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진해만 환경평가를 위한 해저지하수의 중요성 (The Importance of groundwater discharge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hinhae Bay)

  • 정창수;홍기훈;김석현;김영일;문덕수;박준건;최준선;양동범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23-36
    • /
    • 2000
  • 진해만 해양환경 평가를 위한 해저지하수의 중요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1999년 8월과 2000년 1월 진해 내만에서부터 외만까지 포함된 총 8개의 정점들의 저층수의 라돈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지하수에 함유된 라돈-222 농도는 표층수보다 약 2-4 order 높기 때문에 해저지하수 누출 여부를 추적하는데 상당히 유용한 추적자로 사용할 수 있다. 저층수의 라돈-222 농도는 33~182 dpm/100kg 범위로서 내만에서 100 dpm/100kg 이상의 높은 값이 관측되었다. 그러나 라돈-222의 어미핵종인 라듐-226 농도는 정점간의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동일 정점의 라돈-222 농도는 계절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라돈-222의 주 공급원은 해저퇴적물로부터가 아니라 강수량 차이에 의한 해저지하수 누출량에 기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해만 연안에 위치한 구산면 원전 육상 지하수의 Cl/sup -/과 SO/sub 4//sup 2-/ 함량은 각각 1,312, 369 ppm으로서 해수의 영향을 간접적으로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상대적으로 주변 육상지하수가 인근 해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내만 저층수의 높은 라돈-222 농도는 해저지하수 누출에 의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특히 진해만 주변 육상지하수의 평균 용존무기영양염 농도 (질산이온>174 μN, 규산>262 μM)는 진해만 해수 농도보다 월등히 높기 때문에 하천과 더불어 또다른 중요한 영양염 공급원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진해만 생지화학적 과정을 추정하기 위해서 해저지하수 방출수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부산지역의 해저용출수 전기비저항탐사 (Resistivity Explor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Busan Area)

  • 박준규;김성욱;이진혁;김인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711-716
    • /
    • 2010
  • This study selected the promising area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SGD) that flows into the sea following unconfined physical aquifer through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of the land and sea. The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SGD) mostly flows into the sea following fracture zones, and the detection of the fault zone becomes the important guideline of groundwater discharge. Electrical sounding of the land assessed the groundwater flow and integ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a fault that is a water path between underground reservoir and surface water as well as a rock fracture.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sea electrical resistivity to expand the area with high potential and selected the expected water potential groundwater area. The areas of the study were Busan and coastal areas, and for the terrain analysis, the candidates of the ground exploration were selected after analyzing lineaments that is expanded to coast direction.

  • PDF

부산 남동지역 연안 대수층내 지하수의 지화학적 특성과 유출 (Submarine Discharg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quifer off Busan, Korea)

  • 양한섭;황동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7-177
    • /
    • 2007
  • We measured the salinity, pH, and concentrations of $^{222}Rn$ and nutrients in groundwater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quifer off Busan from March to September 2005 to evaluate its submarine discharge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Salinity in coastal groundwater increased sharply at 20 m depth and exceeded 25 ppt below 40 m during the study period, indicating that a strong transition zone between fresh groundwater and seawater developed between 20 and 40 m depths. Fresh groundwater in the upper layer of this transition zone was characterized by high pH, $^{222}Rn$,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N), and dissolved inorganic phosphorus (DIP) and low dissolved inorganic silicate (DSi) relative to seawater in the lower layer. In addition, the vertical profiles of the $^{222}Rn$, DIN, and DIP concentrations imply that a strong advective groundwater flow occurs along the interface of fresh groundwater and seawater near 20 m depth. The geochemical constituents in coastal groundwater also showed strong seasonal variation, with the highest concentrations in summer (June 2005) due to the changes of groundwater recharge and sea level. This implies that the input of terrestrial chemical species into the coastal ocean through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could change seasonally. To ascertain the seasonal variation of SGD and SGD-driven chemical species fluxes, and associated ecological responses in the coastal ocean, more extensive studies are necessary using various SGD tracers or seepage meters in the future.

