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tilis

검색결과 1,970건 처리시간 0.028초

가축의 보조사료 개발을 위한 Bacillus spp.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cillus spp. for manufacturing the feed additives in livestock)

  • 박해석;조승화;임은정;김윤순;문성현;조호성;김현영;조용식;조성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19-426
    • /
    • 2015
  • 가축산업분야에서 항생제의 사용이 금지됨에 따라, 질병 예방을 통한 축산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사료첨가제인 미생물제재의 개발과 같은 예방적 수단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사료 분해 능력이 좋고 항균활성이 뛰어난 포자 형성 Bacillus 균주 3종인 B. sutilis LCB7, B. licheniformis SHS14, B. amyloliquefaciens LCB10을 우수 균주로 선발하였다. 최종적으로 선발한 Bacillus 3종을 1:1:1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종균을 제조하여 항균시험(in vitro) 결과, 단일 3종 및 lincomycin과 비교하여 유사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송아지를 이용하여 항균활성 시험(in vivo)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lincomycin 투여 대비 90% 수준의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개발한 혼합 종균의 안정적 보존을 위해 혼합 종균을 제조하여 다시 증균을 통하여 미생물군집 분석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초기 군집비율과 증균 후 군집비율이 매우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이로서 본 연구에서는 선발된 Bacillus 균주 3종을 이용하여 제조한 혼합 종균이 사료첨가제용 미생물제재로서 이용 가능함을 최종 확인하였다.

밤잎차(茶)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Water Extracts with Castanea crenata Leaf Tea)

  • 최옥범;유경수;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28-1131
    • /
    • 1999
  • 밤나무 잎을 이용해 제조한 불발효 처리한 증제차와 반발효차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효과를 탐색하였다. 각각의 밤잎차 물추출물을 동결건조한 시료를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토한 결과, 두 종류의 차 모두 대조구로 사용한 BHT보다 동일농도에서 강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들의 $SC_{50}$은 증제차 53.3 ${\mu}g/mL$, 반발효차 49.9 ${\mu}g/mL$, BHT 101.0 ${\mu}g/mL$으로 나타났다. 또한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차 0.2 g, 0.5 g에 상당하는 동결건조물의 MeOH추출물 8 mg과 20 mg으로 다양한 미생물에 대해 항미생물 활성을 측정한 결과, gram양성 세균 중에서 S. aureus와 S. epidermidis gram음성 세균인 E. coli, S. typhimurium, P. aeruginosa는 대조구로 사용한 0.65 mg의 benzoic acid보다 강한 활성이 나타났고, M. luteus와 L. mesenteroides, B. subtilis에서도 활성이 인정되어 증제차와 반발효차 모두 비교적 넓은 항균 spectra와 활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연료용 알콜 생산을 위한 타피오카 전분의 액화 및 당화 (Liquefaction and Saccharification of Tapioca Starch for Fuel Ethanol Production)

  • 김기호;박성훈
    • KSBB Journal
    • /
    • 제10권3호
    • /
    • pp.304-316
    • /
    • 1995
  • 액화 실험에서 BAN과 Termamyl을 비교할 때 전반적으로 Termamyl이 우수했으며 Termamyl을 (0.00625% ~0.025% 범위로 첨가하였을 때 첨가량 증가에 따른 액화반응 촉진이 뚜렷이 관찰되였다. Termamyl 240uc의 경우 타파오카에 대해 최소 0 0.0125 (v/w)% 이상이 필요하였고, 반응시간은 2 시간 정도가 석당하였다. 최적온도는 $90∼95^{\circ}C$이었고 pH는 5.8 부근이 최척이였다. 반응초기 점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는데 호화속도를 약간 줄이가 위해 초기 온도를 $70^{\circ}C$정도로 낮추는 갯이 좋았다. 당화실험에서는 Novo AMG 및 국내 도일 산엽 당 화효소 모두 액화된 타피오카 용액을 잘 당화시켰다. 그러나 Novo AMG와 도일 당화효소의 활성은 기 질 에 따라 약간썩 탈랐다. 즉 이당류인 말토오스를 기 질 로 할 때는 Novo AMG의 단위 부피당 활성이 도일 당화효소의 약 1.2배이였으나, 전분을 기질로 할 때는 활성비가 1.5배였다. 경시적으로 볼 때 초기에는 당화 속도가 빨랐고 포도망이 축적되는 후기에는 당화속도 가 감소하였다. 당화의 최적온도는 약 $55∼60^{\circ}C$ 부근이었고 pH는 조절하지 않는 경우 (pH 5.7)와 조절 한 경우 (pH 4.3)간에 차이가 없었다. 85% 이상의 당화를 위해서는 타피오카 샤용량에 대해 Novo AMG 400uc을 기준으로 O.0625(v/w)% 이상, 그 리고 10시간 이상의 반응사간이 필요하였다.

