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ies and sequence analysis on the Lower Ordovician Mungok Formation

전기 오오도비스기 문곡층의 시퀀스 및 상 분석

  • Choi Yong Seok (Korea National Oil Corporation) ;
  • Lee Yong Il (School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최용석 (한국석유공사) ;
  • 이용일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Hierarchically controlled sequence stratigraphic analysis shows that the Lower Ordovician mixed carbonatesiliciclastic Mungok Formation, Korea consists of three depositional sequences: T1, T2, and T3 in ascending order. Sequence boundaries are generally marked by abrupt transition from coarse-grained shallow-water carbonates to finegrained deeper-water carbonates mixed with fine-grained siliciclastics, and show indication of subaerial exposure such as karstification. Within this sequence stratigraphic framework, facies characteristics indicate that the Mungok sequences were mostly deposited on a subtidal ramp without slope break. The Mungok ramp had been under the influence of frequent tropical storm activity during deposition. The difference in lithology of tempestites seems to have been controlled by the nature of substrates and by proximality. High-frequency cycles consist of upward-shallowing facies successions. Cycles of shallow-water and basinal deposits are not well represented, probably due to cycle amalgamation. Cycle stacking patterns do not show a consistent thickness change that is usually associated with a large-scale sea-level change probably because of unfilled accommodation space.

강원도 영월군에 분포하는 하부 오오도비스기 탄산염-쇄설성 혼합층인 문곡층에 대하여 계층적으로 체계화된 시퀀스층서 분석을 행한 결과에 의하면 문곡층은 3개의 시?스로 구성되어 있다. 시퀀스 경계면은 경계면 하부의 조립질 탄산염암으로부터 상부의 세립질 탄산염내설성 혼합층으로의 급격한 변화로 특징 지워지며 카르스트화와 같은 대기 노출면의 증거를 보여주기도 한다. 이러한 시퀀스 층서 틀 내에서 분석된 퇴적상의 특징에 의하면, 문곡층은 완만한 경사를 갖는 조하대의 램프에서 퇴적된 것으로 해석된다. 퇴적되는 동안에 빈번한 열대 폭풍의 영향이 있었으며 폭풍퇴적층은 해저면 기질의 구성성분과 해안과의 근접도에 따라 암상의 차이를 보인다. 또한 문곡층은 고빈도의 상향천화 하는 사이클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천해퇴적층과 심해퇴적층으로 구성된 퇴적층에는 사이클이 잘 나타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사이클 병합으로 해석된다. 사이클이 누적되는 양상을 보면 큰 규모의 해수면 변동과 연관되어 일관된 두께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데 이는 퇴적물이 퇴적공간을 충분히 채우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