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 sweet cor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3초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초당옥수수의 생육기간을 표시하는 GDD모델 개발 (A GDD Model for Super Sweet Corn Grown under Black P. E. Film Mulch)

  • 이석순;양승규;홍승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42-49
    • /
    • 2008
  • 흑색 P E. film 피복과 노지재배에서 초당옥수수를 원하는 시기에 수확할 수 있는 파종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찾기 위하여 "Cambella-90"을 4월 1일에서 6월 30일까지 10일 간격으로 파종한 후 파종기와 관계없이 파종에서 수확까지 생육기간을 일정하게 나타낼 수 있는 GDD 모델과 기준온도를 설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당옥수수의 생육기간은 파종기에 따라 흑색 P. E. film 피복에서는 $64{\sim}93$일, 노지에서는 $66{\sim}97$일로 파종기간 CV는 각각 13.8 및 14.2%이었다. 그러나 생육기간을 GDD로 표시하면 최적 기준온도를 적용하였을 때 파종기간 GDD의 CV는 모델에 따라 흑색 P. E. film 피복에서는 $1.1{\sim}2.4%$, 노지에서는 $1.5{\sim}1.8%$이었다. 2. 초당옥수수의 생육기간을 나타내는 가장 적합한 GDD 모델은 파종에서 수확까지 일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을 합하여 2로 나눈 후 기준온도를 빼서 GDD를 계산하되 일 최고 기온이 $30^{\circ}C$가 넘을 때는 일 최고기온에서 $30^{\circ}C$를 넘는 만큼 $30^{\circ}C$에서 빼어 그 값을 최고기온으로 대치하고, 최저기온이 기준온도 이하일 때는 기준온도로 대치하여 계산하는 방법이었다. 이때 기준온도는 흑색 P. E. film 피복에서는 $9^{\circ}C$, 노지재배에서는 $10^{\circ}C$이었다. 3. 원하는 시기에 수확하기 위한 파종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지역의 누적 GDD표를 만들고, 수확 예정일의 누적 GDD에서 그 품종의 GDD를 빼서 그 GDD에 해당되는 일자를 선택하면 된다.

상온유통을 위한 가열살균 중의 통 초당옥수수의 품질변화 연구 (Characterization of quality changes of whole super sweet corn (Zea mays saccharata Sturt.) during thermal sterilization for shelf-stable products)

  • 이윤주;윤원병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1호
    • /
    • pp.25-3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상온 저장이 가능하며 별도의 처리 없이 바로 섭취할 수 있는 통초당옥수수를 위한 최적 살균법을 도출하고 저장기간동안 최적 살균된 초당옥수수의 품질인자를 분석하였다. 살균 시 유통기한 확보 및 초당옥수수의 고유한 특징인 아삭한 식감이 가열처리에 의하여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 하기 위해 비가열 전처리 공정으로서 알코올 세척을 도입하였으며, 냉점은 초당옥수수의 속대와 중심 사이로 하였다. 초당옥수수의 표면은 알코올 세척을 통하여 1 log CFU/g 이상을 감소시킨 후 $F_{121.1}=4$분을를 만족하도록 가열하여 $25^{\circ}C$ 인큐베이터에서 9개월간 저장하면서 대조군으로서 일반적인 증숙의 방법으로 가열한 초당옥수수의 품질과 비교하였다. 알코올 처리 및 가열 살균한 초당 옥수수의 조직감은 대조군의 조직감 대비 30%이내를 유지하여 최소 $464.50{\pm}103.35g$에서 최대 $514.50{\pm}81.83g$값을 나타내었으며, 당도는 샘플 간의 차이가 다소 있었으나 최소 $28.83{\pm}1.05%$에서 최대 $34.36{\pm}0.42%$값으로 대조군에 대비하여 30% 이내 당도를 유지하였다. 초당 옥수수 겉표면 황색도는 대조군 대비 5% 이상 향상되어 최대 $34.36{\pm}0.42$값을 나타내었으며, 미생물 검사에서는 일반세균과 진균류가 저장 9개월 동안 검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가열살균한 초당옥수수의 품질변화가 최소화되면서 6개월 이상의 상온유통이 가능한 최적 살균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라 가열에 의하여 식품 본연의 조직감 감소를 최소화하면서 상온유통이 가능한 살균제품에 이용될 수 있다.