DETECTION OF GROUNDWATER DISCHARGE POINTS IN COASTAL REGIONS AROUND MT. CHOKAISAN, JAPAN BY USING LANDSAT ETM+ DATA

  • Kageyama, Yoichi;Shibata, Chieko;Nishida, Makot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57-60
    • /
    • 2008
  • The flow of freshwater into the sea, termed as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s a key factor for understanding the hydrological cycle in both the sea and land regions. The numerous positions from which freshwater gushes out or its quantity impedes the understanding of its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detects groundwater discharge points arising due to the difference in freshwater and seawater by using the multispectral Landsat ETM+ signals. A case study in coastal regions around Mt. Chokaisan, Japan is performed. This study comprises three procedures: (1) computer simulation of the flow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the study area, (2) performance of preliminary experiment on the band properties of the Landsat ETM+, (3) detection of the difference in water properties by using the Landsat multispectral bands. Our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by the Landsat ETM+ are in considerable agreement with the realities in the study area.

  • PDF

Search of submarine discharge locations with multi-temporal thermal infrared images and ground radar surveys

  • Onishi K.;Sairaiji M.;Rokugawa S.;Tokunaga T.;Sakuno Y.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685-688
    • /
    • 2004
  • Fresh water discharge from the sea floor strongly affects a coastal ecology and the diffusion of contaminants. Much fresh water discharge has been found in the edge of Kurobe alluvial fan, in which annual rainfall is over 4000mm and there is abundant groundwat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groundwater discharge, thus the search of possible areas with some remote sensing tools is required. Because the temperature of the discharge point i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e surrounding sea water surfaces, there is a possibility to detect the area as an irregular zone of thermal infrared images. Two anomalous temperature zones, which have no surface streams from rivers, are detected by ASTER thermal-infrared images. One of them was verified as the groundwater discharge point by dives.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of water table under the land side of the two areas is also detected as irregular zones by a ground-penetrating radar

  • PDF

상류 수위를 활용한 낙동강 하구둑 유출량 추정 (Estimating Nakdong Estuary Barrage outflow using upstream hydrograph)

  • 심규현;정한철;황도현;김대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3호
    • /
    • pp.165-171
    • /
    • 2023
  • 낙동강 하구둑은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감조하천 환경으로 하구둑에서 방류하는 지표수 유출량과 연안 해저 지하수 유출량에 대한 모니터링이 체계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 상류 지역에 위치한 수위자료와 물수지분석을 통하여 변화 저수량과 방류량을 계산하였다. 해저를 통한 육상에서의 지하수 유출도 원격탐사 기반 지형자료와 수문 모델링 자료를 근거로 산출하여 낙동강 하구둑 유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현장 측정 이외의 원격탐사 기반 고도계 자료를 활용하여 수자원 관리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담수 지표수 유출량 뿐만 아니라 해저 지하수 유출이 연안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낙동강 하구둑 생태계 모니터링에서 담수와 해수의 상호 관계에 대한 연구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물 수지 방법과 라돈 물질수지 방법을 이용한 일광유역의 해저용출수 평가 (Estim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Il-Gwang Watershed Using Water Budget Analysis and Rn Mass Balance)

  • 곽용석;김상현;이용우;함세영;김인수;김부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165-1182
    • /
    • 2011
  • The evaluation of potential submarine groundwater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for exploring an alternative water resource. Two different approaches, water budget analysis and Rn mass balance method, were employed to investigate the annual vari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in 2010 at a marine watershed located at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obtain reliable hydrological data during study period,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rainfall and soil moisture had been collected and hydro-meterological data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were collected The runoff response was simulated using SCS-CN method with spatial distributions of landuse and soil texture from GIS analysis. Six different methods were used to estimate the monthly variation of evapotranspiration and field measurements of soil moisture were used to account for the infiltration. Comparisons of infiltration and surface runoff between simulation and water balance with measurements showed coincidence. The water budget analysis and Rn mass balance method provide mean daily submarine groundwater as 5.35 and 4.07 $m^3/m/day$ in 2010, respectively.

