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phur dioxid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5초

대기산성강하물: 한국과 세계의 산성비 실태 (Atmospheric Acidic Deposition: State of Acid Rain in Korea and the World)

  • 김준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3호
    • /
    • pp.169-180
    • /
    • 2005
  • 이 종설은 산성강하물의 원인물질을 개관하고 한국, 아시아 및 세계의 산성 강하물량을 추산하며 산성비 실태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서울의 이산화황$(SO_2)$ 농도는 $1996\sim2003$년 사이에 연평균 10%씩 감소하였고 이산화질소$(NO_2)$ 농도는 8%씩 증가하였다. 서울의 빗물은 $1980\sim1991$년 사이에 연평균 pH $4.19\sim4.68$의 심한 산성비가 내렸다. 빗물의 산성도를 총 음이온 농도로 평가한 결과 한국 평균(101.3 ${\mu}equiv{\cdot}L^{-1}$), 광릉(199.2 ${\mu}equiv{\cdot}L^{-1}$) 및 관악산(341.5 ${\mu}equiv{\cdot}L^{-1}$)의 순으로 높았다. 세계 16개 국 38장소의 빗물의 총 음이온 농도를 기준으로 빗물의 산성도를 5등급으로 구분한 결과 말레이시아의 Tana Rata(16.2 ${\mu}equiv{\cdot}L^{-1}$)가 가장 청정한 비가, 중국의 중경(541.1 ${\mu}equiv{\cdot}L^{-1}$)이 가장 오염된 비가 내리고 있음이 비교되었다. 앞으로 산성 강하물은 구미에서 감소되지만 아시아 중남미 아프리카에서 증가될 전망이다.

건설현장 절취사면의 산성배수 발생특성과 잠재적 산발생능력 평가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Acid Rock Drainage(ARD) of Road Cut Slopes)

  • 이규호;김재곤;이진수;전철민;박삼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91-498
    • /
    • 2005
  • Acid Rock Drainage(ARD) is the product formed by the atmospheric(i.e. by water, oxygen and carbon dioxide) oxidation of the relatively common iron-sulphur minerals pyrite($FeS_2$). ARD causes the acidification and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water and soil and the reduction of slope stability. In this study the gener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prediction of ARD of various road cut slopes were studied. An attempt to classify the rocks into several groups according to their acid generation potentials was made. Acid Base Accounting(ABA) tests, commonly used as a screening tool in ARD predictions, were performed. Sixteen rock samples were classified into PAF(potentially acid forming) group and four rock samples into NAF(non-acid forming) group. The chemical analysis of water samples strongly suggested that ARD with high content of heavy metals and low pH could pollute the ground water and/or stream water.

  • PDF

국내 시간별 대기환경지수 방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Korean HAEI Method-a Critical Evaluation and Suggestions)

  • 백성옥;이여진;박대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8-528
    • /
    • 2006
  • The air quality index (AQI) is an index for reporting daily or hourly air quality to the general public. The AQI focuses on health effects that can happen within a few hours or days after breathing polluted air. Many countries have their own AQI reporting systems, and the HAEI (hourly air environment index) method is now being used in Korea. In this study, in order to compare the AQI results from different methods, we applied three methods. i.e. US AQI, Canadian AQI, and Korean HAEI, to the same air quality data-base. The data-base was constructed from 10 monitoring sites in Gyeong-buk province for the last four years since 2000. Based on the results,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Korean HAEI method was made, and a number of suggest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presented to improve the AQI reporting system in Korea.

Comprehensive Empirical Equation for Assessing Atmospheric Corrosion Progression of Steel Considering Environmental Parameters

  • Sil, Arjun;Kumar, Vanapalli Naveen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174-188
    • /
    • 2020
  • Atmospheric corrosion is a natural surface degradation process of metal due to changes in environmental parameters in the surrounding atmosphere. It is very sensitive to environmental parameter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sulphur dioxide, and chloride, making it a major global economic challenge. Existing forecasting empirical corrosion models including the ISO standard are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experimental studies without considering the behavior of atmospheric parameters. The present study proposes a reliable global empirical model for estimating short and long-term atmospheric corrosion rates based on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corrosion mechanisms obtained from a parametric study. Repercussion of atmospheric corrosion rate due to individual and combined influence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specifies their importance in the estimation. New global empirical coefficients obtained for environmental parameters are statistically established (R2 =0.998) with 95% confidence limit. They are validated using experimental datasets of existing studies observed at 88 different continental locations. The current proposed model can predict atmospheric corrosion by means of corrosion formation mechanisms influenced by combined effects of environmental parameters, further abating applicability limitations of location and time.