가변 제어형 식용 풋옥수수 수확기 설계 및 성능평가 (Desig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 Variable Control Type Fresh Corn Harvester)

  • 우제근;최일수;김영근;최용;최덕규;이호섭;김지태;박영준;김재동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20권2호
    • /
    • pp.40-46
    • /
    • 2023
  • Fresh corn, one of the main food crops, must be harvested by hand. A harvest mechanization technology is required. In this study, a tractor-attached harvester was designed and manufactured to sequentially perform stem reaping, fresh corn detaching, and collecting. The(harvester was designed so that the main device could operate through a hydraulic pump and a generator could be operated through the tractor's PTO. Factor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cultivars (Ilmichal, Super sweet corn) and working speed (0.12 m/s, 0.17, 0.22). After the factor test, detached corns ratio, collected corns ratio, and damaged corns ratio were analyzed and harvest performance was evaluated. Harvesting performance was good for super sweet corn. Considering operation efficiency, 0.22 m/s was judged to be an appropriate working speed. It was found that it took two hours to work an area of 10 a.

대규모의 주정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불순물과 그 효율적 분리 (Impurities formed from ethanol fermentation process among different materials and it′s effective separation in large scale)

  • 류병호;김운식;남기두;이인기;하미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71-376
    • /
    • 1986
  • 주정발효공정에서 생성되는 불순물의 분리를 위한 공정개선으로 주정원료별 불순물의 양을 알아보고 이를 super-allospas식 연속증류기에서 집적하여 효율적인 분리를 하였다. 주정발효공정중에 생성되는 불순물 중 methanol은 절간고구마가 가장 많이 생성되었고 그 다음이 타피오카였다. fusel oil중 n-propanol은 쌀, 절간고구마, 옥수수, 쌀보리 및 타피오카의 순서이고 iso-butanol은 타피오카, 옥수수, 쌀, 절간고구마 및 쌀보리의 순서였다. 그리고 iso-amyl alcohol은 타피오카, 쌀. 절간고구마 옥수수, 쌀보리의 순이었다. 한편 supper-allospas식 연속증류기에 의한 fusel oil의 분리시 alcohol함량에 따른 집적율을 보면 n-propanol은 alcohol이 78.25%(v/v)일 때 37.9%. iso-butanol은 alcohol이 68.54% (v/v)일 때 28.6%, n-butanol은 alcohol 50% (v/v)일 때 37.4% iso-amyl alcohol은 alcohol이 50% (v/v)일 때 56.1%의 가장 높은 집적율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집적된 불순물은 side cut 하여 후류탑으로 유입시킨 후 재차 농축하여 탑저부의 붕(plate)에서 fusel oil을 side cut하여 일부는 직접분리하고 나머지는 다시 fusel oil분리기에 넣어 alcohol이 20%(v/v) 되도록 가수하여 분리하였다.

  • PDF

남부지방에서 초당옥수수의 경제적 파종한계기 (Planting Time for the Economic Yield of a Super Sweet Corn Hybrid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양승규;홍승범;이석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25-333
    • /
    • 2007
  • 남부지방에서 초당옥수수의 경제적 재배한계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경북 경산에서 "Cambella 90"을 2003년과 2004년 4월 1일부터 10일 간격으로 흑색 P E. film 피복과 노지에서 파종한 후 지온, 생육 및 자수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 최고지온은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보다 낮았지만 최저지온은 높았고, 토양수분은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보다 적습수준을 유지하였다. 2. 출아율, 입묘율, 간장 및 상품성 있는 자수수는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에서보다 높았다. 3. 파종기가 지연될수록 생육기간이 단축되었다. 흑색 P. E. film 피복에서 노지보다 출수기가 빨랐고, 그 정도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더 컸으며, 수확기의 분포는 $3{\sim}5$일이었다. 4. 초당옥수수 "Cambella 90"의 경제적 조파한계기는 4월 초순, 만파한계기는 6월 20일 경이었다.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 탈곡 시 종자 수분함량과 탈곡방법에 따른 종자 특성 (Characteristics of Sweet and Super Sweet Corn Seeds Shelled at Different Seed Moisture and Threshing Method Conditions)