  • PDF

주목 추출물의 발암 억제효과 및 암세포에 미치는 영향 (The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 of Taxus cuspidata Extracts)

  • 황병호;조국난;최근표;정성원;김은정;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62-1068
    • /
    • 1996
  • 한국산 주목나무의 부위별 항함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주목나무의 잎, 수피, 그리고 뿌리 부분으로 나누어 알코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변이원성 및 항돌연변이 원성 실험과 인간 암세포주를 이용한 세포성 장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세부분의 에탄올 추출물 수율은 30%정도였다. Bacillus subtillus Hl7 및 M45균주를 이용한 rec-assay와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 두균주를 이용한 Ames tes에서도 공시 시료 모두 농도 증가에 관계없이 변이원성은 없었다. 그리고 직접 변이 원인 MNNG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실험에서는 TA100에서 3가지 추출물 모두 50$\mu\textrm{g}$/plate 첨가시 98%이상의 강한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고 4NQO에 대한 억제효과에서는 TA98 및 TA100 모두 두균주에서 98% 이상의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간접변이원인 Trp-P-1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억제효과에서는 3가지 추출물 투여시 73~89%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B(a)P에 대해서는 16~60%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 뿌리 추출물이 가장 강하였다. 한편 정상간암세포인 WRL68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결과 $0.5$\mu\textrm{g}$/{\mu}\ell의$ 농도에서 22~36%의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나, 간암세포인 Hep3B에 $대해서는0.5$\mu\textrm{g}$/{\mu}\ell$ 투여시 잎 추출물 72%, 수피 추출물 87% 그리고 뿌리 추출물이 90%의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 PDF

분만시 무균처치와 산후감염의 이환율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Aseptic Care during Labor and Delivery, and their Effects to Peripheral Morbidity)

  • 이경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41-157
    • /
    • 1971
  • The peripheral infection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maternal death, and although it is preventable through an effective prenatal as well as postnatal care its morbidity is increasing due to bacterial resistant to an effective antibiotic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ipheral morbidity of 949 partur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Obstetrics and Gynecologic department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71 to September 1971. Among the 949 parturients, especially 40 normal parturients were selected (20, control soup was given complete aseptic care during labor and delivery and post delivery: 20, compare group was given the ordinary care practiced during labor and delivery and maternal ward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for bacteriologic test on vaginal flora twice, on admission and on complete cervical dilatation of each parturien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ajority of parturients age were 21 to 35 years old(90.83%), and educational level of 949 parturients was above high school. A large number of parturients socioeconomic level (according to their husbands' job) were moderate. 2, Among the 949 parturients, multipara (55.9%) were a little more than primipara (44. 1%) and 38.84% of parturients had experienced aborition. 3. In deliverty types, normal deliveries (804 cases) were more than cesarean section deliveries (145 cases) The peripheral morbidity after normal deliveries was 0.5%, and cesarean section deliveries, 23.45%. 4. Among 949 parturients incidence of hemorrhage eases (500cc or more bleeding) showed the higher peripheral morbidity (24.86%) than other cases (bleeding less than 500cc, 7.83%). 5. The majority of parturients (81.03%) had teen taking antenatal care, but most of them were taken irregular antenatal care. On the other hand, on admission, the parturients with complication were 30.32%, and their peripheral morbidity showed much higher (7.02%) than those with no complication (2.71%). 6. The incidence of peripheral morbidity in premature ruptured membrane was higher (10.91%) than normal parturienta (1.73%). 7. In the result of aseptic care during labor and delivery and post delivery, the number of cultured bacteria was legs in control group than Compare group (in control group, on admission 17, on complete cervical dilatation 12: in compare group, on admission 21 on complete cervical dilatation 21) . The most common bacteria were Staphylococcus (control group 14 on admission, compare group 16 on admission), and next Streptococcus, E- Coil, Bacillus Subtilis, in order. Also in control group the number. of colony were reduced (43%) more than in Compare group. Transient temperature elevation from 37℃ to 37.4℃ were noted in compare group (50%) than in control group (30%), and there was no one indicated above 38℃. In conclusion, the aseptic care is the test way of preventing peripheral infection as well as decreasing the puerperal morbidity.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nursing care is the aseptic care for each parturient during labor and delivery and peat delivery and also all the instruments must be cleaned and sterilized.

