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tidal

검색결과 285건 처리시간 0.024초

울진 조하대 경성암반 해역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Biodiversity of Macrofauna at Subtidal Rocky Shore Around Uljin, Korea)

  • 이재호;황강석;노현수;최창근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0
    • /
    • 2016
  • 울진 해역 경성암반 조하대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0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3년간 총 5개 정점을 대상으로 계절별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 지역에서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46종이 출현하였고, 우점 분류군은 연체동물(67종), 절지동물(27종)로, 절지동물(6,468개체), 연체동물(1,098개체), 극피동물(584개체) 순으로 총 8,688개체가 출현하였다. 계절별 조사 시 여름철에 총 96종, 2,525개체가 출현하여 가장 높았고, 정점별 조사에서는 정점 4에서 가장 많은 출현종수에 가장 낮은 개체수를 보였으며(81종, 1,377개체수), 정점 3에서 가장 낮은 출현종수에 가장 높은 개체수가 출현하였다(45종, 2,213개체수). 이러한 결과는 다양도와 균등도에서는 복족류가 풍부도 측면에서는 따개비류가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점 3에서 따개비류가 83.4%의 비율로 다른 정점에 비해 최고 2배 이상 차이를 보여 따개비류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A Newly Recorded Sea Star (Asteroidea: Valvatida) from Jejudo Island, Korea

  • Shin, Sook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6권3호
    • /
    • pp.349-351
    • /
    • 2010
  • Some asteroid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the subtidal zone near Gapado, Jejudo Island with fishing net on June 2010. Among them, Anseropoda petaloides (Goto, 1914) which belongs to the family Asterinidae of the order Valvatida turned out to be a new record from Korea. Morphological characters of this species collected at 130 m deep are redescribed with photographs.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its very thin body composed of plates imbricated into each other like scales. Twenty four asteroids are currently known from Jejudo Island, Korea.

Echinoderm Fauna of Dokdo, Korea

  • Choi In-Young;Hong Byung-Kyu;Jeon Kyeong-Am;Son Min-Ho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231-235
    • /
    • 2006
  • Six echinoderm species were added to the echinoderm fauna of Dokdo, Korea based on the samples collected form inter - and subtidal areas of the Island on spring and autumn twice a year from 2002 to 2004. As result, sixteen echinoderm species were recorded from Dokdo.

한국산 Janiralata 속 등각류의 1신종 (A New Species of the Genus Janiralata (Crustacea, Isopoda, laniridae) from Korea)

  • 장인권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4-68
    • /
    • 1991
  • A new species of ianirid isopod from a subtidal bottom in the Korea Strait is described and illustrated under the name of Juniralata koreuensis.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the cephalon lacking a distinct rostrum and prominent antero-lateral expansions, the pleotelson lacking postero-lateral projections, and the male pleopod 1 having a nipple-shaped lobe on lateral apex.

  • PDF

Five species of the Genus Prionospio (Polychaeta: Spionidae) in Kwangyang Bay, Korea

  • Jung Rae-Hong;Choi Byoung-Mi;Hong Jae-Sa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권2호
    • /
    • pp.216-226
    • /
    • 1998
  • Specimens of the spionid polychaetes (Polychaeta: Spionidae) were collected and examined in the subtidal shallow waters of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from April 1990 to November 1994. Five species of the genus Prionospio are described and illustrated: Prionospio (Minuspio) multibranchiata Berkeley, 1927, P. (Prionospio) saccifera Mackie and Hartley, 1990, P. (P.) bocki Soderstrom, 1920, P. (P.) membranacea Imajima, 1990, and P. (P.) paradisea Imajima, 1990. These five species of spionid polychaetes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waters.

  • PDF

만재도의 한국미기록 유낭류(태형동문문, 순구목) 2종 (New Record of Two Ascophoran Species (Bryozoa, Cheilostomata) from Manjaedo Island, Korea)

  • Seo, Ji-Eun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2호
    • /
    • pp.213-218
    • /
    • 2000
  • 만재도의 조하대로부터 1988년 8월 23일에 채집된 태형동물을 분류한 결과 맞채찍이끼벌레 (Crepidacantha poissoni)와 항아리이끼벌레 (Hippothoa distans)의 2종이 한국미기록종으로 밝혀졌다. 채찍이끼벌레과 (Crepidacanthidae)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 PDF

Morphological variability of intertidal Eisenia arborea (Laminariales, Ochrophyta) at Punta Eugenia, Baja California Sur

  • Parada, Gloria M.;Riosmena-Rodriguez, Rafael;Martinez, Enrique A.;Hernandez-Carmona, Gustavo
    • ALGAE
    • /
    • 제27권2호
    • /
    • pp.109-114
    • /
    • 2012
  • Water motion is one of the main drivers in morphological variability in species within de order Laminariales, and most of our current knowledge is based on subtidal populations. $Eisenia$ $arborea$ is a dominant kelp species in the North Pacific, widely distributed along the Baja California Peninsula from mid intertidal down to subtidal areas. This species presents great variability in the intertidal zone but it has not been yet evaluated such variability according to wave exposure. The present work also identifies the spatial / temporal variation, particularly respect to the presence of stipes without medulla (hollow stipes) a feature common among other brown seaweeds. We evaluated the effects of wave action in morphological variation of intertidal $Eisenia$ $arborea$ (Laminariales, Ochrophyta) at Punta Eugenia.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sampling was surveyed between February, May, July, and August 2004 in the intertidal of Punta Eugenia, Baja California Sur. Our results have shown that exposed sites correlate with increased length and width of stipes as compared to more protected sites. Hollow stipes frequency changed more in association with temporal variation than with spatial heterogeneity suggesting nutrient limitation for thalli development. Our results suggest that $Eisenia$ $arborea$ compensate by morphological modifications the stress of living in the intertidal zone by showing larger stipes. Hollow stipes might be are also a mechanical adaptation to increase survival in high energy environments.

