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ur chemistry

검색결과 360건 처리시간 0.034초

The effect of pore structure and surface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 films on the performance of a lithium sulfur battery

  • Song, Hyeonjun;Hwang, Yunjae;Kumar, Vimal Tiwari;Jeong, Youngjin
    • Carbon letters
    • /
    • 제27권
    • /
    • pp.12-17
    • /
    • 2018
  • We fabricated a Li-S battery with post-treated carbon nanotube (CNT) films which offered better support for sulfur,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surface properties and pore structure of the post-treated CNT films on Li-S battery performance. Post-treatments, i.e., acid treatment, unzip process and cetyltrimethylammonium bromide (CTAB) treatment, effectively modified the surface properties and pore structure of the CNT film. The modified pore structure impacted the ability of the CNT films to accommodate the catholyte, resulting in an increase in initial discharge capacity.

Reactions of Two Isomeric Thiols with Thianthrene Cation Radical

  • Park, Hyun-Ju;Lee, Wang-Ke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9호
    • /
    • pp.1335-1338
    • /
    • 2005
  • Thianthrene cation radical perchlorate ($Th^{+{{\cdot}}}{ClO_4}^-$) reacted readily with two isomeric thiols, benzylthiol (1) and 4-methylbenzenethiol (7) in an acetonitrile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From the reaction of 1, the major products, N-benzylacetamide (4) and benzyl sulfide (5), are characteristic of benzyl carbocations while the minor one, benzyl disulfide (6) implies free radical component of the reaction. It is unprecedented that the formation of a benzyl carbocation was caused by the extrusion of sulfur atoms from benzyl sulfur cations (3). In contrast, from the reaction of 7, only p-tolyl disulfide (10) was obtained from both sulfur radicals and cations. In the reaction of 7 the thio-extrusion was not observed from the p-tolyl sulfur cation (9). A thianthrene cation radical ($Th^{+{{\cdot}}}$) was reduced quantitatively to thianthrene (Th) in both reactions.

Thiosulfate Oxidation and Mixotrophic Growth of Methylobacterium goesingense and 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 Anandham, R.;Indiragandhi, P.;Madhaiyan, M.;Chung, Jong-Bae;Ryu, Kyoung-Yul;Jee, Hyeong-Jin;Sa, Tong-M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호
    • /
    • pp.17-22
    • /
    • 2009
  • The mixotrophic growth with methanol plus thiosulfate was examined in nutrient-limited mixotrophic condition for Methylobacterium goesingense CBMB5 and Methylobacterium fujisawaense CBMB37. Thiosulfate oxidation increased the growth and protein yield in mixotrophic medium that contained 150mM methanol and 20mM sodium thiosulfate, at 144 h. Respirometric study revealed that thiosulfate was the most preferable reduced inorganic sulfur source, followed by sulfite and sulfur. M. goesingense CBMB5 and M. fujisawaense CBMB37 oxidized thiosulfate directly to sulfate, and intermediate products of thiosulfate oxidation such as polythionates, sulfite, and sulfur were not detected in spent medium and they did not yield positive amplification for tested soxB primers. Enzymes of thiosulfate oxidation such as rhodanese and sulfite oxidase activities were detected in cell-free extracts of M. goesingense CBMB5, and M. fujisawaense CBMB37, and thiosulfate oxidase (tetrathionate synthase) activity was not observed. It indicated that both the organisms use the "non-S4 intermediate" sulfur oxidation pathway for thiosulfate oxidation. It is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M. goesingense CBMB5, and M. fujisawaense CBMB37 exhibited mixotrophic metabolism in medium containing methanol plus thiosulfate and that thiosulfate oxidation and the presence of a "Paracoccus sulfur oxidation" (PSO) pathway in methylotrophic bacteria are species dependant.

다양한 생태계에서 분리한 황 산화 세균 (Isolation of Sulfur Oxidizing Bacteria from Different Ecological Niches)

  • ;;;;;최관호;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80-187
    • /
    • 2005
  • 다양한 인도 토양에서 Starkey's 배지를 이용하여 9종류의 화학합성독립영양 및 12종류의 화학합성종속영양 황산화 세균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세균은 황을 황산으로 산화시키는 기능이 있으며 생육 중 배지의 산도를 감소시켰다. 분리한 황 산화 세균은 혐기 조건에서는 생육하지 못했다. 화학합성독립영양세균 SGA6 및 JIG 2종만이 포도당을 이용하는 능력이 있었으며, LCH 1종을 제외한 모든 분리세균은 thiosulfate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였다. 분리한 세균 중 황 산화 능력이 가장 우수한 것은 화학합성독립영향세균인 LCH이었으며 화학합성종속영향세균인 JIG의 황 산화 능력이 가장 낮았다. 분리한 황 산화 세균을 이용하여 점토를 이용하여 입제형태로 만들었을 때 균의 밀도는 약 $2.5{\times}10^7cfu\;g^{-1}$ 이었다.

황화합물로 개질된 $ZrO_2$의 초강산 성질 (Superacidic Property of $ZrO_2$ Modified with Sulfur Compounds)

  • 손종락;김해원;김종택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22-327
    • /
    • 1987
  • $ZrO_2$의 표면을 $H_2SO_4$로 처리하거나 $SO_2,\;H_2S,\;CS_2$로 처리한 후 산화시킴으로 개질하였다. 처리된 황화합물의 산화종과 산화상태를 적외선분광법과 X-선광전자분광법으로 조사하였다. 처리된 황화합물을 산화시킨 후에는 사용된 황화합물의 종류에는 관계없이 개질된 $ZrO_2$는 모두 강한 산성질을 나타내었다. 개질된 $ZrO_2$가 초강산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은 가장 높은 산화상태의 황($SO_4{^{2-}}$)에 기인하였다.

