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urbanization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1초

대도시 교외지역 제조업 입지와 종사자의 거주지 - 양산시 사례 - (A study on the location of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Works' Residence in Metropolitan suburbs : A case of Yangsan)

  • 이다혜;주경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41-653
    • /
    • 2013
  • 연구는 대도시 공업 교외화의 영향을 받은 양산시를 사례로 제조업의 입지와 종사자의 거주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통계 자료와 양산시 제조업체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현지답사, 심층면담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산시로 이전한 제조업체는 1980년대에 부산에서 이전한 비중이 매우 높았다. 이전요인과 입지요인을 조사한 결과 부지요인이 가장 높았으며, 신생업체는 이전업체에 비해 하청 협력업체와의 연계요인 비중이 컸다. 둘째, 양산시 제조업에 부산시 공업 교외화의 영향력이 나타나 업종면에서 고무 플라스틱 업종이, 규모면에서는 대기업의 비중이 높았다. 셋째, 양산시 제조업체 입지는 경부고속도로 인접지역에서 국가산업단지와 공업지구를 중심으로 분포지역이 확대되었으며, 최근 공단 외 지역으로도 확산되는 양상이 나타났다. 넷째, 양산시 제조업 종사자의 거주지는 부산 비중이 44.5%를 차지하여, 부산의 기업 이전 영향이 노동시장에도 반영되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전원주택의 출현과 입지적 특성 (Emergence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Exurban Housing)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3-193
    • /
    • 1999
  • 1990년대에 들어와 전원주택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했다. 대도시 주민의 전원지향 이주와 전원주택시장의 급성장을 초래한 사회경제적 배경은 소비주체의 생활양식 변화, 건설자본의 사업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국가의 법적·제도적 지원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실제로, 수도권지역에서 전원주택은 경관이 수려하고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한강축, 접근성이 양호한 고속도로축, 일산 신도시에서 파주로 나아가는 북방축 등 세축을 따라 뚜렷한 성장세를 보인다. 그러므로 대도시 주민이 선호하는 전원주택의 주요 입지적 속성은 자연환경과 접근성이라 할 수 있다.

미국 교외화에 대한 고찰과 개념적 분석틀 (A Conceptual Framework of the U.S. Suburbanization)

  • 변필성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7-87
    • /
    • 2004
  • 미국 교외화에 관한 전통적인 접근의 한 축인 natural evolution 이론에서는 교외화의 요인으로서 소득증가와 교외지역 단독주택(single-family detached housing)에 대한 수요 증가, 자동차의 대중화로 인한 주택수요자의 공간이동성 증가, 주택소유 장려와 고속도로 건설 등의 미국 연방정부의 각종 정책, 그리고 교외주택의 대량생산에 따른 주택소유 비용의 하락을 강조해왔다. (중략)

  • PDF

용인시 주택시장의 성장과 공간적 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and Spatial Differentiation of Housing Market in Yongin City)

  • 주경식;박용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40-255
    • /
    • 2010
  • 본 연구는 대규모의 주택건설로 신도시가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수도권 지역에서 도시성장에 따른 주택시장의 분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공간적 분화 패턴, 주택하위시장의 분화와 교외화의 관련성 등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용인시는 지리적 장점뿐만 아니라 주택시장의 제도적 사회적 환경 변화가 강력히 뒷받침해준 결과 2000년대 수도권 지역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성장한 지역으로 주택시장의 변화에 관하여 미시적 스케일에서 주택하위시장의 공간적 분화 패턴을 밝히기에 적합한 장소이다. 용인시 주택시장은 4개의 하위시장으로 대별되었는데, 이에는 강남 분당과의 접근성, 경부 및 영동고속국도 등의 지리적 요인, 주택규모와 가격, 점유형태 등 주택재고의 특성, 그리고 세대구성 학력 및 소득수준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부산권 인구이동의 공간적 패턴에 관한 연구 (Spatial Patterns of Migration in the Busan Metropolitan Area)