시계열 수질 분석에 의한 제주도의 해저용출수 탐사 및 검증 (Exploration and Verification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on Jeju Island by Remotely Sensed Based Water Quality Analysis)

  • 백승균;박맹언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4호
    • /
    • pp.395-409
    • /
    • 2005
  • 새로운 수자원으로서의 가능성이 대두되는 제주도 연안의 해저에 존재하는 용출수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원격탐사 자료와 GIS 기법을 적용하였다. 4월, 8월, 12월에 촬영된 Landsat TM자료를 이용하여 해수면 온도, 투명도, 클로로필-a 분포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제주도 연안 해저의 용출수와 관련된 이상대를 파악하였다. 또한 지질도, 수계분포도, 분석구 분포 밀도도, 선구조 분포 밀도도, 지하수위도 등의 주제도를 이용한 퍼지기반 공간통합분석을 실시하여 제주도 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용천수의 분포 특징을 분석한 결과 Landsat TM 자료 분석 결과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제주도 연안에서 해저 지하수 및 지하수 기원 영양염류 유입량의 시간적 변화 (Temporal Variations of Submarine Groundwater Discharge (SGD) and SGD-driven Nutrient Inputs in the Coastal Ocean of Jeju Island)

  • 황동운;고병설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7권4호
    • /
    • pp.252-261
    • /
    • 2012
  • 해저지하수와 지하수 기원 영양염류 유입량의 시간적 변화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9월부터 2010년 9월까지 2-3개월 간격으로 제주도의 방두만에서 지하수의 유출속도와 영양염류 농도를 측정하였다. 해저지하수의 유출속도는 0~330 cm/day(평균 약 170 cm/day)였으며 조석주기 동안 육상 지하수면과 해수면사이의 수리학적 압력경사의 변화로 인해 고조에서 저조로 갈수록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해저지하수의 유입량은 겨울철에 비해 여름철에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하수 기원 영양염류 유입량은 방두만내 전체 영양염류 유입양의 용존무기질소는 90~100%, 용존무기인은 70~95%, 용존무기규소는 65~100% 이었으며, 이는 0.9~33 g $carbon/m^2/day$의 유기탄소 생성에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저지하수를 통한 영양염류의 유입은 제주도 연안의 부영양화 및 생물생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안 대수층의 해저 담지하수 유출량 산정을 위한 유량 평균 유출량 방정식의 적용 (Application of Flux Average Discharge Equation to Assess the Submarine Fresh Groundwater Discharge in a Coastal Aquifer)

  • 김일환;김민규;정일문;정교철;장선우
    • 지질공학
    • /
    • 제33권1호
    • /
    • pp.105-119
    • /
    • 2023
  • 기후 변화에 따라 용수 공급량은 줄어들고 있으며, 해안 및 도서지역은 지하수의 의존도가 높아 활용 가능한 용수의 양이 줄어들고 있다. 지속 가능한 해안 도서 지역의 물 공급을 위해 현재의 상태를 정확히 진단하고 효율적인 용수의 배분 및 관리가 필요하다. 해안 도서 지역의 지하수 흐름의 정밀한 분석을 위해 제주 동부의 성산유역을 대상으로 해안 담지하수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중요 매개변수인 담수층의 두께의 산정은 다심도 관측공에서 측정되는 전기전도도를 이용하여 수직적인 보간을 통해 추정하는 방법과 Ghyben-Herzberg의 이론적인 비율을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Ghyben-Herzberg의 비율을 사용한 값은 변화하는 담-염수 경계면의 정밀한 추정이 불가능하며, 전기전도도로 분석한 값은 담-염수 경계면의 현재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매개변수는 가상의 격자에 분포시키고, 각각의 격자에 대한 해안 담지하수 유출 유량의 평균을 유역 대표 유량으로 결정하였다. 유역 규모의 연도별 해안 담지하수 유출량 산정과 유량 분포를 나타냈으며, 2018년에서 2020년까지의 해안 담지하수 유출량은 전기전도도로 추정한 담수층의 두께를 적용한 방법은 6.27 × 106 m3/year, Ghyben-Herzberg의 비율을 적용한 방법은 10.87 × 106 m3/year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낸 결과는 해안 도서지역의 정밀한 물수지 분석 등을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용수의 공급을 결정하는 정책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