Tolerance of Several Woody Plants to Sulphur Dioxide

  • Hwangbo, Jun-Kwon;Lee, Chang-Seok;Kim, Joon-Ho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4호
    • /
    • pp.337-340
    • /
    • 2000
  • The photosynthetic and stomatal responses of several woody plants (Powlonia coreana, Firmiana simplex, Quercus acutissima Q. variabilis and Q. serrata) to SO$_2$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cophysiological tolerance to $SO_2$ Of the plants, P, coreana showed the largest reduction in its photosynthesis in response to exposure of 0.4 ppm $SO_2$ for 20 h. Fumigation of 0.7 ppm $SO_2$ for 20 h caused complete leaf necrosis of P. coreana and f simplex, which made them unavailable for the measurement of photosynthesis. Q. variabilis exhibited the smallest reduction in photosynthesis following exposure of 0.7 ppm $SO_2$ for 20 h. Both stomatal- and non-stomatal inhibition of the plants by $SO_2$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equations by lkeda et at. (1992). When exposed to 0.4 ppm $SO_2$ for 20 h, F. simplex and P. coreana showed the lowest stomatal and non-stomatal inhibition, respectively, while Q. variabilis and Q. serrata exhibited the lowest stomatal and non-stomatal inhibition, respectively, in response to 0.7 ppm $SO_2$ for 20 h. The data are discussed with regard to resistance mechanisms of other plants to $SO_2$ exposure and implications for restoration of declined Korean forests.

  • PDF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특성 연구 (A Study on Greenhouse Gas Emissions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 for the Achievement of the National Reduction Goal)

  • 박지희;김형석;송건범;이승주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47-255
    • /
    • 2017
  • In this study, GHG inventory on 17 local government between 2005 and 2014 is build up using 'GHG emission estimation guideline (2016. 2) for local government'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KECO. This covers all the sectors should be included in national GHG inventory, which are energy, industrial process, agriculture, AFOLU, and waste. In addition, six GHGs, carbon dioxide, metane, nitrous oxide, hydrofluorocarbons, perfluorocarbons, sulphur hexafluoride declared in Kyoto protocol are estimated to reflect utmost precision. Indirect esissions, such as electricity, heat and waste generation are separately estimated as well as direct emissions to help local government to establish substantial and implementable reduction measures of GHGs.

대기공해가 양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잠종 사육에 있어서 아황산 가스 및 카드미움의 해를 중심으로- (Studies on the Effects of Atmospheric Pollution in Sericulture -Injuries of Sulphur Dioxide and Cadmium on Parent Silkworms Rearing-)

  • 이종철;최진협;배계선;손흥대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6-44
    • /
    • 1979
  • 대기공해가 잠아의 실용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일본종계통 2품종과 중국종계통 2품종을 오염상 비오염상세, 척상별로 사육하고, 또 상엽 및 잠체중의 S, Cd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잠아경과일수는 일본종계통은 비오염구에 비해 오염구가 2.5일 정도 중국종계통은 4일정도 지연 및 불재일하였고 세척구는 중간정도 였다. 2. 잠아 5령극대체중, 견층중, 전견중등은 비오염구, 세척구, 오염구 순으로 성적이 떨어졌다. 3. 화용비율은 상엽처리별로 볼때 일본종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중국종은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4. 오염상엽에 대한 저항성은 일본종계통에 비하여 중국종계통이 현저하게 약하며 동일계통에서도 종간에 차가 있다. 5. 오염지역의 상엽은 비오염지역의 상엽보다 S 및 Cd의 함량이 각각 약 30%, 300%증가하였다. 6. 잠체내 에서도 비오염상 급여구는 S가 0.41%, Cd 0.013ppm 이고 세척상 급여구는 S가 0.52%, Cd가 0.042ppm순으로 높았다. 7. S 및 Cd의 함량이 상엽에 가시적인 피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잠아에는 피해가 심했다. 8. 잠아의 실용형질은 공해로 인한 상엽질의 악화에서 입는 피해보다 상엽에 부착된 분전의 해가 더컸다. 9. 이상을 종합해 보면 분장지대 선정에 있어서 중국종계통은 공해지역을 피할 것이며 부득이한 경우는 상엽을 세척급여하면 현저한 효과를 거둘수 있을 것이다.

