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lfates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27초

오리멀젼회로부터 바나듐 침출특성에 관한 연구 (Leaching Behaviour of vanadium from Orimulsion ash)

  • 박경호;윤승한;남철우;최영기;윤오섭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3권4호
    • /
    • pp.32-38
    • /
    • 2004
  • 중유의 대체연료로서 관심을 받고있는 오리멀젼회로부터 바나듐을 회수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오리멀젼회의 물성과 침출특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오리멀젼회는 16%의 바나듐, 4%의 니켈 그리고 9%의 황을 함유하고 있으며 $d_{50}$이 5.9$mu extrm{m}$로 미세한 분말이었다. 오리멀젼회 중의 금속성분이 황산염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바나듐은 수 침출이 용이하고 침출시간도 10분 이하로 짧았다. 수침출 시 반응온도가 높으면 침출율이 감소하는데 이는 V(V)이 가수분해되어 $V_2$$O_{5}$로 침전되기 때문이다. 한편 황산을 첨가하면 바나듐의 침출율을 높일 수 있었다. 바나듐의 선택적 침출을 위한 알카리 침출의 경우 침출율을 높이기 위하여는 산화제의 사용이 필요하며 과산화수소가 적당하였다.

Chemical cleansing as an adjunct to subgingival instrumentation with ultrasonic and hand devices in deep periodontal pocket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 Zafar, Fahad;Romano, Federica;Citterio, Filippo;Ferrarotti, Francesco;Dellavia, Claudia;Chang, Moontaek;Aimetti, Mari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1권4호
    • /
    • pp.276-284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randomized clinical trial was to assess whether chemical cleansing using a sulfonic/sulfuric acid gel solution (HBX) as an adjunct to scaling and root planing (SRP) resulted in a decrease in residual plaque and calculus in deep periodontal pockets compared to SRP alone. Methods: Fifty-six patients with 56 hopeless posterior teeth, scheduled for extraction due to severe periodontiti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Each tooth was randomly assigned to 1 of the 2 experimental procedures. The test teeth were subjected to the irrigation of the subgingival area with HBX for 2 minutes, followed by SRP with hand and ultrasonic instruments for 14 minutes, and then extracted. The control teeth received only mechanical instrumentation before extraction. Residual biofilm was evaluated on photographs and measured as total area and percentage of root surface covered by remaining plaque (RP) or calculus (RC) after treatment. Results: The initial pocket depth (PD) and total subgingival root surface area were similar between the 2 treatment groups. After treatment, the total subgingival root area covered by RP and RC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arger (P<0.001)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test group. The test teeth showed a lower percentage of RP, but a higher percentage of RC than the control teeth (both P<0.001). Complete calculus removal was achieved in 42% of the control teeth surfaces and in 25% of the test teeth surfaces for a PD of 4 mm. Conclusions: The additional chemical cleansing with HBX resulted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bacterial plaque removal during SRP of deep pockets, but it was not effective in reducing calculus deposits.

황산염 및 알칼리계의 혼합 활성화제에 대한 고로슬래그미분말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Granulated Ground Blast Furnace Slag on Blended Activator of Sulfate and Alkali)

  • 김태완;전유빈;엄장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04-111
    • /
    • 2015
  • 본 연구는 혼합 활성화제에 의한 알칼리 활성화 슬래그 시멘트(AASC)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사용된 활성화제는 황산칼슘($CaSO_4$, 이하 CS), 황산나트륨($Na_2SO_4$, 이하 SS) 및 수산화나트륨(NaOH)이다. 황산염은 슬래그 중량의 2.5, 5.0, 7.5 및 10.0%로 치환하여 사용하였으며, NaOH는 2M 및 4M 농도의 수용액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염(CS 및 SS) 치환율에 따른 배합(4가지 배합)과 2M 및 4M의 각각의 NaOH 수용액에 치환된 황산염을 혼합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시험체는 총 24가지의 배합에 따라 페이스트로 제작되었으며, 물-결합재 비는 0.5로 하였다. 경화된 시험체에 대해서 압축강도, 휨강도, 초음파속도(UPV), 흡수율 및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CS의 활성화제를 사용한 경우는 7.5% CS 치환율, 2M NaOH 수용액 + 5.0% CS 치환율 및 4M NaOH 수용액 + 5.0% CS 치환율의 시험체에서 최고의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SS의 활성화제를 사용한 경우는 10.0% SS 치환율, 2M NaOH + 7.5% SS 치환율 및 4M NaOH + 2.5% SS 치환율에서 최고의 압축강도 발현을 나타내었다. 휨강도, UPV 및 흡수율은 압축강도 발현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XRD 분석결과 시험체 내에 생성된 반응물질은 ettringite, CSH 및 실리케이트계 수화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AASC에서 황산염과 NaOH의 혼합 사용은 황산염의 단독 사용의 경우와 비교하여 일정 수준의 농도 범위에서 강도를 향상시키고 조직을 치밀화 시키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Single-particle Characterization of Aerosol Particles Collected Nearby a Lead Smelter in China

