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rose content

검색결과 861건 처리시간 0.022초

대두종자의 발아시간에 따른 Monosaccharides와 Oligosaccharides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nges of Monosaccharides and Oligosaccharides during Germination of Soybean Seeds)

  • 김이훈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9권
    • /
    • pp.52-58
    • /
    • 1975
  • 대두에 함유되어 있는 Stachyose를 소화성당으로 변화시켜 식품으로서의 가치를 제고시킬 목적으로 대두 '평양'품종을 표준발아와 Hypochlorite를 처리한후 발아과정중 종자내에 함유되어있는 Monosaccharides 및 Oligosaccharides의 함량변화를 Thin-Layer Chromatography법으로 실험하였다. 1. Monosaccharides의 함량변화: 표준발아시 전기간중 Fructose가 제일함량이 많았고 Glucose, Galactose순으로 함량이 적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감소되었다. Hypochlorite처리시 전기간중 Galactose는 전연 나타나지 않았다. 두 처리간에는 144시간을 제외하고 표준발아시켰을때가 Monosaccharide의 함량이 많았다. 2. Oligosaccharides의 함량변화: Sucrose는 표준발아시 함량은 적으나 전기간중 나타났으며96시간까지는 증가되었다가 약간씩 감소됐다.

  • PDF

강낭콩 발아중 유묘 부위별 당함량의 변화 (Variation of Sugar Content in Different Parts of Seedling during Germination in Phaseolus vulgaris)

  • 김종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82-488
    • /
    • 1996
  • 비배유종자인 두류는 발아시 자엽내 전분 energy원이 어떻게 분해 전이되어 배아부로 공급되는가를 구명하고자 자엽에 당질이 많고 종자수명이 긴 강남콩을 공시하여 발아과정중 경시적으로 유식물체를 부위별로 절취하여 건물중과 당류의 경시적 소장 및 이동을 HPLC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강남콩 종자에서 자엽 부위의 수분 함율은 6.4 ∼6.5%이나 발아 기간중 ( 1∼8일) 흡수율은 45.8∼71.2%로 증가되며 자엽 하반부가 후엽 상반부보다 1.1∼3.8% 높았다. 자엽을 제외한 근부(유아 + 유근 + 유축부)의 조직 기관에서는 더욱 많은 72.2∼93.3%로 자엽조직보다 현저한 함수율을 보였다. 2. 발아중 강남콩 종자의 주요 당류는 raffinose, sucrose, glucose, fructose이며 경시적 당류 소장이 부위별로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3. 종자가 파종 흡수되면 각 기관 조직에 raffinose가 급증하나 발아가 완료되면 유아부에서는 소진되고 자엽 하반부에서는 다소 잔존함을 알 수 있었다. 4. Sucrose는 발아초 신생 유아부와 종자의 자엽에 많이 생성되나 발아 후 유아부에서는 급감되고 자엽 조직에서는 계속 생성되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5. Glucose와 fructose는 종자의 자엽부에서는 발아 기간중 5∼l0%와 5∼l5% 범위의 적은 변화였으나 유아 및 생장부위에서는 발아 초기부터 후기까지 현저히 계속 증가됨을 인정할 수 있었다.

  • PDF

단옥수수의 성숙정도에 따른 당함량, 가용성 고형물 및 맛의 변화 (Sugars, Soluble Solids and Flavor as Influenced by Maturity of Sweet Corn)

  • 이석순;김태주;박종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6-91
    • /
    • 1987
  •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호에 알맞는 단옥수수의 수확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3개 보통단옥수수 품종(Great Bell, 단옥 001, Golden Cross Bantam)과 초당옥수수 1개 품종(Crisp Super Sweet 720)을 공시하여 1985년과 1986년에 걸쳐 시험하였다. 시료를 출사 후 15일부터 27일 혹은 33일까지 3일간격으르 심취하여 성숙과정에 따른 종실의 발달, 당, 가용성 고형물, 맞 등의 변화와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수확적기를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단옥수수인 Golden Cross Bantam은 출수후 15일부터 33일까지 입중. 종실건물비율, 전분함량이 계속 증가하였으나 초당옥수수인 Crigp Su-per Sweet 720은 출사 후 27일 이후에는 이들의 증가가 완만하였고 전분축적도 Golden Cross Bant-am보다 훨씬 적었다. 2. 가용성 고형물은 3개 보통단옥수수 품종은 출사 후 27일 혹은 33일까지 증가하였으나 Crisp Super Sweat 720은 24일까지 증가한 후 30일 까지는 같은 수준으로 유지한 후 감소하였다. 수확기의 가용성 고형물은 보통단옥수수 품종이 Criap Super Sweat 720 보다 훨씬 높았다. 3. 종실의 sucrose, fructose. glucose 함양은 3개 보통단옥수수 품종에서는 출사 후 15일에 1∼2%로서 비슷하였으나 그 후 fructose와 glucose는 감소하고, sucrose는 출사 21∼24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여 전당함양은 출사 후 15∼21 일까지는 높게 유지된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초당옥수수에서는 sucrose, fructose, glucose 모두 출사 후 24 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따라서 수확기의 주된 당성분은 Sucrose이었으며 최고전당함양은 보통옥수수보다 2∼3배 높았다. 4. 맛을 기준으로 한 수확적기는 출사 후 27일이었다. 가변성 고형물과 맛과는 같은 품종에서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전당함량과 맛과는 관계가 없거나 부의 상관이 있었다. 전당함양과 가용성 고형물과는 관계가 없거나 부의 상관이 있었다.