  • 이석순;윤상희;양승규;홍승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632-638
    • /
    • 2006
  •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 종자의 활력을 높일 수 있는 탈곡방법을 알기 위하여 단옥수수($Early\;Sunglow{\times}GCB\;70$)와 초당옥수수($Xtrasweet\;82{\times}Fortune$) 종자의 수분함량을 12, 15, 18, 21%로 건조한 후 손과 전기 탈곡기로 탈곡하여 $25^{\circ}C$ 발아율, cold test에서 출아율, 당 및 전해질 누출, ${\alpha}-amylase$ 활성 등 종자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손 탈곡은 종자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기계적 상처가 없었으나 기계 탈곡할 때 종자의 상처를 줄일 수 있는 수분함량은 단옥수수는 $15{\sim}21%$, 초당옥수수는 $12{\sim}21%$이었다. 2. Cold test에서 출아율은 종자수분 함량에 관계없이 손 탈곡한 종자가 기계 탈곡한 종자보다 단옥수수는 $6{\sim}14%$, 초당옥수수는 $9{\sim}18%$ 높았다. 3. 단옥수수는 $25^{\circ}C$ 발아율과 cold test 출아율과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초당옥수수는 관계가 없었다. 단옥수수와 초당옥수수의 cold test에서 출아율은 침종 시 당 누출과는 부의 상관, ${\alpha}-amylase$ 활성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다. 4. 기계 탈곡 시 $25^{\circ}C$에서 상처립 비율, 발아율, cold test에서 출아율, 당과 전해질 누출량, ${\alpha}-amylase$ 활성을 고려한 적정 종자수분 함량은 단옥수수는 15%, 초당옥수수는 12%이었다.

초당옥수수의 파종기별 적정 재식밀도 (Optimum Plant Populations of a Super Sweet Corn Hybrid at Different Planting Dates)

  • 이석순;양승규;홍승범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34-340
    • /
    • 2007
  • 초당옥수수의 수확기 분산을 위한 파종기에 따른 적정재식밀도를 규정하기 위하여 경북 경산에서 "Cambella 90"을 흑색 P E. film 피복하여 파종기 4월 1일, 5월 1일, 6월 1일, 재식밀도를 3,500, 4,500, 5,500, 6,500, 7,500주/10a 조건에서 파종하여 생육과 이삭특성 및 상품성 있는 이삭수를 조사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율과 입묘율은 4월 1일 파종기에서 낮았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간장과 착수고는 5월 1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으며,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2. 분얼수는 파종기가 빠를수록,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출사기는 파종기가 한 달씩 늦어질수록 각각 15 및 22일 지연되었고, 재식밀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3. Brix 당도는 5월 1일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고,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당도가 높았다. 4. 파종기가 늦을수록, 재식 밀도가 증가할수록 이삭장, 착립장, 이삭경, 이삭중이 모두 감소하였다. 착립장과 이삭중과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파종기가 다를 때는 같은 착립장에서도 이삭중의 변이가 커서 이삭의 품질은 이삭중으로 나타내는 것이 타당하였다. 5. 초당옥수수의 적정 재식밀도는 중품$(200{\sim}300g)$과 상품 (300 g)의 상품성 있는 이삭수를 4,000개/10a를 목표로 하여 4월 1일 파종에서는 낮은 출아율을 고려한 $6,500{\sim}7,500주/10a$, 5월 1일 파종에서는 $5,500{\sim}6,500$주, 6월 1일 이후의 파종에서는 6,500주이었다.

도입 초당옥수수 교잡종의 지역 적응성 및 농업 형질의 유전력 평가 (Evaluation of Regional Adaptability in Introduced Super Sweet Corn Hybrids and Heritability of Agronomic Traits)

  • 이신영;강종원;왕승현;박태춘;정종욱;소윤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30-137
    • /
    • 2021
  • 본 실험은 지역 적응성 시험을 통한 도입 초당옥수수 자원의 농업 형질을 조사하고 혼합 선형 모형을 이용하여 조사 형질의 분산 구성요소를 추정하고 이를 통해 형질들의 유전력을 추정함으로써 신규 자원이 가진 육종재료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 이를 이용한 초당 옥수수 품종 육종 과정에서 선택할 수 있는 육종 및 선발 방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1. 출웅기와 출사기를 제외한 모든 형질의 유전력은 낮게 추정되었는데 이러한 형질은 분산구성요소 중 유전분산이 낮게 추정되었다. 착수고율의 경우 품종과 지역 간의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로 인해 낮은 유전분산이 추정된 것으로 보인다. 2. 측정 형질의 낮은 유전력 추정치는 시험 재료가 모두 최신 상업용 품종이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육종재료로서의 낮은 잠재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3. 낮은 유전분산과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극복하고 선발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하여 교잡종의 직접적인 자가 수정을 통한 자식 계통 개발을 진행하기 보다 intermating을 통한 유전자 재조합을 먼저 유기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