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icide pattern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2초

남성 자살률의 공간 군집패턴 변화와 지역특성요인의 관계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 Cluster Patterns of Male Suicide Rate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 최소영;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2-322
    • /
    • 2019
  • Background: Since 2003, Korea has consistently shown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and suicide remains the major cause of death. In particular, men are 2-3 times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than women, which called the 'gender paradox of suicide.' The areas with frequent suicide have spatially clustered patterns because suicide with a social contagion spreads around the neighbor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The first was to estimate the hotspot areas of age-standardized male suicide mortality from 2008 to 2015. The second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tspot areas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study years. Methods: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 study areas were 227 si gun gu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The hotspot area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Socio-demographic variables (number of marriages per 1,000 population,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and urbanization rate), financial variables (financial independence and social security budget), and health behaviors (EuroQol-5 dimension [EQ-5D], and depression experience rate) were used as independents variables. Results: The hotspot areas were commonly located in Gangwon-do, Chungcheongnam-do, Gyeongsangbuk-do, and Chungceongbuk-d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anel logit regression, the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social security budget, and EQ-5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Conclusion: The results of hotspot analysis showed the need for establishing a prevention zone of suicide using hotspot areas. Also, medical resources could be considered to be preferentially placed in the prevention zone of suicid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health policymakers to establish a suicide-related policy.

사회적 통합과 자살: 연휴가 자살자수 감소에 미치는 영향 (Social Integration and Suicide: The Effects of Holidays on a Decrease in Suicide)

  • 한승용
    • 한국인구학
    • /
    • 제31권1호
    • /
    • pp.165-194
    • /
    • 2008
  •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사회적 통합이 평소에 비해 강해질 것으로 생각되는 특정 연휴기간에 자살자수의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2000-2005년 사망원인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연휴인 신정, 구정, 추석, 성탄절 등을 연구의 대상이 되는 연휴로 설정하고 일별 자살자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과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휴 이전 3일과 연휴 당일에는 자살자수의 감소가, 연휴 이후 3일에는 자살자수의 증가가 나타날 것이라는 기본가설을 설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혼인상태별, 연령별 자살양상의 차이를 가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휴기간의 자살자수 감소는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혼인상태에 따른 자살양상의 차이는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고령자 집단에서 연휴기간 자살자수 감소양상이 명확히 나타난다. 단, 성탄절에는 젊은 연령대의 자살자수 감소가, 높은 연령대의 자살자수 증가가 나타난다. 넷째, 성탄절 이후의 자살자수 감소는 혼인상태 및 연령과 관계없이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증대된 사회적 통합이 자살을 방지하지만, 사회적 통합을 증대시키는 요인이 세대에 따라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살시도 환자의 지속적 관리 완수 요인: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 사업 자료를 기반으로 한 코호트 추적 연구 (Factors for Completing Case Management of Suicide Attempters: A Coihort Follow-Up Study Based on Data From Case Management of Emergency Room-Based Suicide Attempters)

  • 류재현;허윤경;김다슬;김선미;한덕현;민경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2호
    • /
    • pp.176-183
    • /
    • 2021
  • 연구목적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에 등록된 자살시도자의 인구학적 요인, 자살시도 패턴 및 정신건강의학과 병력 및 관리가 사후관리 프로그램 완수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18년 6월 1일부터 2021년 5월 31일까지 중앙대학교병원 응급실을 방문한 자살시도 환자 중 사례관리에 동의한 66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는 응급실 퇴원 후 8주간의 사후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에 등록하여 관리를 받았다. 인구학적 요인, 자살시도 패턴, 정신건강의학과 병력 및 관리에 해당하는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사후관리사업 프로그램의 완수 여부를 종속변인으로 두고,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자살시도 패턴이 사후관리 사업 완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인구학적 요인, 정신건강의학과 병력 및 관리 순으로 사후관리 사업 완료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프로그램 완수자는 미완수자에 비해, 향후 자살계획을 가진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고, 자살시도의 진정성이 강했으며, 과거자살시도력 또한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대상자들이 사후관리사업 프로그램을 완수하고 지역사회 서비스로 연계되도록 하기 위하여, 자살시도 패턴, 인구학적 요인, 정신건강의학과 병력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한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

두 번의 경제위기와 실업, 노동빈곤, 그리고 젠더: 한국 자살 위험양식의 역동적 변화에 대한 시론 (Two Economic Crises, Unemployment, Working Poor, and Gender: Explaining the Dynamics of the Risk Patterns of Suicide in South Korea)