  • 구동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30-939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부산의 인구 감소가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에 의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부산의 교외화에 의한 결과임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7대도시 및 부산권의 인구와 가구, 그리고 시도간 및 부산권의 인구이동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은 서울, 대구 등 우리나라의 다른 대도시와 유사하게 인구 감소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둘째, 부산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셋째, 부산의 인구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부산권으로도 다수 유출되고 있으므로, 부산의 인구 감소를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출로만 해석하는 시각은 옳지 않다. 넷째, 부산의 인구는 부산권 내의 인접한 도시로 주로 유출되고 있으며, 따라서 부산의 인구 감소는 부산의 교외화, 즉 부산권의 성장으로 해석될 수 있다.

교외 지역 아시아인의 거주지 분리에 관한 연구 -뉴욕 웨체스터 사례- (Changing Residential Segregation of Asians in Westchester, New York)

  • 백영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774-791
    • /
    • 2016
  • 최근 아시아인 인구의 교외화 연구에 따르면 이들의 취락 패턴은 과거 이민자들의 격리 과정과는 다른 궤도를 따르며, 또한 소수민족 집단이 집중되는 주거 입지도 상이하여 교외 지역에서 복잡한 민족 모자이크가 재현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뉴욕 시 외곽에 위치한 웨체스터 카운티의 아시아인 소수민족의 거주지 패턴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의 주요 아시아인 민족인 인도인, 중국인, 필리핀인, 일본인, 한국인 등 5개 주요 집단의 거주지 패턴을 2000년과 2010년 센서스 인구 자료에 기초한 지도화와 병행하여 격리 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이 지역 아시아인 민족 집단의 거주지 분리 현상은 분산된 집중화로 특징을 지울 수 있었다. 또한 각 민족 집단의 인구가 집중하는 근린 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 PDF

대구시의 주택보급과 주거밀도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Housing Supply and the Residential Density in Daegu)

  • 권용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51-16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changing residential density and relations between housing supply and redistribution of population in Daegu.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First, land development and housing supply have important effect on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changing residential density in Daegu. Second, according to massive site development to meet the housing demand in suburban area, the suburbanization has begun and build-up-area grows faster, so centre of gravity of residential density increasing rate has moved to the suburban. Third, the inner district and the district near urban centre will need remodelling or redevelopment project in the near future.

  • PDF

A Study on the Capital Area's Urban Type Analysis and Real Estate Characteristics

  • Jeong, Moonoh;Lee, Sangyoub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2권4호
    • /
    • pp.32-41
    • /
    • 2012
  • In recent times, multi-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as well as large Capital area and suburbanization in the spatial structure of capital area. With rapid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e unsystematic, and growth inequality between regions caused negative effects such as discordant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fluctuating land value, and gap between living conditions. Accordingly, this study analyzed urban spatial indexes by the self-governed body in the capital area such as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for the analysis of the regional inequality phenomenon.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in the capital area by utilizing the distribution pattern and density of city indexes such as population, employment, etc, and then drew the commonality of those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We evaluated the drawn results through the city standard index by each city, conducted factor score analysis, and identified the interaction between each factor and Housing Purchase Price Composite Indices index, housing rent price index(Housing Jeonse Price Composite Indices), land price fluctuation rate, diffusion ratio of house, and financial independence.

The Contradiction of Suburban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Use

  • Ying Y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2호
    • /
    • pp.147-152
    • /
    • 2004
  •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urban suburbanization, a plenty of commercial operation of suburban environmental resource, the environment in suburb is more and more deteriorated. It also leads some passive effect on ecology, human, society and nature etc. At the same time, a serial of emergency rescue action has been implemented to decrease the deteriorating of suburban environment. For example, some important ecology nature reserves were built up; some compulsive protections have been put in practice for some key resource development region and gotten some good achievements. However, we still face the problem is that how to balance the contradiction between suburban environment resourc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It's necessary to introduce some western advantage management ideas, combined our actual situation, to find a way which is the most benefited to combine our country's suburb environment development and u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