  • Jung, Hae-Jin;Song, Young-Chul;Liu, Xiande;Li, Yuwu;Ro, Chul-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6권2호
    • /
    • pp.83-95
    • /
    • 2012
  • China has been a top producer and exporter of refined lead products in the world since the year 2000. After the phasing-out of leaded gasoline in the late 1990s, non-ferrous metallurgy and coal combustion have been identified as potential major sources of aerosol lead in China. This paper presents the single particle analytical results of ambient aerosol particles collected near a lead smelter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SEM-EDX). Aerosol particle samples were collected over a 24-hour period, starting from 8 pm on 31 May 2002, using a high volume TSP sampler. For this near source sample, 73 particles among 377 particles analyzed (accounting for 19.4%) were lead-containing particles mixed with other species (S, Cl, K, Ca, and/or C), which probably appeared to be from a nearby lead smelter. Lead-containing particles of less than $2{\mu}m$ size in the near source sample were most frequently encountered with the relative abundances of 42%. SEM-EDX analysis of individual standard particles, such as PbO, PbS, $PbSO_4$, $PbCl_2$, and $PbCO_3$, was also performed to assist in the clear identification of lead-containing aerosol particles. Lead-containing particles we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arsenic and zinc, indicating that the smelter had emitted those species during the non-ferrous metallurgical process. The frequently encountered particles following the lead-containing particles were mineral dust particles, such as aluminosilicates (denoted as AlSi), $SiO_2$, and $CaCO_3$. Nitrate- and sulfate-containing particles were encountered frequently in $2-4{\mu}m$ size range, and existed mostly in the forms of $Ca(NO_3,SO_4)/C$, $(Mg,Ca)SO_4/C$, and $AlSi+(NO_3,SO_4)$. Particles containing metals (e.g., Fe, Cu, and As) in this near source sample had relative abundances of approximately 10%. Although the airborne particles collected near the lead smelter contained elevated levels of lead, other types of particles, such as $CaCO_3$-containing, carbonaceous, metal-containing, nitrates, sulfates, and fly-ash particles, showed the unique signatures of samples influenced by emissions from the lead smelter.

인공 산성광산배수의 pH변화에 의한 중금속 제거 및 침전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Removal and Precipitation of Heavy Metals with pH change of Artificial Acid Mine Drainage)

  • 이민현;김영훈;김정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6호
    • /
    • pp.529-5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pH 변화에 따른 인공 산성광산배수로부터 중금속 제거와 침전물 생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공 산성광산배수는 폐광산에서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에 다량 포함된 Fe, Al, Cu, Zn, Mn의 황산염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은 5가지의 중금속에 대하여 초기 농도 30과 70 mg/L의 단일 및 혼합 시료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Fe와 Al은 각각 pH 4.0과 5.0에서 대부분 제거되었으며 그 외 중금속은 pH가 증가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다. 단일 및 혼합 중금속 시료에 대한 pH 증가에 따른 농도 변화는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낸다. 수용액으로부터 중금속 제거 효과는 초기 농도와 관계없이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고 pH 변화에 따라 확연한 차이를 나타낸다. X-선회절분석을 이용하여 침전물에 대한 광물 감정을 수행하였으며 pH가 증가함에 따라 결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수용액 내에 중금속 농도가 감소하면서 생성되는 침전물은 Fe-침철석(FeOOH), Al-배사알루미나이트(Al4(SO4)(OH)10·4H2O), Cu-코넬라이트Cu19(OH)32(SO4)Cl4·3H2O)와 테놀라이트(tenorite: CuO), Zn-진사이트(ZnO), Mn-하우스마나이트(Mn3O4)이다.

