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ovulation

검색결과 194건 처리시간 0.024초

랫드 배아 조작 효율 향상을 위한 배양 조건 (Culture Conditions for Improving Manipulation Efficiency of Rat Embryo)

  • 이지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73-179
    • /
    • 2023
  • Rats ar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animals in biomedical sciences because their metabolism and physiology are comparable to humans. In recent years, gene-targeted models have been developed using various animal species utilizing engineered nucleases such as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CRISPR-associated gene (Cas). It has recently become possible to efficiently transfect CRISPR/Cas into embryos via electroporation. However, electroporation can damage fertilized egg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optimal embryo culture conditions. A standardized approach for routine and reproducible rat transgenesis will render rat models more accessible for research. We performed experiments to obtain rat embryos with efficient superovulation and synchronization, an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 medium conditions for pronuclear stage embryos subjected to electroporation stimul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engineered nuclease.

가토에 있어서 정자 및 정장의 항원성과 이의 항체가 수정에 미치는 영향 II. 항체가 과배란 및 수정율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Antigenicities of Sperm and Seminal Plasma, and Effects of Their Antibodies on Fertilization in Rabbit II. Effects of isoantibodies on rate of superovulation and fertilization)

  • 이용우;김창근;정영채;서경덕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3-72
    • /
    • 1987
  • 정자와 정장의 항체가 정상 및 면역가토의 과배란과 수정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시도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면역가토에서의 과배란처리에 따른 평균배란점은 정자와 정장처리구에서 각각 22.9와 25.3개로서 대조구의 41개보다 현저히 적었다(P<0.05). 2. 자둥무게와 난포크기는 처리구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그러나 정자 및 정장면역 가토에서의 수정율은 각각 62.8%와 58.0%로서 대조구의 91.4%보다 현저히 낮았다.(P<0.05). 3. 가토정액을 정자 또는 정장항혈청과 혼합하여 인공수정시 수정율이 각각 5.6%와 16.0%로서 대조구보다 현저히 낮았다(P<0.05). 결론적으로 정자 또는 정장면역이 수정율에 현저하게 영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과배란처리 한우에서 초음파 유도에 의한 난자채란에 대한 연구 (Transyaginal Ultrasound-guided Oocytes Collection in Superovulated Korean Native Cows)

  • 이효종;강태영;조성근;박준규;손우진;최민철;최상용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5-202
    • /
    • 1997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superovulation treatments on ovarian responses, oocyte recovery rates and grades of collected oocytes using an ultrasound-guided transvaginal approach in Korean native cows. Superovulation in cows was induced with two different regimenes: 1) FSH-decreasing dose(n=8): the cows were received twice per day for three days of the total dose of 400 mg of FSH-p, 2) FSH-single dose(n=9): the cows were administrated a single dose of 400 mg of FSH-p in 25% PVP. The Observation of visible follicles and collection of oocytes were performed 12 hours following the last FSH in FSH-decreasing dose group and 48 hours after the FSH-single dose injection. All visible follicles larger than 6 mm were punctured and aspirated with a 6.5 MHz convex-array ultrasound transducer designed for intravaginal use. The mean number of visible follicles(> 6 mm)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he FSH-decreasing dose treatment (22.811.9) and FSH-single dose treatment (20.612.0) groups than the non-treatment group(7.0$\pm$8). The mean recovery rate of oocytes was not significantly(P<0.05) different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s, but the mean number of collected oocytes was significantly(P<0.05) higher in the FSH-decreasing dose treatment( 12.611.5) and FSH-single dose treatment (11.813.6) groups than the non-treatment group(3.7$\pm$0.5). In conclusion, the FSH-single dose treatment at superovulation in cows for ultrasound-guided aspiration might increase the number of aspiratable follicles and the recovery rate of follicular oocytes as the FSH-decreasing dose treatment.

