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s of Korean ginseng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초

EFFECTS OF MAILLARD-TYPE PRODUCTS ON SERUM ENZYMES IN RATS AND ON MUTAGENICITY IN SALMONELLA TYPHIMURIUM

  • Yang, Kwang-Kyu;Moon, Ja-Yeong;Park, Ki-Hyu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11-119
    • /
    • 1987
  • The Maillard reaction products between amino acids and sugars are used effectively as flavors for processed foods and tobacco. Recently, considerable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toxicological effects of maillard browned compounds. Therefore, we have tested the safety on the three-types of Maillard products (KG-19, KG-24 and KG-32) prepared from this Research Institute. Throughout the observation period of the acute toxicity study in rats and the mutagenicity assay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he test articles did not show any sigificant toxic or mutagenic signs.

  • PDF

인삼(人蔘) Saponin 산가수분해물(酸加水分解物)의 당류(糖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Identification of Sugar from Korean Ginseng Saponins by Acid-hydrolysis)

  • 임국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1호
    • /
    • pp.26-33
    • /
    • 1977
  • 인삼(人蔘) Saponin의 구성당류(構成糖類)를 동정하기 위하러 인삼(人蔘) 종류별(種類別), 연근별(年根別) 시료(試料)에 대하여 실험(實驗)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미삼(尾蔘), 백삼(白蔘), 삼년(三年) 및 육년근(六年根) 수삼(水蔘)의 전분함량(澱粉含量)은 각각(各各) 10.4, 31.5, 8.2, 25.6%였으며 전당(全糖)은 각각(各各) 37.0, 61.5, 64.5, 62.5% 였고 유리당(遊離糖)은 7.6, 10.5, 11.3, 10.7% 였다. 2. 미삼(尾蔘), 백삼(白蔘), 삼년(三年) 및 육년근(六年根) 수삼(水蔘)에서 얻은 Saponin을 TLC에 의하여 전개(展開)시킨 결과(結果) 거의 유의(類似)한 Pattern을 동정 하였다. 3. 미삼(尾蔘)에서 분리(分離)한 Saponin 산가수분해물(酸加水分解物)의 Paper Chromatography 결과(結果) glucose를 동정할 수 있었고 Pentose로 예상되는 unknown chromatogram을 얻을 수 있었으며 Saponin의 구성당(構成糖)은 0.7%였다. 4. 미삼전당(尾蔘全糖)획 구성비(構成比)는 전분(澱粉), 유리당(遊離糖), Saponin분자(分子) 구성당(構成糖), 기타가 각각(各各) 28.1 2.05, 1.9, 49.5%였다.

  • PDF

역상소형컬럼 전처리를 이용한 Ginsenoside의 신속정량법 (A Rapid Method of Ginsenoside Analysis in HPLC by Pretreatment through the reverse-phase minicolumn)

  • 이미경;임선욱;박훈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64-172
    • /
    • 1988
  • 인삼사포닌 정량분석의 상법 purification과정을 역상소형 $C_18$ 컬럼 전처리로 대체할 수 있었으며, 분석시간은 1/4로 단축되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total ginsenoside의 회수율은 높으나 protopanaxatriol계 ginsenoside들의 회수율은 약간 낮았으며, 근중 농도 정도의 당류는 ginsenoside 회수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Ginsenoside 회수율의 변이계수는 상법의 경우보다 작았으며 이 방법에 사용되는 ginsenoside의 적정량은 10~15mg이었다. 역상소형컬럼방법은 건삼과 홍삼시료처리시에도 상법과 고도의 유의성을 나타냈다. 신속 역상소형컬럼 방법을 실제로 이용하기 위하여 8점의 시료를 동시에 처리하는 소형아크릴 장치를 사용하였다.