  • 문다슬;정혜주
    • 한국사회정책
    • /
    • 제25권4호
    • /
    • pp.233-263
    • /
    • 2018
  • 이 글은 정부의 자살예방을 위한 노력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것은 변화하는 자살의 위험양식과 그 메커니즘을 포착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판단 하에 한국 사회의 자살위험 발생 양식의 역동적 변화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살율이 급증한 1997-1998년과 2008-2009년 두 경제위기 시기 자살 위험양식의 차이를 젠더 관점에서 살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논의를 제공한다. 첫째, 두 경제위기 시기 자살률이 증가한 기전이 서로 달랐다. 1997년 외환위기는 대기업 상용직 중심의 실업이, 2008년 금융위기는 비정규직 중심의 노동빈곤이 자살을 증가시키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작동했다. 둘째, 따라서 각 시기별 남성과 여성의 자살위험 양식이 다르다. 다시 말해 1997년 외환위기의 효과는 대기업 상용직으로 주로 일하던 남성에게, 2008년 금융위기의 효과는 노동빈곤의 처지에 주로 있는 여성에게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두 시기 발견되는 자살 위험양식과 메커니즘의 젠더 차이는 여성차별적 노동시장구조와 남성주도적 사회정책의 결과로 이해 가능하다. 즉, 여성을 사회적 보호가 미치지 못하는 노동시장의 주변부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오히려 이들을 위기 시기 완충요소로 활용한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자살의 원인은 노동시장과 사회정책이라는 근본적이고 사회적인 지점에 있으며, 이러한 위험이 젠더와 결합하면서 또 다른 차별로 결과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적 전략은 젠더 관점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구집단 건강 관점에서 자살의 사회적 원인에 그 중심을 둘 것을 제안한다.

인구사회적 요인, 암, 일부 전신질환 등이 자살에 미치는 영향: 성별, 연령별 분석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Cancer, Psychiatric Disorder on Suicide: Gender and Age-specific Patterns)

  • 박재영;채유미;정상혁;문기태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1권1호
    • /
    • pp.51-60
    • /
    • 2008
  • Objectives : We examined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cancer, and psychiatric disorders on suicide by gender and age-specific patterns in South Korea. Methods : The study is a case-control study. Claim data was obtain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and national death registration database. The number of people who committed suicide was 11,523, which was matched with a control group consisting of ten times as many people at 115,230 select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aids beneficiaries. The medical utilization of the case group was one year before death and that of the control group was from July 1,2003 to June 30, 2004. Four variables-address, economic status, presence of a psychiatric disease, and cancer-were used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Results : Living in cities or in rural areas showed a greater risk for suicide than living in a metropolitan city. Low economic status, the presence of a psychiatric disorder, and cancer were also statistically meaningful risk factors for suicide. The three major psychiatric diseases, schizophrenia, alcohol abuse, and bipolar disorder, were meaningful in all age groups, but the scale of the odds ratio differed by the age group. Only the psychiatric disorder variable was meaningful in the adolescent group, whereas a psychiatric disorder and economic status were meaningful for the young adult group, and all variables were meaningful for the middle-aged group. A psychiatric disorder and cancer were meaningful in the elderly group, economic status was meaningful for male subjects, and address was meaningful for female subjects. Conclusions : Factors such as living in city or rural areas, low economic status, the presence of a psychiatric disorder, and cancer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risk factors in suicide. These factors also differed by age group. Therefore, policymakers should establish policies for suicide prevention that are relevant for each age group.

성별에 따른 지역 간 자살률 차이 및 영향요인 분석 (Regional Disparities of Suicide Mortality by Gender)

  • 서은원;곽진미;김다양;이광수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5-294
    • /
    • 2015
  • Background: Suicide is one of important health problems in Korea. Previous studies showed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in individual levels. However, suicide was influenced by society that individuals belong to, so it was required to analyze suicide in local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gional disparities of suicide mortality by gender and the association between local characteristics and suicide mortalit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29 city county district administrative districts in Korea. Age- and sex-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and age-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male/femal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City county district types, socio-demographics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number of marriages per 1,000 population, and single households), financial variable (financial independence), welfare variable (welfare budget), and health behavior/status (perceived health status scores and EuroQol-5 dimension [EQ-5D]) were used to represent the local characteristics. We used hot-spot analysis to identify the spatial patterns of suicide mortality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suicide mortality. Results: There wer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suicide mortality and hot-spot regions of suicide mortality by gender.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provided that city county district types (city),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financial independence, and EQ-5D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age- and sex-standardized suicide mortality per 100,000. Factor influencing suicide mortality was the number of divorces per 1,000 population in both male and female. Conclusion: Study results provided evidences that suicide mortality among regions was differed by gender. Health policy makers will need to consider gender and local characteristics when making policies for suicides.