  • PDF

Superovulation and Transplantation of Demi- and Aggregated Embryos in Rabbits

  • Ju, J.C.;Chang, Y.C.;Huang, W.T.;Tang, P.C.;Cheng, S.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455-461
    • /
    • 2001
  • The effect of exogenous gonadotrophins on superovulation in rabbits was examined. One hundred and sixteen sexually mature California, Chinchilla and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randomly allocated to control (100 IU hCG), PMSG-treated (100 IU HCG following 150 IU PMSG) and FSH-treated groups (0.3 mg/head /12 h for 3 days followed by 100 IU hCG). All does were mated after hCG injection and were sacrificed or laparotomized within 1 to 4 days postcoitus for counting the number of ovulation points. The number of ovulations was higher in FSH-treated animals than in the control and PMSG-treated groups (37.2 vs. 10.4 and 14.5, p<0.05). Follicle haemorrhagicum was observed in many cases in the PMSG-treated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vulation number was observed between left and right ovaries regardless of gonadotropin treatment. In another experiment, 2-cell stage embryos were collected at 26 h postmating and blastomeres were separated by mechanical pipetting or gentle pressure with a fine glass needle. Aggregated or chimeric embryos were produced from two single blastomeres from two breeds, New Zealand White and Chinchlla, with different coat colors. All the embryos were cultured in Ham's F-10 medium supplemented with 1.5% BSA (bovine serum albumin fraction V) and 10% PRS (pregnant rabbit serum), and incubated in a humidified atmosphere with 5% $CO_2$ at $38^{\circ}C$. After development to morula or early blastocyst, the embryos were transferred into the oviducts of recipient does. Results showed that 7 out of 10 does (70%) receiving intact embryos (control) became pregnant and 41 kits were delivered. However, no pregnancy was obtained from the recipient of either denuded demi- or aggregated embryos. It is suggested that embryos without zona pellucida could not develop to term in rabbits.

Repeated Superovulation via PMSG/hCG Administration Induces 2-Cys Peroxiredoxins Expression and Overoxidation in the Reproductive Tracts of Female Mice

  • Park, Sun-Ji;Kim, Tae-Shin;Kim, Jin-Man;Chang, Kyu-Tae;Lee, Hyun-Shik;Lee, Dong-Se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38권12호
    • /
    • pp.1071-1078
    • /
    • 2015
  • Superovulation induced by exogenous gonadotropin treatment (PMSG/hCG) increases the number of available oocytes in humans and animals. However, Superovulatory PMSG/hCG treatment is known to affect maternal environment, and these effects may result from PMSG/hCG treatment-induced oxidative stress. 2-Cys peroxiredoxins (2-Cys Prxs) act as antioxidant enzymes that protect cells from oxidative stress induced by various exogenous stimuli.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repeated PMSG/hCG treatment induces 2-Cys Prx expression and overoxidation in the reproductive tracts of female mice. Immunohistochemistry and western blotting analyses further demonstrated that, after PMSG/hCG treatment,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2-Cys Prxs increased most significantly in the ovaries, while that of Prx1 was most affected by PMSG/hCG stimulation in all tissues of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Repeated PMSG/hCG treatment eventually leads to 2-Cys Prxs overoxidation in all reproductive organs of female mice, and the abundance of the 2-Cys Prxs-$SO_{2/3}$ proteins reported here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repeated superovulation induces strong oxidative stress and damage to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Our data suggest that excessive oxidative stress caused by repeated PMSG/hCG stimulation increases 2-Cys Prxs expression and overoxidation in the female reproductive organs. Intracellular 2-Cys Prx therefo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the reproductive organ environment of female mice upon exogenous gonadotropin treatment.

프로게스타겐이 한국 재래산양의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유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gestagens on Estrous Synchronization and Superovulation in Korean Native Goats)

  • 송태헌;한만희;천행수;박병권;서길웅;이규승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1-248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재래산양에서 프로게스타겐(Synchromate-B, Veramix 및 CIDR)과 성선자극호르몬(PMSG, FSH 및 hOG)의 병용처리가 발정동기화 및 과배란유기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로게스타겐과 PMSG을 이용한 재래산양의 발정동기화 유기율은 Synchromate-B는 52.9%, Veramix는 72.9% 그리고 CIDR는 75.2% 로써 Veramix 및 CIDR처리구가 Synchromate-B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프로게스타겐을 이용한 발정동기화유기시 배란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평균배란점수는 Synchromate-B는 2.11$\pm$1.89개, Veramix는 1.34$\pm$0.87개 및 CIDR는 1.42$\pm$0.96개로써 Synchromate-B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P<0.05). 2. 프로게스타겐인 Synchromate-B, Veramix 및 CIDR로 성주기를 조절하고 FSH, PMSG와 hCG로 과배란처리를 유기하였을 때 프로게스타겐에 따른 과배란유기율은 각각 98.6%, 99.45% 및 98.8%로서 상호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평균배란점수는 각각 12.58$\pm$16.52개, 12.91$\pm$7.27개 및 11.28$\pm$6.33개로 CIDR 처리구에 비하여 Synchromate-B 처리구와 Veramix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3. CIDR로 성주기를 조절하고 성선자극호르몬으로써 FSH, PMSG와 hCG를 처리한 시험구와 PMSG를 투여하지 않은 시험구의 배란점은 각각 11.16$\pm$6.00개 및 10.79$\pm$6.46개로서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PEG 융해 FSH 투여방법에 따른 소 과배란 유기 및 수정란이식 효율 (Superovulation Response and Quality of Embryos Recovered from Cattle after a Single Subcutaneous Injection of FSH Dissolved in Polyethylene Glycol)