  • PDF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thium Sulfur Batteries with Plasticized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VdF-co-HFP)

  • Park, Jeong-Ho;Yeo, Sang-Yeob;Park, Jung-Ki;Lee, Yong-Min
    • 전기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0-115
    • /
    • 2010
  • The plasticized polymer electrolytes based on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P(VdF-co-HFP)), tetra (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TEGDME), and lithium perchlorate ($LiClO_4$) are prepared for the lithium sulfur batteries by solution casting with a doctor-blade. The polymer electrolyte with EO : Li ratio of 16 : 1 shows the maximum ionic conductivity, $6.5\;{\times}\;10^{-4}\;S/cm$ at room temperature.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salt concentration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the polymer electrolytes are characterized using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infrared spectroscopy (IR), viscometer,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The optimum concentration and mobility of the charge carriers could lead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sulfur active materials and the cyclability of the Li/S unit cell.

작물의 유황영양에 관한 연구( I ) -포장재배수도의 유황영양실태- (Studies on the sulfur nutrition of crop plants (I) -The nutritional status of sulfur in the field-grown rice plants-)

  • 박훈;김영섭;이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4권2호
    • /
    • pp.109-116
    • /
    • 1971
  • 기후 토양 시비조건이 다른 수개포장에서 자란 벼의 유황영양상태를 조사한 결과 아래와 같다. 1. 이앙후 30 일경 유황결핍포장의 수도체내 유황의 임계함량(critical percentage)은 0.2%이상인것 같다. 2. 수확기 S 함량평균치는 이삭과 짚에서 각각 0.22% 및 0.43%이고 유안시비는 짚에서의 농도를 더욱 높였다. 3. 볏짚과 이삭의 S 함량비는 유안시비구에서만 위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나 이삭에의 전이율은 이와 관계없고 시비구에서 평균 26% 무비구에서 29%였다. 4. 유황흡수량은 무비구에서 6kg/10a 시비구에서 10 kg이었다. 5. 부위별 유량함량은 엽신+엽초>간>이삭의 순서이며 어느부위서나 저수답벼에서 높았다.

  • PDF

GC/FPD에 의한 대기 중 황화합물 농도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Atmospheric Concentrations of Sulfur Compounds by GC/FPD)

  • 양성봉;유미선;황희찬
    • 분석과학
    • /
    • 제16권3호
    • /
    • pp.240-248
    • /
    • 2003
  • 공업지역에서 악취원인물질로 잘 알려진 황화물은 매우 낮은 최소 후각감지농도를 나타낸다. 여러 악취발생원 주변의 대기 중 미량의 황화합물을 아르곤에서 농축시켜 선택성과 감도가 우수한 불꽃 광도 검출기 (FPD)가 장착된 가스크로마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5% ${\beta}$,${\beta}$-Oxydipropionitrile, 60/80 Chromosob W가 저온농축을 위한 흡착제로 되었으며 이를 충전 유리컬럼의 충전제로도 사용하였다. 악취시료의 농축량은 0.1~3.0L 범위에서 채취장소에 따라 달리하였다. 주거지역과 사업장 부지경계선상에서의 공기 및 하수처리장과 같은 공업지역 내 사업장의 배출구 가스 중의 휘발성 황화합물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인산형 연료전지용 백금촉매제조에서 황의 제거에 따른 전극 성능 (Effect of the Sulfur Removal in Manufacturing Pt/C Electrocatalysts on the Performance of Phosphoric Acid Fuel Cell)

  • 심재철;이경직;이주성
    • 공업화학
    • /
    • 제9권4호
    • /
    • pp.486-490
    • /
    • 1998
  • 콜로이드법을 이용하여 인산형 연료전지에서 전극촉매로 사용되는 Pt/C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 때 환원제로 사용되는 $Na_2S_2O_4$ (sodium hydrosulfite)로부터 유입되는 황성분이 연료전지의 장기운전시 촉매독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었다. 따라서 다음의 3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황을 제거하였다. 첫 번째, 열처리에 의한 황의 제거시 온도가 올라갈수록 황의 제거 효과가 좋지만 너무 높은 온도에서는 백금입자의 크기가 성장하여 입자의 크기가 $50{\AA}$ 이상이 되면 전극성능이 감소하였다. 최적의 열처리 온도는 $400^{\circ}C$ 이었으며, 이 때의 백금입자의 크기는 $35{\sim}40{\AA}$였으며, 반전지 측정시 0.7V의 전압에서 $360mA/cm^2$의 전류밀도를 나타내었다. $400^{\circ}C$에서 1시간, 3시간, 5시간 동안 처리하였을 경우 백금입자의 크기는 변함이 없었고 황제거율은 각각 비슷하였다. 두 번째, 환원성 분위기의 도가니 속에서 열처리를 했을 경우 $900^{\circ}C$의 같은 온도에서 수소분위기에서의 열처리보다는 황의 제거율은 떨어지나 같은 온도에서 백금입자의 성장이 작아 상대적으로 좋은 전극성능을 보여 주었다. 세 번째, 용매추출의 경우에는 초기에 일부의 황을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 때의 전극성능은 서로 비슷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