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ccinate dehydrogenase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19초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로부터 Callus 유도(誘導)와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의 영향(影響) (Hormonal Effect on the Callus Induction from Perennial Weeds)

  • 김병철;김길웅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5-32
    • /
    • 1986
  •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Callus 유도(誘導)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키 위하여 식물체(植物體)의 종자(種子) 또는 Shoot-tip으로부터 Callus 유도(誘導)를 검정(檢定), 유도(誘導)된 Callus로부터 식물체분화(植物體分化), 제초제(除草劑)가 Callus 생체중량증가(生體重量增加)에 미치는 영향(影響) 및 Succinate dehydrogenase의 TTC 반응검정(反應檢定)을 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M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2,4-D 함량(含量)은 올방개와 너도방동산이의 종자(種子)는 1.0ppm, 너도방동산이의 shoot-tip은 4.0pm, 삼강벼와 물피에서는 2ppm이 Callus 유도(誘導)를 위한 과정농도(過定濃度)였다. 2. MS기본배지(基本培地)에다 2,4-D와 BA와 TIBA를 첨가시(添加時) BA는 2,4-D 단독처리(單獨處理)보다 억제적(抑制的)이나 TIBA 처리(處理)는 0.3 또는 0.5ppm 첨가구(添加區)가 2,4-D 단독처리구(單獨處理區)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다. 삼강벼, 물피, 너도방동산이 종자(種子) 및 올방개 shoot-tip에서는 2,4-D 1.0ppm+TIBA 0.5ppm, 너도방동산이 shoot-tip에서는 2,4-D 1.0ppm+TIBA 0.3ppm 일 때가 가장 높았다. 3. Callus로부터 식물체분화율(植物體分化率)은 2,4-D에 Kinetin 첨가구(添加區)가 NAA에 Kinetin 첨가구(添加區)보다 효과적(效果的)이었고 물피는 2,4-D 0.8ppm+Kinetin 8.0 ppm에서 50%, 올방개는 2,4-D 1.6ppm+Kinetin 16.0ppm에서 33.3%가 분화(分化)가 되었으나 너도방동산이는 분화(分化)가 되지 않았다. 4. 제초제(除草劑) Londax 및 Basta는 농도(濃度)가 증가(增加)될수록 삼강벼, 물피, 올방개 및 너도방동산이의 Callus 유도(誘導) 또는 증식(增殖)을 억제(抑制)시켰고 $10^{-3}$M에서는 거의 100%가 억제(抑制)되었으나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식물체간(植物體間)에 상이(相異)한 반응(反應)을 보였으며 양제초제(兩除草劑])에서 삼강벼가 물피나 너도방동산이보다 내성(耐性)을 보였다. 5. TTC에 대(對)한 Succinate dehydrogenase의 반응(反應)은 공시식물(供試植物)의 전(全) Callus가 모든 처리구(處理區)에서 정반응(正反應)(+)을 보여서 Callus가 생존(生存)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식물성 항균소재 처리가 Botrytis cinerea의 생리기능에 미치는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Mixture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Botrytis cinerea)

  • 조성환;김철환;박우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417-423
    • /
    • 2004
  • BAAG의 첨가배지상에서 미생물세포의 생육이 크게 억제된다는 실험결과를 토대로, 미생물에 대한 항균작용의 방식을 알아 보고자, Botrytis cinerea를 배양하여 분리한 여러 가지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특히 에너지 대사와 관련된 효소들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여러가지 대사경로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hexokinase,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와succinate dehydrogenase에 대한 영향을 살펴 본 결과, BAAG가 외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및 malate dehydrogenase의활성에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succinate dehydrogenase 및 hexokinase 효소활성에서는 약간의 효소활성 억제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세포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하여 $\beta$-galactosidase의 인위적 기질인 ONPG의 분해 여부를 조사한 결과, BAAG는 세포막의 기능에 영향을 끼침을 관찰하였다. BAAG의 항균 성분을 분리확인 하기 위해서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하여 ethyl ether분획물에서 3개, ethyl acetate분회물에서 4개의peak를 얻었으며, 각 용매분획물에서 1개씩의 분획에서 강한항균 활성을 검출하였다. 이 분획을 NMR 및 fast atomicbombardment측정기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 화학구조를limonin과 naringin으로 동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미루어, 본 연구에서 그 기능과 작용을 구명한 천연항균소재 BAAG는 수확한 과채류의 직접 처리제재 및 항균 포장 소재로 과채류의 선도유지를 목적으로 활용하여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과채류의 생산기반 보호와 농가소득에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Grapefruit 종자추출물이 Enterobacter pyrinus의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Inhibitory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 of Enterobacter pyrinus)

