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gar reduced

검색결과 572건 처리시간 0.026초

찹쌀가루 입자의 크기에 따른 두텁편의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for Dutubpyun according to Grain Fineness of Glutinous Rice Powder)

  • 김순조;우경자;최원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23-331
    • /
    • 2006
  • The manufacture and consumption of traditional Korean rice cake is being reviv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various desserts and confectionaries in the food industry. In order to develop this traditional food of Korea and allow various types of rice cakes to enter the market, it is essential to standardize the cooking methodology.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Dutubpyun, a traditional food famous for its good taste. In addition, the original cooking methodology varies between cookbooks. Therefore, in order to standardize the cooking methodology for Dutubpyun referring to various cookbooks, different types Dutubpyun were made by varying the grain fineness of the glutinous rice powder to 16, 20, 30 and 40 meshes, adding up water to 10%, up sugar to 10% and up soy sauce to 5%. Subsequently, a sensory evaluation, and a test on the moisture, degree of gelatinization and hardness during storage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optimal grain fineness of the powder. For the sensory evaluation, where the grain sizes of the glutinous rice powder were different, the 30 and 40 mesh samples received high scores for grain fineness, moisture and chewiness. The 40 mesh samples received high scores for softness, while the overall quality was the highest in the 30 mesh samples. The moisture content during storage was $38.0{\sim}40.6%$ for the samples on the day of cooking, while it was reduced to $33.3{\sim}35%$ after 3 days of storage. Regarding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during storage, the maltose content was $2.4{\sim}2.7 mg$ for the samples on the day of cooking. After 3 days, the maltose content was $2.3{\sim}2.8 mg$ but the maltose content was higher in the 40 mesh samples than in the other samples. Regarding the change in hardness during storage, the hardness marked high in the 20 mesh samples on the day of cooking (p<0.05), while it was high in the 16 mesh samples after 3 days of storage (p<0.001). The hardness tend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Regarding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glutinous rice powder and Dutubpyun, a difference in grain fineness was clearly seen in the 15x-magnifications photograph of the rice powder structure taken by SEM. At 60x and 180x magnifications of surface of Dutubpyun, the 16 mesh samples had a uniform air gap, and a lumpy configuration. Smaller air gaps were dispersed homogeneously and similar to a net in the 20 and 30 mesh samples. The 40 mesh samples showed to a net-likes structure with cracks. Overall, for the best conditions for cooking Dutubpyun, the grain fineness of the glutinous rice power needs to be 30 mesh.

  • PDF

진품콩과 작두콩을 이용한 요구르트 가공 특성 (Characteristics of Yogurt Prepared with ′Jinpum′ Bean and Sword Bean(Canavalin gladiata))

  • 주선종;최금주;김기식;이재웅;박성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08-312
    • /
    • 2001
  • 진품콩에 작두콩의 종실을 첨가하여 맛과 영양이 우수한 요구르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진품콩에 작두콩의 혼합 비율별로 두유를 착즙하고 유산발효 시킨 제품의 가공특성을 검토하였다. 원료콩의 단백질 함량은 진품콩이 38.0%로 작두콩 27.5f%보다 높았다. 유산발효 중 PH와 당도는 발효개시 후 4시간까지는 급격히 저하했다가 8시간 이후에는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유기산 함량과 유산균 수는 증가하였고, 20시간 발효시 진품콩 100%에 비하여 진품콩 95%와 작두콩 5% 혼합 요구르트 특성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진품콩 95%와 작두콩 5% 혼합 요구르트의 발효중 생균수는 20시간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에는 현저히 감소하여 진품콩 100%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20시간 발효후 요구르트의 색도는 진품콩 95%와 작두콩 5% 혼합 처리구가 진품콩 100%와 유사한 값을 보였으나, 진품콩 90%와 작두중 10% 혼합 요구르트는 발효전과 후의 색도 변화가 거의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 진품콩 95%와 작두중 5% 혼합 요구르트에 사과시럽보다 딸기시럽을 첨가한 것이 기호도가 더 높았다.