전기 오오도비스기 문곡층의 시퀀스 및 상 분석 (Facies and sequence analysis on the Lower Ordovician Mungok Formation)

  • 최용석;이용일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9권1_2호
    • /
    • pp.1-15
    • /
    • 2001
  • 강원도 영월군에 분포하는 하부 오오도비스기 탄산염-쇄설성 혼합층인 문곡층에 대하여 계층적으로 체계화된 시퀀스층서 분석을 행한 결과에 의하면 문곡층은 3개의 시?스로 구성되어 있다. 시퀀스 경계면은 경계면 하부의 조립질 탄산염암으로부터 상부의 세립질 탄산염내설성 혼합층으로의 급격한 변화로 특징 지워지며 카르스트화와 같은 대기 노출면의 증거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시퀀스 층서 틀 내에서 분석된 퇴적상의 특징에 의하면, 문곡층은 완만한 경사를 갖는 조하대의 램프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퇴적되는 동안에 빈번한 열대 폭풍의 영향이 있었으며 폭풍퇴적층은 해저면 기질의 구성성분과 해안과의 근접도에 따라 암상의 차이를 보인다. 또한 문곡층은 고빈도의 상향천화 하는 사이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천해퇴적층과 심해퇴적층으로 구성된 퇴적층에는 사이클이 잘 나타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사이클 병합으로 해석된다. 사이클이 누적되는 양상을 보면 큰 규모의 해수면 변동과 연관되어 일관된 두께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데 이는 퇴적물이 퇴적공간을 충분히 채우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 PDF

동해 강릉 연안의 사질 퇴적물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무척추동물의 분포양상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s on the Shallow Subtidal Sandy Bottoms near Kangrung, East Coast of Korea)

  • 제종길;이재학;임현식;최진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5권4호
    • /
    • pp.346-356
    • /
    • 2000
  • 본 연구는 강릉 연안역의 사질퇴적상에 서식하는 저서동물군집의 분포양상을 보기 위해 1993년 4월부터 1994년 2월까지 계절별로 조사하였다. 전체 출현종수는 봄철에 109종으로 가장 많았고, 겨울철에 70종으로 가장 적었다. 다모류가 종수와 개체수에 있어서 가장 우점한 동물군이었고, 생물량에 있어서는 연체동물이 가장 우점한 동물군이었다. 전체 대형저서동물의 서식밀도는 여름철에 1,995개체/m$^2$로 최대치를 보였고,가을철에 631개체/m$^2$로서 최소치를 보였다. 조사해역의 주요 우점종은 전 계절에 걸쳐 점하였던 다모류의 Spiophanes bombyx를 포함하여 Prionospio sp., 연체동물의 Alvenius ojianus, 갑각류의 Wecomedon sp.와 Urothoidae spp.였다. 집괴분석 결과 조사해역의 저서동물은 크게 수심이 얕은 연안역과 수심이 깊은 외해역으로 구분되어져 수심에 의해 군집조성이 달라짐을 보였다. 그러나 가을철과 겨울철의 경우에는 남대천과 군성강 등 소규모 하천 주변해역에서는 외곽의 해역과는 군집조성이 차이를 보였다.

  • PDF

한국 남해중부 금오열도 연안 암반 조하대 해조군집의 구조 (Seaweed Community of the Subtidal Rocky Habitats along the Coast of Geumo Archipelago in the Central South Sea of Korea)

  • 강래선;김종만
    • ALGAE
    • /
    • 제19권4호
    • /
    • pp.339-347
    • /
    • 2004
  • Seaweed community of the sub tidal rocky habitats along the coast of Geumo Archipelago in the central South Sea of Korea is described. This area is characterized by archipelago in which islets are separated by shallow bottom sediments (primary, muddy sand), and turbidity is generally high due to the resuspension of bottom sediments. The hard substrata available for algal attachment are limited to less than 10 m in depth. Thirty sites were randomly chosen along the coast from August 2003 to September 2003 and a 50 m long transect was established at each site. The transect began at a depth of 1 m and ended at the depth of 9 m. The percent cover of all species other than crustose coralline algae was estimated at 2 m depth intervals along the transect using a 0.25 m$^2$ PVC quadrat with 25 squares. Thirty-six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6 Chlorophyta, 10 Phaeophyta and 20 Rhodophyta. Species with more than 5% mean bottom cover were Gelidium amansii, Corallina pilulifera, Amphiroa dilatata and Carpopeltis cornea, which formed dense turf-forming algal assemblages at 1-5 m depth. At all sites except S11-S15 located in the western coast of Sorido, bottom covers of seaweed species at the depth deeper than 7 m were less than 6%. The lower limit of algal assemblages was 9 m in depth. We speculate that the limited water clarity and vertical extent of hard substrata available for the settlement of seaweed species are the direct cause of reducing the diversity, abundance and distributional extent of algal assemblages in th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