  • 이태호;정숙정;이상열;김재원;조성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85-990
    • /
    • 1995
  • Grapefruit 종자추출물(GFSE)에는 박테리아와 곰팡이류들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갖는 성분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배나무에 병반에서 분리한 Enterobacter pyrinus도 GFSE를 가하여 준 배지에서 생육이 억제되었다. 대조군이 stationary phase로 접어든 배양 20시간까지 GFSE의 최종 농도가 0.01%를 함유한 배지에서 E. pyrinus는 전혀 성장하지 못하였다. 항균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GFSE를 용매추출하여 친수성 분획과 소수성 분획으로 나누었을 때 억제 효과는 소수성 분획에서 관찰되었다. GFSE가 에너지 대사에 관여하는 몇가지 효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본 결과, hexokinas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와 succinate dehydrogenase 등에는 별다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세포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beta}-galactosidase$의 인위적 기질인 ONPG의 분해 여부를 조사한 결과, GFSE는 세포막에 영향을 끼침을 관찰하였다. GFSE의 항균 성분을 분리 확인하기 위해서 HPLC $C_{18}$ reverse phase column chromatography를 하여 5개의 peak를 얻었으며, 이중 1개의 분획에서 강한 항균 활성을 검출하였다. 이 분획을 GC-Mass로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1-chloro-2-methyl-benzene (o-toluene), N,N-dimethyl-benzenemethaneamine, 1-[2-(2-ethylethoxy)ethoxy]-4- (1,1,3,3-tetramethyl)-bezene 이외에 분획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1개의 물질을 포함하여, 확인하지 못한 3개의 물질이 있음을 알았으며, GFSE의 항균활성을 보이는 성분은 새로운 물질일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 PDF

매실추출물이 변패미생물의 생리기능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Prunus mune Extracts on Physiological Function of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 하명희;박우포;이승철;허호진;오병태;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23-327
    • /
    • 2007
  • 본 연구는 PME 처리가 미생물의 생리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PME의 항균작용을 규명하기 위해서 소수성 분획과 친수성 분획으로 분리하고, 공시균주를 사용하여 미생물의 성장 및 에너지대사 관련효소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매실추출물 분획별 항균활성은 변패미 생물인 C. fragariae를 대상으로 paper disk법으로 관찰하였다. 총 추출물(PME)의 소수성 분획은 C. fragariae의 성장을 저해하기는 하나 그 효과가 총 추출물 보다 약한 반면, 친수성 분획은 총 추출물보다 더 뚜렷한 저해 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매실추출물의 분획별 미생물의 생육억제효과는 다른 식품부패미생물 군에서도 동일한 패턴을 보여 주었다. B. cereus, E, coli 및 Fusarium sp.에 대해서는 PME의 친수성 분획은 뚜렷한 항균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총 추출물 또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나, 소수성 분획은 낮은 항균력을 보여 본 실험의 공시균주인 C. fragariae에 대한 매실추출물의 분획별 항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매실 추출물첨가 배지 상에서 C. fragariae의 생육이 크게 억제된다는 실험결과를 토대로 매실추출물의 항균활성물질이 미생물 세포내의 효소계의 효소활성을 저해에 기인한 것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에너지생성대사에 관여하는 몇 가지 효소 활성(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succin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 hexokinase)에 미치는 매실추출물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 결과로 매실추출물은 총 추출물 및 친수성 분획이 일부 에너지 생성대사 효소계의 효소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12-40%), 매실 추출물의 항균물질이 세포내로 침투되어 membrane에 존재하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미루어, 매실추출물의 항균 작용은 세포내 에너지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는 현상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Luteolin, a Bioflavonoid, Attenuates Azoxymethane-Induced Effects on Mitochondrial Enzymes in Balb/c Mice