Patterns of Alcohol Consumption and Suicidal Behavior: Findings From the Fourth and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2007-2011)

  • Bae, Hong-Chul;Hong, Seri;Jang, Sung-In;Lee, Kwang-Sig;Park, Eun-Cheol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8권3호
    • /
    • pp.142-150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uicidal behavior and patterns of alcohol consumption in Korean adults.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data provided b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from 2007 to 2011. A total of 42 347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whom 19 292 were male and 23 055 were fema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patterns of alcohol consumption and suicidal behavior. Results: Among the study subjects, 1426 males (11.3%) and 3599 females (21.2%) had experienced suicidal ideation, and 106 males (0.8%) and 190 females (1.1%) had attempted suicide during the previous 12 months.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scor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males and associated with bo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in females. Alcoholic blackouts were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in males, and were also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in females.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ertain patterns of alcohol consumption were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s. In particular, only alcoholic blackouts and categorized AUDIT scor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suicidal behavior in males. We therefore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is relationship prospectively and in other settings.

베이지안 모형을 활용한 국내 노인 자살률 질병지도 (Bayesian Analysis and Mapping of Elderly Korean Suicide Rates)

  • 이자연;김달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2호
    • /
    • pp.325-334
    • /
    • 2015
  • 한국의 고령화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노인자살은 노인의 주요 사망원인이며 노인은 다른 연력층보다 자살의 고위험군으로 알려져있다. 고령화 시대에서 노인의 자살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노인자살에 대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지역적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노인의 자살문제에서는 지역사회와의 통합결여 등이 큰 원인으로 고려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추정된 표준화사망률을 이용하여 질병지도를 작성하고자 하였다.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하기 위해서 simultaneous CAR model을 사용하였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통계청 사망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시군구별 노인자살자수에 대해 두 모형을 적합시켜본 결과,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하지 않은 모형보다 공간적 상관관계를 고려한 모형이 더 좋은 모형임을 보였다. 또한 효율적인 베이지안 추론을 위해 격자망 방법 등을 고려하였다.

건강보험청구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상의 주의사항에 자살이 기재된 약물의 처방 양상 분석 (Analysis of the Prescription Patterns of Medications that List Suicide in Use Cautions using the HIRA Claims Data)

  • 오수인;박혜경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2-208
    • /
    • 2019
  • Objective: Suicide has recently become an important social problem. Thus, we analyzed prescription drugs that cause suicidal ideation. Methods: Of 156 drugs on the the Minister of Food and Drug Safty (MFDS) EZ-Drug site that had "suicide" listed as a side effect, 78 had "suicide" listed as a warning or contraindication; those 78 drug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2016 Health Insurance and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s National Patient Sample (HIRA-NPS). Results: 51 "suicide risk" drugs was identified. Of all patients, 5.2% had received such drugs. The prescription rate was 0.8% of all prescriptions, accounting for 1.6% of all prescription days. From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escription rate for the drugs was approximately 1.1 times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With regard to age, the prescription rate for patients 66 years and older was 15.5 times higher than those for patients 25-years and lower. With regard to medical departments, the prescription rates in psychiatry and dermatology departments were 8.1 times higher and 0.6 times lower than those in internal medicine departments, respectively. With regard to region, the prescription rates in Daegu and Jeju were 1.3 times higher and 0.79 times lower than those in Seoul, respectively. Conclusion: Drug-induced suicidal behavior is possible, and therefore efforts are needed to prevent it.

청소년 자살시도 관련 변인이 자살시도 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Suicide Attempt on the Types of Youth Suicide Attempt)

  • 이승진;유난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7-79
    • /
    • 2020
  • 본 연구 목적은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분석하고, 개인심리(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건강상태(주관적 건강인식, BMI), 주관적 학업성적이 청소년 자살시도 유형(계획적 자살시도자와 충동적 자살시도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제 15차(2019년) 청소건강행태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자살시도자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청소년 자살시도자 1,731명중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1,575명(91%)으로 충동적 자살시도자 156명(9%)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67.3%)이 남성(32.5%)에 비해 자살시도가 높게 나타났고, 학교유형별로 보면 중학생(62%)이 고등학생(38%)에 비해 높은 자살시도율을 보였다. 둘째, 자살시도 유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주관적 우울감', '주관적 스트레스', '주관적 건강인식'이었다. 우울감을 경험한 청소년의 경우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계획적 자살시도를 실행할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는 청소년의 경우에도 계획적 자살시도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인식의 경우 충동적 자살시도자가 계획적 자살시도자와 비교하여 1.32배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청소년의 경우 계획적 자살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BMI, 주관적 학업성적의 경우 청소년들의 자살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가정과수업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잠재적 청소년 자살시도 예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