  • PDF

신재생 대안 에너지로서의 셀룰로스 에탄올 (Cellulosic Ethanol as Renewable Alternative Fuel)

  • 조우석;정유희;김보경;서수정;고완수;최성화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111-118
    • /
    • 2007
  • 가속도가 붙은 지구온난화 문제와 수 십년 이내로 예상되는 화석연료의 고갈은 지속가능하면서도 환경친화적인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출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태양광, 조력, 지열, 풍력, 수소 에너지와 더불어 바이오에너지가 대체에너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에너지는 태양에너지를 유기물로 변환하는 식물을 재료로 하여 바이오 에탄올이나 바이오디젤 등을 생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 에너지가 갖춰야 할 조건을 두루 갖춘 최적의 신재생에너지로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바이오에너지가 진정한 의미에서의 환경친화적이면서 지속가능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아직 기술적으로 해결해야할 문제점들이 많다. 최근 미국에서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옥수수 소비량이 늘어 곡물 및 사료 가격의 급등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개발도상국 식량자원의 선진국 유입 등으로 빈곤의 심화 등이 새로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곡물이 아닌 비식용 부위를 이용한 에탄올 생산이 대안으로 여겨지고 있는 바 셀룰로스 에탄올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체에너지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셀룰로스 바이오에탄올은 사람 등의 동물이 소화하지 못하는 바이오매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식물 세포벽을 곰팡이 등에서 분리한 효소로 분해한 후 여기서 생성되는 당을 발효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에탄올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유망한 대안 에너지로 고려되고 있다.

파종 심도가 콩의 하배축 생장과 Hook 열림 및 Sucrose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ing Depth on Hypocotyl Growth, Hook Opening, and Sucrose Metabolism in Soybean)

  • 윤승길;이상각;이상은;박소현;허광운;임선;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9-436
    • /
    • 2003
  • 파종심도차이에 의한 콩의 하배축 생장동안 hook 열림 정도와 sucrose 대사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황금콩을 2.5, 5.0, 7.5 및 10.0 cm의 깊이로 파종하였다. hook 열림 정도는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늦어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또한 열림각도는 하배축생장과 1% 수준에서 고도의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파종심도는 하배축 생장과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는 파종심도가 깊을수록 하배축생장이 촉진된다는 것을 의미하였 다. 더 나아가 하배축에서의 fructose와 glucose 함량이 자엽보다 다량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배축에서 fructose와 glucose는 지상부 출현 직전에 가장 높았으며 출현 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총 가용 당의 함량은 파종심도가 얄은 2.5 cm와 5.0 cm로 파종한 콩 종자에서는 출현 후 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반면 파종심도가 깊은 종자에서는 현저히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파종심도가 갚은 종자에서 하배축의 과도한 생장동안 세포벽 등의 생성을 위해 당이 모두 소진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런 현상은 hook 열림이 출현 후 광 signal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었다. 깊은 파종심도에서 hook 열림의 지연은 하배축 생장이 암상태에서 진행되기 때문이었다. 이는 정단부 hook 열림 현상이 광과 관계한 sucrose 분해대사와 함께 진행한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마늘 첨가 된장의 숙성 중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 Doenjang with Addition of Garlic during Fermentation)

  • 강재란;김경민;황초롱;조계만;황정은;김정환;김정상;신정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35-443
    • /
    • 2014
  • 마늘을 0, 10, 20 및 30% 첨가하여 된장을 제조한 후 6주간 숙성시키면서 1주 간격으로 된장의 품질 관련인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명도는 마늘 농도와는 상관없이 모든 시료가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값이 감소하였으며, 마늘 첨가 농도가 높아질수록 더 낮았다. 황색도는 숙성 후기에 그 값이 감소하였는데, 대조군보다 마늘 첨가된장에서 더 낮았다. 제조 직후와 비교하여 숙성 1주차에 pH는 크게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불규칙한 증감을 보였으며, 마늘의 첨가 농도에 따른 통계적인 유의차도 없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숙성 5주차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숙성 5주차와 6주에는 시료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마늘의 첨가가 된장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원당 역시 숙성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그 함량 역시 증가하였는데, 제조 직후에 비하여 숙성 6주 뒤에는 모든 시료군에서 약 2.5배 증가하였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숙성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숙성 초기에는 배당체 형태의 함량이 높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그 함량은 감소하고 비배당체 형태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Bacillus는 마늘의 첨가량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효모수는 마늘의 첨가량이 높을수록 적었다.