  • PDF

재조합 대장균에서 수크로즈로부터의 젖산을 모노머로 함유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칸산 생산 연구 (Biosynthesis of Lactate-containing Polyhydroxyalkanoates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from Sucrose)

  • 오영훈;강경희;신지훈;송봉근;이승환;이상엽;박시재
    • KSBB Journal
    • /
    • 제29권6호
    • /
    • pp.443-447
    • /
    • 2014
  • Biosynthesis of lactate-containing polyhydroxyalkanoates (PHAs) was examined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W strain from sucrose. The Pseudomonas sp. MBEL 6-19 phaC1437 gene and the Clostridium propionicum pct540 gene, which encode engineered Pseudomonas sp. MBEL 6-19 PHA synthase 1 ($PhaC1_{Ps6-19}$) and engineered C. propionicum propionyl-CoA transferase ($Pct_{Cp}$), respectively, were expressed in E. coli W to construct key metabolic pathway to produce poly(3-hydroxybutyrate-co-lactate) [P(3HB-co-LA)]. The recombinant E. coli W expressing the phaC1437 gene and the pct540 gene could synthesize P(3HB-co-13mol%LA) up to the polymer content of 31.3 wt% when it was cultured in chemically defined MR medium containing 20 g/L of sucrose and 2 g/L of sodium 3-hydroxybutyrate. When Ralstonia eutropha phaAB genes were additionally expressed to provide 3-hydroxybutyrate-CoA (3HB-CoA) from sucrose, P(3HB-co-16mol%LA) could be synthesized from sucrose as a sole carbon source without supplement of sodium 3-hydroxybutyrate in culture medium, but the PHA content was decreased to 12.2 wt%. The molecular weight of P(3HB-co-16 mol%LA) synthesized in E. coli W using sucrose as carbon source were $1.53{\times}10^4$ ($M_n$) and $2.78{\times}10^4$ ($M_w$), respectively, which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that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by other recombinant E. coli strains. Engineered E. coli strains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lactate-containing PHAs from sucrose, one of the most abundant and least expensive carbon sources.

蔗糖과 葡萄糖이 白鼠肝臟 및 血淸 Cholesterol의 含量에 미치는 影響 (The Effect on the Change of Liver and Serum Cholesterol Contents of Albino Rats by the Feeding of the Suerose and Glucose)

  • 고진복;이경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4-50
    • /
    • 1970
  • 成熟雄性白鼠를 標準食餌群과 10%, 25% 및 40% 葡萄糖食餌群 그리고 10%, 25% 및 40% 蔗糖食餌群으로 나누어 各核當食餌를 2개월간 급식시킨후 肝臟 및 血淸中 cholesterol 含量을 觀察한바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肝臟內 總臟器當 cholesterol 含量은 total cholesterol 과 ester 型 cholesterol 은 標準食餌群에 比하여 40% 葡萄糖食餌群은 현저히 증가하였고 free 型 cholesterol 은 標準食餌群에 比하여 各食餌群 모두 증가하였다. 2. 血淸 100ml 中 cholesterol 含量은 total cholesterol 에서는 標準食餌群에 比하여 10% 葡萄糖食餌群 및 蔗糖食餌群은 감소하였으나 40% 蔗糖食餌群은 증가하였다. free型 cholesterol 은 10%, 40% 葡萄糖食餌群 및 10% 蔗糖食餌群에서는 減少하였고 ester型 cholesterol은 10%蔗糖食餌群 및 葡萄糖食餌群에서는 감소하였으나 40%蔗糖食餌群에서는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체내 cholesterol 含量은 食餌中 蛋白質의 量이 一定할때도 食餌性糖質의 量과 種類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는 事實을 알수 있다.

  • PDF

백련(白蓮)과 홍련(紅蓮)의 부위별 영양성분 (Nutritional Composition of White-flowered and Pink-flowered Lotus in Different Parts)