  • PDF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of heat stress responsiveness between two contrasting ginseng cultivars

  • Jayakodi, Murukarthick;Lee, Sang-Choon;Yang, Tae-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572-579
    • /
    • 2019
  • Background: Panax ginseng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to strengthen the body and mental well-being of humans for thousands of years. Many elite ginseng cultivars have been developed, and ginseng cultivation has become well established during the last century. However, heat stress poses an important threat to the growth and sustainable production of ginseng. Efforts have been made to study the effects of high temperature on ginseng physiology, but knowledge of the molecular responses to heat stress is still limited. Methods: We sequenced the transcriptomes (RNA-Seq) of two ginseng cultivars, Chunpoong (CP) and Yunpoong (YP), which are sensitive and resistant to heat stress, respectively, after 1- and 3-week heat treatments.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and gene ontology enrichment along with profiled chlorophyll contents were performed. Results: CP is more sensitive to heat stress than YP and exhibited a lower chlorophyll content than YP. Moreover, heat stress reduced the chlorophyll content more rapidly in CP than in YP. A total of 329 heat-responsive genes were identified. Intriguingly, genes encoding chlorophyll a/b-binding proteins, WRKY transcription factors, and fatty acid desaturase were predominantly responsive during heat stress and appeared to regulate photosynthesis. In addition, a genome-wide scan of photosynthetic and sugar metabolic genes revealed reduced transcription levels for ribulose 1,5-bisphosphate carboxylase/oxygenase under heat stress, especially in CP, possibly attributable to elevated levels of soluble sugars. Conclusion: Our comprehensive genomic analysis reveals candidate loci/gene targets for breeding and functional studies related to developing high temperature-tolerant ginseng varieties.

박피가 인삼의 색택 및 주요 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Changes of Surface Color Formation and Constituents of White Ginseng Preparer with Peeling by Using Barker)

  • 최재을;남기열;이상국;김현호;조항식;황광보;고성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69-375
    • /
    • 2008
  • 본 연구는 박피시간에 따른 백삼의 색택과 일반성분 및 사포닌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백삼 표피의 색택은 박피시간이 길어질수록 양호하였다. 일반성분인 조지방, 조단백질, 지방산 및 아미노산은 박피에 따라 약간 증가하였으나 탄수화물 및 유리당은 감소하였다. 조사포닌과 ginsenosides 함량은 박피에 따라 크게 감소하였다. 박피 인삼의 ginsenosides는 무박피에 비하여 약 20-30% 감소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백삼의 박피가 색택을 좋게 하지만 인삼의 주요 유효성분인 사포닌 함량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하였다.

오미자의 부위별 유리당, 지질과 비휘발성 유기산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s, Lipid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이정숙;이성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77-179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s of free sugars, lipid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parts of omija. The major components of free sugars in each part of omija were fructose and glucose. The contents of those were similar in fruits and endocarps, however, the content of glucose was 1.5 times as much as that of fructose in seeds. The content of lipids in endocarps was 2.4 times as much as that in seeds, and major composition of lipids was neutral lipid. In the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the content of citric acid that content was 61 to 68% depend on each part of sample was highest among other components, and that of malic acid being 25 to 30% was followed. The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of water extract were 74.5, 55.9, and 69.2% as high as those of original sample in fruits, endocarps, and seeds, respectively. The content of oxalic acid in seeds was lower than that of it in original sample.

  • PDF

Rhizopus japonicus 에 의한 Ginsenoside $Rb_1$ 전환효소의 생산조건 (Production of the Convertible Enzyme of Ginsenoside $Rb_1$ by Rhizopus japonicus)

  • 김상달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4
    • /
    • 1989
  • 인삼 saponin중 조성비율이 가장 큰 ginsenoside Rb1만을 약효면에서 보다 우수한 ginsenoside Rd로 선택적 전환시킬 수 있는 Rhizopus japonicus를 대상으로 해서 인삼 saponin 전환효소의 최적생산조건을 검토하였다. Wheat bran 배지를 기본으로 할 경우 배양 5일에 가장 많은 효소가 생산되었으며, 인삼류의 천연유기물중에는 홍삼분말을, 저급당류중에는 xylose를, 다당류중에는 laminarin을 flavonoids중에는 naringin을, 질소원중에는 beef extract와 $KNO_3$를 첨가할 경우 인삼 saponin 전환효소가 가장 많이 생산되었다.