  • Pandurangan, Ashok Kumar;Sadagopan, Suresh Kumar Ananda;Dharmalingam, Prakash;Ganapasam, Sudhandir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669-6672
    • /
    • 2013
  • Colon cancer (CRC) is a serious health problem throughout the world. Development of novel drugs without side effects for this cancer is crucial. Luteolin (LUT), a bioflavonoid, has many beneficial effects such a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proliferative potential. was a potent chemical carcinogen used for the induction of colon cancer. Colon carcinogenesis was initiat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azoxymethane (AOM) to mice at the dose of 15 mg/body kg weight in Balb/C mice for 3 weeks. Mice were treated with LUT at the dose of 1.2 mg/body kg weight orally. Mitochondrial enzymes such as isocitrate dehydrogenase (ICDH), ${\alpha}$-keto dehydrogenase (${\alpha}$-KDH), succinate dehydrogenase (SDH) and the activities of respiratory chain enzymes NADH dehydrogenase and cytochrome c oxidase were found to be elevated in AOM-treated animals. Treatment with LUT decreased the activities of all the parameters significantly. Hence, LUT might be a potent anticancer agent against colorectal cancer.

흰쥐 뇌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superoxide radical의 생성과 이 radical이 미토콘드리아 및 미토콘드리아 외 물질에 대한 독작용과 그 기전에 관한 연구 (Generation of Superoxide Radical from Rat Brain Mitochondria and Mechanism of Its Toxic Action to Mitochondrial and Extra-mitochondrial Components)

  • 노재규;표장근;정명희;임정규;명호진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2-26
    • /
    • 1985
  • 흰쥐 뇌 미토콘드리아에 의한 $O^{-}_{2}{\cdot}$ 의 생성과 이 radical의 유해작용 및 그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실험을 수행하였다. Succinate와 antimycin존재하에서 미토콘드리아는 $O^{-}_{2}{\cdot}$을 생성하였으며 이는 SOD-inhibitable NBT환원으로 확인되었다. 동일 조건에서 $H_2O_2$는 일차생성물인 $O^{-}_{2}{\cdot}$의 dismutation으로 생성됨을 알수 있었다. 상기조건에서 미토콘드리아의 막지질이 파괴되었고 반응액에 첨가된 isocitrate dehydrogenase와 적혈구에 각각 불활성화와 용혈이 초래되었다. 이같은 작용은 $Fe^{++}$이 있을때만 관찰 되었다. 그리고 독작용은 superoxide dismutase 혹은 castalase에 의해서 억제되었다. 또한 methional을 첨가하였을 때 ethylene이 생성되었으며 그 생성은 $Fe^{++}$에 의하여 현저히 증가하였다. Ethylene 생성 역시 상기 효소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따라서 미토콘드리아에서 발생된 $O^{-}_{2}{\cdot}$은 거대분자 및 세포에 독성을 나타낼수 있으며 이같은 작용은 $Fe^{++}$의 촉매작용에 의한 $O^{-}_{2}{\cdot}$$H_2O_2$의 상호작용으로 발생되는 $OH{\cdot}$ 에 의한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미토콘드리아가 유독성 산소 radical을 발생하므로 조직손상을 시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는 증거라고 생각되었다.

  • PDF

인삼 사포닌 분획이 콩 발아시의 당 신생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inseng on Gluconeogenesis at the Early Phase of Germination Soy-bean Sprout)

  • 박혜수;곽한식;주충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221-231
    • /
    • 1985
  •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activities of isocitrate lyase, palate synthase, succin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 and lipase have been investigated at the early phase of germinating soy-bean sprout and found that all the above enzymes were stimulated when the bean was rinsed for 24 hours with 10-4% saponin solution. The length of the saponin treated group was not long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the weight of the former was heavier (15%) than the latter. Total sugar content of test group was always much higher than that of control.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ginseng saponin might stimulate several enzymes of Soybean sprout during germination resulting in rapid growth of the Soybean sprout.

  • PDF

Spirometra erinacei의 발육에 따른 LDH와 SDH의 조직화학적 연구 (Enzyme-histochemical Studies of LDH and SDH on Developing Spirometro erinocei.)