  • PDF

밤 발효사료 제조과정에서 미생물 첨가수준이 영양소 함량과 반추위 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 on Chemical Compositions of Fermented Chestnut Meal and Its Rumen Fermentation Indices)

  • 김동현;주영호;이혁준;이성신;;최낙진;김삼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33-340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ffect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 on chemical composition and bacterial count of fermented chestnut meal (FCM), and its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The inoculant contained Lactobacillus acidophilus ($1.2{\times}10^{10}cfu/g$), Bacillus subtilis ($2.1{\times}10^{10}cfu/g$),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2.3{\times}10^{10}cfu/g$). The chestnut meal mixed with molasses, double distilled water, and inoculant at 1 kg, 3 g, 480 mL, and 20 mL ratio for the basal chestnut meal diet. The double distilled water from basal chestnut meal diet was substituted with bacterial inoculant at a level of 0 (Control), 20 (Medium), and 40 mL (High) in the experimental diets. The mixed experimental diets were incubated at $39^{\circ}C$ for 7, 14, and 21 days, respectively. On 7 days of FCM incubation,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CP) (quadratic, P=0.043) and neutral detergent fiber (quadratic, P=0.071) decreased by increases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s, whereas bacterial count (quadratic, P=0.065) and rumen $NH_3-N$ (linear, P=0.063) increased. By increases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s on 14 days of FCM incubation, the increases were found on dry matter (DM) (quadratic, P=0.085), CP (quadratic, P=0.059), acid detergent fiber (quadratic, P=0.056), in vitro DM digestibility (linear, P=0.002), rumen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linear, P=0.057), and rumen iso-butyrate (linear, P=0.054). However, the decreases were found on bacterial count (linear, P=0.002), propionate (linear, P=0.099), and butyrate (quadratic, P=0.082). On 21 days of FCM incubation, in vitro DM digestibility (linear, P=0.002) and total VFA (linear, P=0.001) increased by increases of inoculant application levels, whereas the contents of CP (quadratic, P=0.034) and neutral detergent fiber (quadratic, P=0.047) decreas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CM with a medium level of inoculant application and 14 of fermentation had beneficial effects by increasing DM digestibility and rumen total VFA content, without altering bacterial count.

두부비지의 버섯 폐배지 대체 수준이 발효사료의 영양소 함량, 미생물 성상 및 반추위 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placing Mushroom By-product with Tofu By-product on the Chemical Composition, Microbes,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Fermented Diets)

  • 주영호;정희한;김동현;이혁준;이성신;김상범;김삼철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51-659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replacing Mushroom By-Product (MBP) with Tofu By-Product (TBP) on the chemical composition, microbes,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Fermented Diets (FDs). The basal diet was formulated using MBP, TBP, rice bran, molasses, and inoculants. The MBP in the basal diet was replaced with TBP at 0, 5, and 10% on Dry Matter (DM) basis for the experimental diet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rmented at $39^{\circ}C$ for 144 h. Chemical composition, pH, microbes, and rumen fermentation indices of the FDs were analyzed. With increasing TBP replacement, crude protein content of FDs increased (L, P < 0.001), whereas crude ash content decreased (L, P = 0.002). Lactic acid bacteria and Bacillus subtilis contents in the TBP-replaced FD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 < 0.05), whereas pH level and mold count were lower (P < 0.05). With increasing TBP replacement, in vitro rumen digestibility of DM (L, P = 0.053) and neutral detergent fiber (L, P = 0.024) increased, wheres rumen pH changed (P = 0.026) quadratically. Rumen total volatile fatty acid (L, P = 0.001) and iso-butyrate contents (Q, P = 0.003) increased with increasing TBP replace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replacement of MBP with TBP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FD.