  • PDF

수종의 암세포주에 대한 인삼 사포닌 및 그 분해산물의 구조와 세포독성 관계 (CYTOTOXICITIES OF GINSENG SAPONINS AND THEIR DEGRADATION PRODUCTS AGAINST SOME CANCER CELL LINES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

  • 백남인;김신일;이유희;김동선;박종대;이천배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93년도 학술대회지
    • /
    • pp.132-137
    • /
    • 1993
  • 한국산 고려 홍삼을 산 또는 알칼리로 가수분해하여, 여러가지 사포게닌과 프로사포게닌을 제조하였으며, 분광학적 데이터와 물리 데이터 등으로부터 이들의 화학 구조를 결정하였다. 이들 중 몇종의 분해산물은 A549, SK - OV. - 3, P388, L1210, SK - Mel - 2 및 K562 등의 암세포에 대하여 세포 독성을 나타내었다. Diol계와 triol계 모두 20번 탄소의 절대구조만이 다른 입체 이성체간의 세포독성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으며, diol 계의 물질들이 triol계 물질보다는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결합된 탄소의 수가 적을수록 세포독성은 강하여지는 경향??? 보였다.

  • PDF

Candida payapsilosis가 홍삼엑기스의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andide parapsilosis on the Changes in Various Components of Korea Red Ginseng Extract)

  • 양재원;노길봉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60-65
    • /
    • 1989
  • 부패된 홍미삼엑기스로부터 분리동정한 내삼투압성 효모인 C. parapsilosis가 홍미삼엑기스의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 parapsilosis를 배양하면서 pH의 변화, ginsenoside의 함량, 지방산, phenol 화합물 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엑기스를 소량 첨가하였을 때는 배지의 pH에 다소 영향을 주었으나 엑기스를 다량(10~20%) 첨가하였을 때는 pH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C. parapsilosis는 홍삼엑기스의 사포닌의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고 사포닌을 탄소원으로 이용하지 못하였으며 사포닌 중량 첨가에 따른 생육 촉진경향 혹은 저해현상도 없었다. C. parapsilosis의 홍미삼엑기스의 유리당 이용 패턴은 glucose, fructose 등 단당류를 먼저 흡수 이용하고 다음에 sucrose, maltose 등을 2차적으로 이용하였다. 홍미삼엑기스의 대부분의 지방산은 C. parapsilosis 생육에 의하여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이중결합이 없는 stearic acid, palmitic acid는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페놀화합물 중 maltol은 현저히 감소하였고 그 외에 vanillic acid, m-coumaic acid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비휘발성 유기산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아미노산은 배양 전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특히 arginine은 완전 소진되었다.

  • PDF

인삼열매로부터 분리한 Rhamnogalacturonan II 다당의 면역활성과 세포 내 신호전달 기작 규명 (Immunostimulatory activity and intracellular signaling pathways of a rhamnogalcaturonan II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ginseng berry)

  • 차하영;손승우;신광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722-730
    • /
    • 2021
  • 본 연구는 인삼열매로부터 RG-II 형태의 다당(GBW-II)을 분리하고 대식세포 활성화에 대한 세포 내 신호전달의 세부 기작을 규명함으로써 새로운 건강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진행되었다. GBW-II의 구성당을 확인한 결과, 전형적인 RG-II의 구성당인 2-methyl-xylose, apiose, aceric acid, KDO 및 DHA와 같은 특이 구성당을 함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BW-II는 대식세포 유래 세포주인 RAW 264.7 cell에 처리하였을 경우, 어떠한 세포 독성도 확인되지 않았으나 IL-6와 TNF-α와 같은 cytokine의 분비는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AW 264.7 cell을 이용한 세포 내 신호전달에 관한 실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GBW-II는 대식세포 표면에 발현된 TLR2, TLR4 및 SR에 결합하여 MAPKs (p38, ERK) 및 NF-κB를 경유하여 IL-6와 TNF-α와 같은 cytokine의 분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 한편, RG-I, RG-II, β-glucan, arabinoxylan 및 xyloglucan과 같은 식물체 유래 고분자 다당체의 약리활성은 그들의 구조적 차이에서 기원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건강기능성식품 소재로의 개발을 위해서는 활성물질의 미세구조에 대한 해명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추후 연구에서 효소적 및 화학적 가수분해, methylation, sequencing 등을 이용하여 인삼열매 유래 정제 다당 GBW-II의 미세구조를 규명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