EO, PO가 부가된 도데실 에테르 황산화물의 계면성 (Interfacial Phenomena of Dodecyl Ether Sulfates Containing Various Ethylene Oxide(EO) and Isopropylene Oxide(PO))

  • 유영창;김상춘;김태영;주명종;남기대
    • 공업화학
    • /
    • 제7권2호
    • /
    • pp.299-307
    • /
    • 1996
  • $10^{-6}{\sim}10^{-3}mol/{\ell}$ 농도범위에서 PO가 먼저 부가된 sodium poly(oxyethylene(EO), oxyisopropylene(PO)) dodecyl ether sulfates의 표면장력은 EO가 부가된 화합물보다 낮게 나왔다. 그리고 대체적으로 일반적인 음이온성계면활성제보다도 낮게 나왔다. PO가 먼저 부가된 화합물에 대하여 Gibbs' 흡착등온선으로 계산한 흡착능(${\Gamma}=2.2{\times}10^{-10}mol/cm^2$)은 EO가 부가된 화합물보다는 높지만 sodium dodecyl ether sulfate(${\Gamma}=3.2{\times}10^{-10}mol/cm^2$)보다는 낮다. 이러한 현상은 PO가 부가된 화합물의 분자량이 크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기포력, n-hexane과 benzene에 대한 유화력, 돼지기름과 소기름에 대한 세정력 그리고 산화철에 대한 분산성은 PO 화합물이 EO 화합물보다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들은 친수성과 소수성 부분이 각각 따로 따로 존재할 때 계면활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수계에서 n-hexane과 benzene에 대한 유화력 측정결과는 n-hexane보다 benzene에 대하여 높게 나왔으며, 불규칙적인 분산특성을 나타내었다.

  • PDF

Sesamol 급여 흰쥐의 대사물질 측정 및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and Its Metabolites in Rat Fed Sesamol)

  • 이민선;김현위;방선권;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참깨 내 리그난 성분 중 하나인 sesamol의 신체 내 대사과정을 이해하고 항산화 활성이 있는지 측정하고자, 생후 8주령의 Sprague Dawley수컷 흰쥐 20마리를 control군(n=10)과 0.5% sesamol군(n=10) 급여군으로 나누어 3주간 사육한 후 조직 중 sesamol 대사물을 측정하고 조직의 과산화 지질 함량, glutathione 함량, glutathione-5-transferase활성 및 항산화 효소 활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실험동물의 장기무게에 있어 간과 신장 모두 일반식이군에 비해 sesamoi 급여군의 무게가 약간 높게 나타났고, 간 조직 내 glutathione함량은 일반식 이 가 sesamol를 급여한 군보다 높게 나타나 sesamol의 급여로 인한 glutathiones-transferase활성 증가에 전자공여체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Sesamol이 간 조직 내 glutathlone perokid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한 결과 sesamol 급여 군이 일반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sesamol이 생체내에서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을 높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sesamol을 급여함에 따라 catalase활성 또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PLE를 이용한 sesamol의 대사산물의 측정 결과 sesamol을 섭취시킨 쥐의 간과 신장에서 sesamol peak가 확인되었으나 대장과 소장, 췌장 및 위에서는 sesamol peak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FAH-MS spectrum측정 결과 분자량 138의 sesamol과 기타 241과 259의 intense를 나타내는 미지의 분자량을 측정하였으나, 물질 양이 적어 동정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로 sesamol의 생체내에서 항산화redoxsystem을 거쳐 대사되고 간과 신장에 축적되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가스분사반응기에서의 SO2 흡수 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Sulfur Dioxide in Jet Bubbling Reactor)

  • 최병선;박승수;김영환
    • 공업화학
    • /
    • 제5권5호
    • /
    • pp.836-842
    • /
    • 1994
  • 가스분사반응기(Jet bubbling reactor)에서의 가스분사관의 최적 설계조건과 $SO_2$ 제거효율에 미치는 운전변수들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효과적인 기-액 접촉을 위한 가스분사관의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인자는 Reynolds number로서 Reynolds number를 12,000 이상으로 하고 가스분사관과 가스분사구멍에서의 Reynolds number가 동일하게 되도록 가스분사관을 설계하는 것이 가스분사관 설계의 최적조건인 것으로 판단된다. ${\Delta}P$, pH, 유입 $SO_2$농도, 석회석 입자크기 등 공정의 운전변수 중에서 $SO_2$ 제거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Delta}P$였으며 pH 4.0하에서 90% 이상의 $SO_2$ 제거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Delta}P$를 230mmAq 이상으로 유지시켜야 하였다. 실험결과 3.0 정도의 낮은 pH 하에서도 높은 $SO_2$ 제거효율이 얻어졌으며 이러한 이유는 강제산화에 의해 흡수액내의 $HSO{_3}{^-}$이온이 $SO{_4}{^{2-}}$ 이온으로 거의 완전한 산화가 일어나 흡수액 내의 $SO_2$ 평형분압이 매우 낮은 상태로 유지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흡수액의 pH 5.0 이하의 조건에서는 $SO_2$ 흡수에 사용된 석회석의 입자크기에 관계없이 모두 99.5% 이상의 높은 석회석 이용률을 나타내었다.