  • 허남칠;최경철;안양준;양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4-19
    • /
    • 2007
  • 전남도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무안의 백련과 나주의 홍련을 대상으로 부위별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한 결과 품종별로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두 품종 모두 무기영양성분 중 세포 내 액의 산${\cdot}$알칼리평형에 가장 중요한 mineral인 potassium이 월등히 높은 함량을 보였고 다음으로 sodium, calcium, magnesium이 주요 무기영양성분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것은 뿌리에서의 철분 함유량이 무안의 백련에서 14.70mg%, 나주 홍련에서 9.26mg%로 다른 농산물에 비해 높게 나타나 철 결핍성 빈혈환자나 임신, 출산 등으로 철분의 균형을 잃게 될 수 있는 여성에게 연근이 좋은 영양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유리당 함유량은 부위별로 큰 차이를 보여 뿌리의 경우 sucrose가 월등히 많은 반면 잎의 경우는 glucose와 fructose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종자의 경우 sucrose, raffinose 및 stachyose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종자의 경우 oligosaccharide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도 있다고 판단된다. 구성아미노산 함유량 또한 부위별로 큰 차이를 보여 종자와 잎에서는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반면 연근의 경우 간 기능 회복과 숙취제거에 효과가 있는 aspartic acid가 월등히 높은 함유량을 보여 각각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프럭토올리고당 첨가가 반죽의 물성과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uctooligosaccharide on Textural Properties of Doug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 김영호;박주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10-1318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characteristics of bread and rheology of flour dough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In the farinogram test, addition of fructooligosaccharide changed stability and development time. Stability and development time increased as the amount of fructooligosaccharide increased. In the extensograph test, the degree of extens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of fructooligosaccharide content, whereas degree of resistance increased. The volume of the loaf bread containing 10% fructooligosaccharide was the largest, and the bread containing 15% fructooligosaccharide revealed the best taste, flavor, and texture scores. After fermentation treatment, the volume of the dough with 20% of sucrose were less than that of 20% of fructooligosaccharide. Dough with 20% of sucrose revealed lowest dough raising power compared to other doughs. Overall, preference scores by sensory evaluation of bread containing fructooligosaccharide were higher than that of bread with sucrose. Therefore, excellent quality of bread may be achieved by adding fructooligosaccharide instead of sucrose to the process.

Use of Sucrose-Agar Globule with Root Exudates for Mass Production of Vesicular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 Thangaswamy Selvaraj;Kim, 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1호
    • /
    • pp.60-63
    • /
    • 2004
  • A sucrose-agar globule (SAG) was newly introduced to increase production of the vesicular arbuscular mycorrhizal (VAM) fungal spores, Gigaspora gigantea and Glomus fasciculatum. An SAG inoculum and a sucrose-agar globule with root exudates (SAGE) inoculum were prepared, and their spore productions were compared with a soil inoculum. When the SAGE was used as the inoculum on sucrose-agar medium plates the number of spores was increased (35% more than the soil inoculum). After the soil inoculum and SAGE were inoculated on an experimental plant, Zingiber officinale, the percentage root colonization, number of VAM spores, and dry matter content were analyzed. It was observed that the SAGE showed a higher percentage of root colonization (about 10% more), and increases in the number of spores (about 26%) and dry matter (more than 13%) for the two VAM fungal spores than the soil ino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SAGE inoculum may be useful for the mass production of VAM fungi and also for the large scale production of VAM fungal fertilizer.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한 오미자편의 물성특성 (Optimiz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for the Processing of Omija-pyun(Omija jell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정희선;주나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29-438
    • /
    • 2003
  • The optimization of Omija-pyun as a traditional dessert, with the most European taste and year round availability, was studied with regard to its texture.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ion of Omija-pyun as a European style dessert. The texture, including the springiness, gummi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hardness and chewiness, was measured using TPA parameters (TA-HD Texture Analyser, stable micro system, UK). The texture of Omija-pyun was influenced by pectin and sucrose to the first linear order. The properties of springiness and adhesiveness were influenced by pectin x pectin to the second quadratic order. No cross product effects between ingredients were found from the analysis. The maximum springiness was obtained with 42g of pectin, 450g of sucrose, 110g of glucose syrup and 4.8g of tartaric acid. The maximum chewiness was with 55g of pectin, 330g of sucrose, 140g of glucose syrup and 5.7g of tartaric acid. The maximum adhesiveness was achieved using 17g of pectin and 400g of sucrose. The gumminess and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pectin content, and a cross product effect was observed(Eds note: you said earlier that no cross product effects between the ingredients was found\ulcorner) between sucrose and glucose syrup.

건조 찹쌀가루를 이용한 오븐구이 찰떡의 관능적.물리적 최적화 (반응 표면 분석법을 이용) (Optimization of the Sensory and Physical Properties of Oven-Roasted Glutinous Rice Cakes Prepared with Dry Glutinous Rice Flour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경미;김옥선;김종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83-893
    • /
    • 2007
  • To optimize the preparation process for oven-roasted glutinous rice cake, an experiment was derived using a central mixing composite design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The addition of flour by soaking time as well as sucrose and water, w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moisture content, color, sensory, and texture properties of the ovenroasted glutinous rice cakes selected as response variables. For the moisture content, color, sensory, and textural properties, we found significant effects for moisture, lightness, redness, hardness, and cohesiveness in the oven-roasted glutinous rice cakes, and water was one of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e optimal mixing conditions for the highest quality oven-roasted glutinous rice cake, in terms of sensory and textural properties, were 266.0 g of water, 25.4 g of sucrose, and 61.5 minutes of soaking time for the glutinous rice flour. The soaking time was in close to the median, whereas the water and sucrose values were slightly above the medi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