Effects of Feeding Solid-state Fermented Rapeseed Meal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Ecology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 Chickens

  • Chiang, G.;Lu, W.Q.;Piao, X.S.;Hu, J.K.;Gong, L.M.;Thacker, P.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263-271
    • /
    • 2010
  • This t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eeding a diet containing solid-state fermented rapeseed meal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ntestinal ecology and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 chickens. A mixed liquid culture, containing approximately 5 log cfu/ml Lactobacillus fermentum, Enterococcus faecium, Saccharomyces cerevisae and Bacillus subtilis was prepared in a 1:1:1:1 ratio. A basal substrate (BS) containing 75% rapeseed, 24% wheat bran and 1% brown sugar was mixed with the liquid culture in a ratio of 10:3. Over the 30-day fermentation, isothiocyanates were reduced from 119.6 to 14.7 mmol/kg. A total of 168, day-old male Arbor Acres broiler chicks were assign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including a corn-soybean meal based control diet as well as two experimental diets in which the control diet was supplemented with 10% of the BS containing unfermented rapeseed meal or 10% of the BS containing rapeseed meal subjected to solid state fermentation. There were 8 pens per treatment and 7 birds per pen. From days 19-21 and days 40-42, uncontaminated excreta were collected from each pen for digestibility determinations. In addition, digesta from the colon and ceca were collect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lactobacilli, enterobacteria and total aerobes. The middle sections of the duodenum, jejunum, and ileum were collected for intestinal morphology. Ove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d 1-42), the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of birds fed fermented rapeseed meal were superior (p<0.05) to that of birds fed nonfermented rapeseed meal and did not differ from the soybean control. On day 42, birds fed fermented rapeseed meal had higher (p<0.05) total tract apparent digestibility coefficients for dry matter, energy, and calcium than birds fed non-fermented rapeseed meal. Colon and ceca digesta from broilers fed the fermented feed had higher (p<0.05) lactobacilli counts than birds fed the control and non-fermented rapeseed meal diets on day 21 and 42. Fermentation also improved (p<0.05) villus height and the villus height:crypt depth ratio in the ileum and jejunum on day 21 and 42. The results indicate that solid-state fermentation of rapeseed meal enhanced performance and improved the intestinal morphology of broilers and may allow greater quantities of rapeseed meal to be fed to broilers potentially reducing the cost of broiler production.

감귤 농축액 첨가가 고추장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itrus Concentrat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 채인숙;김효선;고양숙;강민화;홍상필;신동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26-632
    • /
    • 2008
  • 전통 고추장의 기호성과 품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감귤 농축액을 3, 6, 9% 첨가한 전통 고추장을 만들고 숙성과정 중의 성분변화를 분석하였다. 수분함량은 숙성과 더불어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감귤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수분함량의 증가가 둔화되었다. pH는 숙성 10주까지는 감소하다 그 이후 약간 증가한 반면 적정산도는 10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감귤 농축액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숙성과 더불어 증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숙성 6주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감귤 농축액 첨가 고추장에서가 더 많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고추장의 색은 감귤 농축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약간 밝아졌으나 숙성과 더불어 L, a, b 값은 감소하였다. 고추장의 총 균수는 숙성 12주 동안 큰 변화가 없이 $1.0{\times}10^7-6.8{\times}10^7CFU/g$정도를 유지하는 양상을 보였다. 효모는 숙성 6주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약간의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감귤 농축액의 첨가로 고추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아미노태 질소와 환원당의 함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고추장의 색도 밝아져 고추장의 품질에 바람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6%의 감귤 농축액 첨가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석팥죽 제조를 위한 가공조건 및 제품의 품질 (Preparation Condition and Product Quality of Precooked Redbean Porridge)