  • 최상용;최수호;박용수;조상래;강태영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67-77
    • /
    • 2002
  • 본 실험에서는 한우에 있어서 PEG를 이용한 FSH의 투여 방법에 따른 과배란 유기 방법 및 수정란 이식의 효율을 조사하였다. 과배란 처리는 대조구를 포함하여 네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 실험하였으며, 대조구는 12시간 간격으로 1일 2회, 4일간 50 mg의 FSH를 근육주사, 처리구 1은 30% PEG에 용해시킨 400 mg의 FSH를 1회 피하주사, 처리구 2는 30% PEG에 용해시킨 200 mg의 FSH를 1회 피하주사, 그리고 처리구 3은 30% PEG에 용해 시킨 200 mg의 FSH를 2회 피하주사하였다. 발정일을 0일로 하여 8~14일째 FSH로 과배란 처리를 하였으며 인공수정은 PGF$_2$$\alpha$ 25 mg 투여 후 48시간과 60시간에 외부적인 발정에 상관없이 실시하였고, 2차 인공수정 후 7일째 비외과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난자 또는 수정란을 회수하였으며 황체 수와 총 회수란 수를 조사하고 회수된 수정란을 등급 분류하여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를 조사하였다. 혈중 progesterone과 estradiol-17 $\beta$ 농도는 RI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실험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정 발현은 대조구 (77.8%)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100% 나타났으며 과배란 유기는 대조구에서 77.8%, 처리 1구는 87.5%, 처리 2구는 88.9%, 처리 3구는 100% 이루어졌다. 2. 처리구 1에서 황체수가 평균 19.6개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대조구와 처리구 2, 3의 평균 황체수 11.1, 13.4, 9.6로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총회수란과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회수란 수는 대조구와 각 처리구에서 평균 9.1, 10.9, 9.4 그리고 6.9개였고,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는 굉균 5.1, 5.9, 7.3 그리고 4.6개였다. 3. 회수된 난자 또는 수정란의 등급을 분류하였을 때,'Excellent'로 분류되는 수정란의 비율은 처리구 3이 가장 높았으며 처리구 1이 가장 낮았다 (52.1%와 30.3%). 회수된 난자중 'Unfertilized'로 분류되는 난자는 처리구 2에서 가장 낮았다(4.0%).

한우의 반복 과배란 및 산차가 수정란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ultiple Superovulation and Parity on Embryo Production in Hanwoo)

  • 최선호;류일선;손동수;조상래;한만희;김현종;최창용;김영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5-190
    • /
    • 2005
  • 본 연구는 소에 있어서 다량의 수정란을 생산하여, 고능력의 유전인자를 조기에 확산할 수 있도록, 한우 공란우의 반복 과배란을 유도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수정란 생산을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 채란이 가능한 공란우는 $85.7\%,\;90.5\%,\;62.5\%,\; 100\%$였으며, 3회 처리시 다소 낮아, 약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2. 한우 경산우 및 미경산우를 4회 반복적으로 과배란 처리하였을 때, 수정란 회수는 각각 9.2개, 9.9개, 7.0개, 10.7개였으며, 이식 가능 수정란은 3.7개, 3.4개, 3.4개, 5.7개였다. 반복과배란 처리에 의한 이식 가능 수정란의 회수 율은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3. 한우 공란우의 산차에 따른 수정란의 회수는 미경산우 6.0개였으며, $1\~4$산까지는 각각 8.7개, 11.4개, 9.9개, 7.6개였으며, 이식 가능 수정 란은 2.5개, 3.0개, 5.3개, 3.0개, 3.4개로 나타났으며, 미경산 및 1산차에서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 한우 공란우는 경산우 및 미경산 우를 4회 연속 과배란 처리하여 수정란을 채취하여도 적정량의 수정란을 생산할 수 있었으며, 산차에 의한 수정란회수율에 있어서도 적정량의 수정란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고능력의 한우 공란우를 알맞은 번식 및 사양관리를 통하여 유전능력을 최대한 이용할 수 있어, 수정란 이식 기술의 산업화를 안정적으로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