  • 곽기훈;김창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62-371
    • /
    • 1992
  • Spiromeiru erinocer익 유충(sparganum)을 전이숙주(paratenic host)인 흰쥐와 종숙주인 고양이에 감염시켜 발육단계에 따라 회수해서 유충과 성충조직의 LDH(lactate dehydrogenase)와 SDH(succinate dehydrogenase)의 분포상 및 동위효소 유형을 효소조직화학적 방법과 전기영동법으로 조사하였다. 첫째, 유충조직에서의 LDH분포는 발육과정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표피층과 실질근층에 비해 표피근층이 많이 분포하였다. 성체조직에서도 표피근층에 많이 분포하였는데 특히 성체의 표피층에서의 LOH 활성은 수태편절에서 상당히 많은 활성을 보인 반면 다른 편절의 표피층에서는 LDH의 활성이 없었다. 둘째, SDH의 조직분포는 유충과 성충 모두 표피근층에 많이 분포하58h으며 유충에서의 발육 후기는 발육초기보다 SDH의 분포량이 증가하였다. 셋째, LDH등위효소 유형은 유충과 성충에서 2개씩 나타났는데 유충에서는 M.W. 140 Kd가, 성충에서는 56 Kd가 주분획(major band)이었다. 넷째, SDH등위효소는 유충에서 1개(132 Kd), 성충에서 2개(132 Kd, 45 Kd)가'분리되었으며 성충에서 활성이 높게 나타난 band는 45 Kd인 단백질이었다.

  • PDF

초기 계배에 대한 Actinomycin D와 Puromycin의 영향 (Effects of Actinomycin D and Puromycin on Early Chick Embryos)

  • 최임순;주충노;최춘근;유동석
    • Applied Microscopy
    • /
    • 제14권2호
    • /
    • pp.1-14
    • /
    • 1984
  • Chick embryos received a single injection of actinomycin D($0.1{\mu}g,\;0.05{\mu}g\;or\;0.1{\mu}g$) or puromycin($10.0{\mu}g,\;30.0{\mu}g\;or\;50.0{\mu}g$) into the yolk sac of Arbor acres chick embryos either prior to incubation or at certain periods of time (48, 96 and 144 hours) after incubation. After 10days of incubation, surviving embryos were investigated morphologically and biochemically. Embryos treated with actinomycin D or puromycin showed a high mortality when they were exposed prior to incubation and at 48 hours after incubation. Electron micrographs of chondrocytes in tarso-metatarsal of antibiotics (actinomycin D or puromycin) treated embryos showed the destruction of cytoplasm and nuclei when they were exposed prior to incubation. Endoplasmic reticulum was expanded and mitochondria were damaged in chondrocytes of surving embryos treated with low doses at 48 hours, 96 hours or 144 hours after incubation. The activities of enzymes such as lact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 and succinate dehydrogenase in embryos treated with actinomycin D or puromycin were much less than those of the saline treated group. Also, the amounts of DNA, RNA and protein were greatly decreased.

  • PDF

계배 대뇌의 신경세포 분화에 미치는 수은의 영향 ( I ) (Effects of Mercuric Chloride on the Differentiation Cerebral Neuron of Chick Embryo ( I ))

  • 김생곤;조광필;김정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2호
    • /
    • pp.26-36
    • /
    • 1994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rcuric chloride ($HgCl_2$) on the differentiation in the cerebral neuron of chick embryo 7 days,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nerve cells injected with a various doses of mercuric chloride were observ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enzyme activity of the some dehydrogenases, and adenosine triphophate (ATP)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The ultrastructural changes in 1.0mg-injected group, the nuclear envelope were irregular, and the RER, Golgi complexes and mitochondria were not well developed. In 2.0mg-injected group, the nuclear envelope were partly destroyed or detached, and mitochondria were decreased in number and their cristae were destroyed, too. The RER and Golgi complexes were less developed than those of the normal groups. In general, the activities of dehydrogenases were declined by increasing the dose of mercuric chloride. Lactate dehydrogenase (LDH) activity fatted to below 85% of the normal group in 1.0mg-injected group, and 69% in 2.0mg-injected group. Malate dehydrogenase (MDH) activity was decreased greatly to 76% in 2.0mg-injected group. Succinate dehydrogenase (SDH) activity fatted to 85% in 1.0mg-injected group, and 74% in 2.0mg-injected group. ATP content in 1.0mg-injected group was almost near to the normal level, but i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2.0mg-injected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