  • 김종태;김복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05-309
    • /
    • 1994
  • 이축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붉은 통팥과 옥수수전분을 원료로 하여 압축성형하고 이를 건조, 분쇄, 배합하여 즉석팥죽 분말을 제조하였으며 이때의 제조공정과 제품의 품질을 검토하였다. 원료의 수분함량 $24{\sim}26%$, 압출성형온도 $150{\sim}155^{\circ}C$, 스크류의 회전속도 350 rpm 및 원료투입량 60 kg/hr의 압출성형조건으로 제품을 생산하였을 경우 팥죽 고유의 냄새와 색상을 유지하는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 압출성형중 분말원료에 가해지는 가수량이 6 kg/hr에서 2 kg/hr로 감소됨에 따라서 압출성형온도는 $150^{\circ}C$에서 $198^{\circ}C$로, 기계적소모에너지는 134 kwh/ton에서 144 kwh/ton으로 증가하였다. 건조분말상태에서 caking이 형성이 되지 않는 수분함량인 4% 이하로 건조되는 열풍건조 조건은 건조온도 $80^{\circ}C$ 에서는 4시간, $100^{\circ}C$ 에서는 1.5시간 이었다. 압출물의 분쇄후 분말의 입도분석은 체목이 0.5 mm인 것을 사용하였을 경우 약 80%가 65 mesh 체를 통과하였고, 1 mm인 체목인 경우는 약 65%가 65 mesh 체를 통과하였다. 최종배합제품의 수분흡수속도는 설탕배합구가 100% RH하에서 13시간이 경과된 후 caking이 형성되었다. 팥압출물분말, 옥수수전분 및 설탕의 배합비를 달리한 제품의 기호도 검사에서 팥의 함량이 줄어듬에 따라 팥죽냄새가 감소하여 기호성이 저하되었다.

  • PDF

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식초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Preparation of fermented vinegars using mushroom mycelial cultures and characterization of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김정한;백일선;신복음;이용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30-234
    • /
    • 2019
  • 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이용한 식초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베타글루칸 함량 분석결과 현미에서는 29.2 mg/g이었으나 버섯 균사체 배양물에서 함량이 증가하여 상황 78.7 mg/g, 동충하초 46.6 mg/g, 노랑느타리 19.9 mg/g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충하초 배양물은 조지방과 베타글루칸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코디세핀도 0.34 mg/g 함유되어 있었다. 버섯 균사체 배양물 첨가에 따른 알코올 발효특성은 건조시료 중에서는 현미, 동충하초가 생시료 중에서는 노랑느타리의 알코올 생성능이 높았으며, 초산발효 시 산도는 건조시료에서는 노랑느타리가, 생시료에서는 현미의 산도가 높았다. 버섯 균사체 배양식초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결과 건조시료 중 노랑느타리와 동충하초 식초가 산도가 높고 환원당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호도 평가 결과 노랑느타리와 동충하초 균사체 식초가 현미식초에 비해 기호도가 높았고 이취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 균사체 식초의 기능성분 분석결과 동충하초 식초는 폴리페놀이 우수하였고 또한, 코디세핀이 786 mg/L 함유되어 있으며, 노랑느타리 식초는 베타글루칸 함량이 20.9 mg/g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버섯 균사체를 활용한 발효식초 제조에 적합한 균으로는 동충하초와 노랑느타리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적정 초산 발효기간, 보존 방법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rushiol Free Fermented Rhus verniciflua Stem Bark (FRVSB) Extracts)

  • 최한석;여수환;정석태;최지호;박효숙;김명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3-17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옻의 식품사용을 위해서 urushiol의 제거된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생옻은 물추출에서 3.4mg%의 urushiol이 용출되는 반면 발효옻에서는 용출되지 않았다. 발효옻의 물추출조건은 고형분,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고려되었으며, $100^{\circ}C$에서 6-8시간 추출하는 것이 적정하였다. 발효옻 추출물의 pilot scale 생산에서 추출수율은 5.7%이었다. 추출물은 수분 4.34%, 조지방 1.69%, 조단백질 10.21%, 조회분 15.80%의 일반성분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3종류의 phenolic acid와 4종류의 flavonoid가 검출되었다. Phenolic acid중에서는 gallic acid(1,090.5 mg%)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flavonoid중에서는 fisetin(135.7 mg%)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발효옻 추출물에 존재하는 유리당은 mannitol 3.48%, glycerol 0.19%, glucose 0.19%이었으며, 3,034 ppm의 유리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었다. Alanine(244 ppm), serine(231 ppm), leucine(218 ppm)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 이었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31.9%이었고 ${\gamma}$-aminobutyric acid 함량은 122 ppm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