  • PDF

PVDF 중공사막 제조 및 벤치규모 기-액 접촉기를 이용한 SO2 흡수특성 (Preparation of PVDF Hollow Fiber Membrane and Absorption of SO2 from Flue Gas Using Bench Scale Gas-Liquid Contactor)

  • 박현희;조항대;김인원;이형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521-528
    • /
    • 2008
  • 중공사막 접촉기에 적절한 PVDF 중공사막을 상전이 공정에 의하여 제조하였으며, SEM 과 기체투과도에 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벤치규모 중공사막 접촉기에서 $SO_2$ 제거를 위한 흡수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기체는 shell side, 액체는 lumen side로 흐르는 counter-current로 실험하였으며, 흡수제의 농도, 기체의 유속, 액가스비, 유입 $SO_2$ 농도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으며, 수학적 모델링에 의해 막 물질전달계수($k_m$)를 측정하였다. 흡수제의 농도와 액기비가 증가함에 따라 기-액 계면에서 충분한 알칼리도가 제공되므로, 액체막 저항이 감소하며, 총괄물질전달 용량계수는 증가하였다. 기체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기체막저항은 감소하게 되므로 총괄물질전달 용량계수는 증가하였다.

온산공업단지 주변의 박무와 해풍발생이 대기오염물질의 이동 및 농도분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oncentration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Air Pollutants by Sea Breeze and Mist around Onsan Industrial Complex)

  • 이형돈;이규홍;김인득;강지순;오광중
    • 청정기술
    • /
    • 제19권2호
    • /
    • pp.95-104
    • /
    • 2013
  • 온산공업단지는 인근에 울산석유화학단지가 위치해 있고 동쪽에는 바다가 위치하고 있는 공업지역이다. 이러한 이유로 온산공업단지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특히, 해풍과 같은 기상인자에 영향을 받기 쉽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자료를 분석하여 해풍과 박무발생 빈도를 평가하였으며, 온산공업단지 인근의 기상현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를 평가하기 위해 상층바람조건과 온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박무와 해풍이 발생될 때, 미세먼지($PM_{10}$)는 각각 57.2%, 71.8%, 이산화황($SO_2$)은 46.6%, 57.7%로 고농도 현상이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 박무와 해풍과 같은 기상현상이 대기오염물질의 고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온위와 상층바람조건을 활용한 상층기상을 분석한 결과, 해풍에 의한 울산석유 화학단지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의 이류가 온산공업단지 인근의 고농도 현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안정한 대기조건에서 해풍이 발생했을 때, 온산공업단지의 평균농도에 비해 1.5배 이상 고농도 현상이 나타났다.

SO2 살균패드처리에 의한 감말랭이의 저장 중 품질 변화 (Quality Improvement of Dried Persimmons Slices during Storage Period using SO2 Treated Pads)

  • 오성일;김철우;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1호
    • /
    • pp.108-114
    • /
    • 2016
  • 감말랭이의 $SO_2$ 살균패드처리($SO_2$ 0, 0.5, 1, 2 g/kg)에 의한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 동안 $SO_2$ 살균패드처리는 감말랭이의 중량 및 수분감소율과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색차는 저장 12주 후 무처리구에서 3.5로 가장 높은 반면, $SO_2$ 2 g/kg 처리구에서 2.0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감말랭이의 갈변도는 저장 12주 후 무처리구에서 0.24 O.D.로 가장 높았으며, $SO_2$ 0.5 g/kg 처리구 0.22 O.D.와 $SO_2$ 1 g/kg 처리구 0.20 O.D., $SO_2$ 2 g/kg 처리구 0.17 O.D.순으로 나타났다. 부패율은 저장 12주 후 무처리구가 7.0%로 가장 높은 반면, $SO_2$ 1 g/kg 처리구와 $SO_2$ 2 g/kg 처리구는 부패가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 모든 $SO_2$ 살균패드 처리구에서 감말랭이의 잔류 이산화황 농도는 20.3~44.3 ppm으로 안전한 범위에서 검출되었다. 따라서 $SO_2$ 살균패드처리는 감말랭이의 갈변 및 부패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O_2$ 2 g/kg 처리가 감말랭이의 품질유지와 저장성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