  • PDF

광미-물 상호반응에서 반응시간이 중금속 용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Kinetics on the Leaching Behavior of Heavy Metals in Tailings-Water Interaction)

  • 강민주;이평구;김상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1호
    • /
    • pp.23-36
    • /
    • 2006
  • 이번 연구는 광미시료를 대상으로 반응시간(1, 2, 4, 7, 14, 21 및 30일)과 반응용액의 pH(1, 3 및 5)를 달리하여 실내 용출실험을 실시하였다. pH 5와 pH 3의 반응용액과의 용출실험에서는 반응 2일 후 최종 pH가 4.6-6.1 혹은 2.8-3.5로 안정화되었으며, 반응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졌다. 황산염 농도와 산도는 7일 이후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황화광물의 산화작용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pH 5와 pH 3에서 용출된 Pb 함량은 반응기 간(1-30일) 동안 뚜렷한 변화가 보이지 않은 반면에 Zn, Cd 및 Cu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출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응용액 pH 1에서의 용출특성은 Zn 형태(Zn, Cd, 및 Cu)와 Pb 형태(Pb)로 구분되었다. Zn 형태는 시간에 따라 용출함량이 증가되었고, 이는 지속적인 용해작용에 의한 것이다. Pb 형태는 시간에 따라 용출농도가 감소하였으며, 이는 황산염의 용출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용해된 Pb가 앵글레사이트(anglesit)로 침전됨을 지시한다. 높은 황산염 농도는 Fe, Zn, 및 Cd의 높은 용출함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 용출실험 결과 Zn과 Cd의 용출과 산도는 광산주변 환경의 지표수와 지하수 수질에 악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용출반응에서 kinetics 문제는 광미가 빗물과 반응하여 유출수에서의 중금속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Characterization of Summertime Aerosol Particles Collected at Subway Stations in Seoul, Korea Using Low-Z Particle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

  • Kim, Bo-Wha;Jung, Hae-Jin;Song, Young-Chul;Lee, Mi-Jung;Kim, Hye-Kyeong;Kim, Jo-Chun;Sohn, Jong-Ryeul;Ro, Chul-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4권2호
    • /
    • pp.97-105
    • /
    • 2010
  • A quantitative single particle analytical technique, denoted low-Z particle electron probe X-ray microanalysis (low-Z particle EPMA), was applied to characterize particulate matters collected at two underground subway stations, Jegidong and Yangje stations, in Seoul, Korea. To clearly identify the source of the indoor aerosols in the subway stations, four sets of samples were collected at four different locations within the subway stations: in the tunnel; at the platform; near the ticket office; nearby outdoors. Aerosol samples collected on stages 2 and 3 ($D_p$: $10-2.5\;{\mu}m$ and $2.5-1.0\;{\mu}m$, respectively) in a 3-stage Dekati $PM_{10}$ impactor were investigated.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summertime in 2009. The major chemical species observed in the subway particle samples were Fe-containing, carbonaceous, and soil-derived particles, and secondary aerosols such as nitrates and sulfates. Among them, Fe-containing particles were the most popular. The tunnel samples contained 85-88% of Fe-containing particles, with the abundance of Fe-containing particles decreasing as the distances of sampling locations from the tunnel increased. The Fe-containing subway particles were generated mainly from mechanical wear and friction processes at rail-wheel-brake interfaces. Carbonaceous, soil-derived, and secondary nitrate and/or sulfate particles observed in the underground subway particles likely flowed in from the outdoor environment by human activities and the air-exchange between the subway system and the outdoors. In addition, since the platform screen doors (PSDs) limit air-mixing between the tunnel and the platform, samples collected at the platform at the Yangjae station (with PSDs) showed a marked decrease in the relative abundances of Fe-containing particles compared to the Jegidong station (without PS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