습사료에 첨가한 유용미생물 및 한약재 혼합제(한방천ㆍ어력천) 특성과 혼합 첨가제가 넙치간의 활성에 미치는 효과

  • 여인규;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4
    • /
    • 2004
  • 유용 미생물과 한약재가 포함된 새로운 사료첨가제의 다양한 농도(0.3, 0.6 및 0.9%)에 따른 넙치의 간기능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사료첨가제의 특성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첨가제에 포함된 유용미생물(유산균, 바실러스균, 효모 및 광합성균)의 총수는 한방천이 5.6${\times}$$10^{8}$ CFU/g이었으며, 어력천은 3.0${\times}$$10^{8}$ CFU/g 이었다. 앙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습사료의 병원미생물(Edwardsiella tarda, Vibrio anguillarum and Streptorwccus sp.)은 모든 첨가군에 있어서 첨가제의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간중량 지수는 0.3%의 첨가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혈중의 단백질량은 모든 첨가군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간장내의 단백질량은 대조군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생체방어기작을 하는 catalase 및 superoxide dismutase는 0.3% 및 0.6% 첨가군에서 각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약재와 유용미생물 혼합 사료첨가제의 사용으로 넙치의 항산화효소의 활성을 증대시켜 어류스트레스의 면역증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 from Different Parts of Orostachys japonicus)

  • 윤소영;이소영;김꽃봉우리;송유진;김서진;이소정;이청조;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인 와송의 항균활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물과 에탄올의 2가지 용매로 추출한 후, paper disc법과 MIC test를 이용하여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관련 미생물 10종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와송 잎, 줄기 및 뿌리의 물 추출물과 와송 줄기와 뿌리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그람 양성균 6종에 대해서는 모두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그람 음성균의 경우에는 S. Typhimurium에서만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S. cerevisiae와 P. expansum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보였다. 특히, C. perfringens에 대해서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보여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으며, S. cerevisiae에 대해서도 0.05% 농도에서 균의 생육을 억제하였다.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121^{\circ}C$에서 15분간 가압가열처리에도 항균활성이 감소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 subtilis를 제외한 균주에 대하여 pH $2{\sim}10$까지 처리 후에도 항균활성이 감소 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와송 잎 에탄올 추출물은 열과 pH에 비교적 안정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와송 잎 유래의 항균성 물질은 식품의 부패 및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므로 식품의 천연보존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가다랑어 내장의 효율적인 이용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ement of Effective Utilization Method of Skipjack Tuna Viscera)

  • 이순천;우강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6-91
    • /
    • 1992
  • 가다랑어 내장의 효율적 이용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내장을 자숙한 후 압착분리한 잔사에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발효시킴과 동시에 이때 분리된 추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유분을 제거한 후 농축시켜 발효중인 잔사에 다시 첨가하는 개량식 발효어분 제조법(FFMA)을 개발하여 발효시 추출액을 첨가하지 않는 가등(加藤)법(FFMN) 및 비발효법인 재래법(NFM)과 비교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어분에 있어서 일반성분의 변화는 3가지 방법간에는 큰 차이는 볼 수 없었고, 칼슘의 함량이 개량법에서 161.0 mg%로 가등(加藤)법과 재래법의 147.0 mg% 및 148.0 mg%보다 높았다. $Vitamin\;B_{1},\;B_{2}$ 및 C의 함량은 개량법에서 각각 1.76, 2.18 및 43.10 mg%로 가등(加藤)법의 1.373, 1.383 및 35.6 mg%, 재래법의 0.732, 0.669 및 14.20 mg%보다 각기 높게 나타났다. 과산화물가는 개량법에서 33.6으로 가등(加藤)법의 29.0보다 약간 높았으나 재래법의 126.0보다는 훨씬 낮았다. 개량식 발효어분에서 추출된 추출물과 가다랑어 내장을 그대로 추출된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총 유리아미노산에서는 발효 어분에서 3957 mg/100g로 내장의 경우보다 1.9배 정도 높았다. 총 유리필수아미노산의 경우도 발효어분에서 884 mg/100g로 내장의 경우보다 1.2배 정도 높았고, 총 유리비필수아미노산의 경우도 발효어분에서 2733 mg/100g로 내장의 경우보다 2.5배 높았다. 개별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발효어분을 사용한 경우가 내장을 사용한 경우보다 필수아미노산의 경우 threonine, methionine, lys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비필수아미노산은 거의 모두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