Life Cycle Support Initiative Protecting and exploiting your investment in product data

  • Mason, Howard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1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499-520
    • /
    • 2001
  • ◈ B2B e-commerce is set to grow significantly in the next 5 years ◈ There is a growing trend towards leveraging the information asset to win new business in the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MRO) market ◈ After-market service is forecast to be a significant element of the B2B market ◈ Existing standards do not fully address the product support requirement ◈ PLCS standards will allow support information to be aligned with the changing product over its entire life cycle ◈ Adoption of PLCS standard will lead to reduced operating costs and increased product availability.(omitted)

  • PDF

회전축계의 진동해석을 위한 지지구조물의 등가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quivalent Model of the Support Structure for Rotordynamic Analysis)

  • 최복록;박진무
    • 소음진동
    • /
    • 제10권1호
    • /
    • pp.153-159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 for including the dynamic stiffness of the stationary parts in rotordynamic analysis. As a consequence of the support dynamics, critical speeds are varied and/or additional critical speeds are introduced. Therefore, dynamic effects of the support are often significant in high speed turbomachinery, but most of analysis has considered the support as a rigid body or a simple structure.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coupled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point and transfer frequency response functions of the support system to model the equivalent spring-mass series in finite element analysis.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simulation procedures provided, it is applied to the rotor model of the double suction centrifugal pump. Results of the suggested equivalent-support rotor model including coupled effects agree well with the entire pump model.

  • PDF

하이브리드 해상풍력 파일 기초 콘크리트 지지구조(MCF) 개발 (New Development of Hybrid Concrete Support Structure with Driven Piles for Offshore Wind Turbines)

  • 김현기;김범준;김기두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307-320
    • /
    • 2013
  • 기존 해상풍력발전 지지구조물의 단점을 보완한 신형식의 파일 기초 하이브리드 지지구조물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이 지지구조는 콘크리트 자중을 이용한 중력식 기초의 개념으로부터 수정되어 4개의 파일로 지지되며, 강재 샤프트와 원추형 콘크리트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형식이다. 규모가 크고 두꺼운 콘크리트의 3차원 해석을 위해, 정확한 기하형상 모델링과 응력의 절점 보간이 가능한 솔리드-쉘 입체요소를 개발하였다. 해양구조물 전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XSEA에 탑재된 솔리드-쉘 요소와 Stream Function 파랑 이론을 적용하여, 제안한 하이브리드 지지구조물에 대해 서남해안 지역의 환경조건을 적용한 준정적 해석 및 고유진동수 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수평변위가 허용변위 이내로 나타났고, 고유진동수 해석을 통해 하이브리드 구조형식의 동적거동에 대한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결과적으로, 파일지지 하이브리드 지지구조물은 우리나라 서남해안 지역과 같이 연약지반에 적용 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정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 되었고, 각 부재에 대한 최적화 연구를 통해 경제성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페트로프-갤러킨 자연요소법 : II. 선형 정탄성 해석 (The Petrov-Galerkin Natural Element Method : II. Linear Elastostatic Analysis)

  • 조진래;이홍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13-121
    • /
    • 2005
  • 무요소기법이 공통적으로 내재하고 있는 수치적분의 부정확성을 해결하기 위해, 페트로프-갤러킨 자연요소법이라 불리는 향상된 자연요소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라플라스 기저함수를 시도 형상함수로 사용하는 반면, 시험 형상함수로서 델라우니 삼각형이 지지영역이 되는 함수를 새롭게 정의한다. 이러한 접근은 통상적인 적분영역과 적분함수 지지영역간의 불일치를 제거하게 하며, 이는 적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수치적분의 정확성을 보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2차윈 선형 탄성의 대표적인 검증문제를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비교를 위해 기존의 부브노프-갤러킨 자연요소법과 일정 변형률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해석을 동시에 수행한다. 조각 시험과 수렴율 평가를 통해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다.

광조형의 지지대 구조에서 Strand 간격 변화에 대한 파트형상 변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t Deformation by Strand Spacing Change in Support Structure of Stereolithography)

  • 안대건;하영명;이석희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3-756
    • /
    • 2005
  • Rapid prototyping (RP) technologies are mainly performed by layered manufacturing (LM) process which manufactures 3D physical objects by depositing 2D sections in a direction. Thus, deformations are apt to occur in overhanging area of the RP processed part. Also, excessive adhesion between part and platform of the RP apparatus is generated. In order to prevent these problems, most of the RP technologies adopt support structure. Main element to support a part in the support structure is strand. In actual field, however, the number of strand is determined by the software operating reference guide or RP system operator's experience. In this paper, a methodology to determine the optimal strand spacing is presented through experiments and measurements for the SL part deformation by change of strand spacing and part weight in the support structure of the stereolithography.

  • PDF

지지구조물의 동특성을 고려한 회전축 모델의 진동해석 (Vibrational Analysis of Rotor Model considering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Support Structure)

  • 최복록;박진무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25권4호
    • /
    • pp.555-563
    • /
    • 2001
  • Support dynamics are often important in rotordynamic analyses. It may well happen in real situation of machines such as centrifugal pumps or turbines operating on flexible structure. This paper presents the applications of the impedance coupling method and the improved rotor model for including the support effects on the interaction with the rotor. The impedance coupling techniques are based on the FRFs of each substructure. Its dynamic stiffness matrix can be assembled to generate the system matrix, which satisfy the constraint conditions in the connection coordinates. And, the improved rotor uses the simplified spring-mass models as support properties. The equivalent support models are directly incorporated into the finite element rotor model. To verify the suggested analytical procedures, the results are compared to those of the pump system.

해상풍력터빈 트라이포드 지지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 기법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Technique for Tripod Support Structure of Offshore Wind Turbine)

  • 이종원
    • 풍력에너지저널
    • /
    • 제9권4호
    • /
    • pp.16-23
    • /
    • 2018
  • A damage detection method for the tripod support structure of offshore wind turbines is presented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 finite element model of a prototype tripod support structure is established and the modal properties are calculated. The degree and location of the damage are estimated based on the neural network technique using the changes of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 due to the damage. The stress distribution occurring in the support structure is obtained by a dynamic analysis for the wind turbine system to select the output data of the neural network. The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for 36 possible damage scenarios were used for the input data of the learned neural network for damage assessment. The estimated damages agreed reasonably well with the accurate ones. The presented method could be effectively applied for damage detection and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of various types of support structures of offshore wind turbin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