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2초

인지기능 및 인지훈련효과의 관련변인에 관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factors affecting cognitive function and cognitive training effects)

  • 김영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43-351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에 관한 교육과 함께 주의, 기억, 실행기능, 기억책략 등을 다루는 인지과제를 수행하는 인지훈련을 실시하여 훈련 이전의 인지기능 수준은 어떤 개인적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 주관적 인지감퇴는 실제적인 인지감퇴를 반영하는지, 인지훈련의 효과는 어떤 개인 특성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참가자는 건강한 노인 20명으로 14회기의 인지훈련을 주 1회, 회기당 2시간씩 진행하였으며 사전 및 사후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기능은 연령과 자아존중감, 성격 특질 중 외향성과 개방성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인 인지감퇴는 객관적인 인지기능보다는 우울, 불안, 성격,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주관적 연령과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또한 인지훈련을 통해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측정하는 정신상태, 기억, 전두엽기능 검사 점수가 향상되었으며 인지훈련의 효과는 연령, 주관적 인지감퇴, 불안,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주관적 연령, 성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어떤 특성의 노인이 인지노화에 취약한지 알려주며, 인지훈련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교육 참가자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한국 성인에서 주관적 인지저하를 동반한 우울증의 특성과 삶의 질 : 제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Quality of Life and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in Korean Adults : Data from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정재훈;김성진;정도운;문정준;전동욱;김연수;최현석;이민주;전경수
    • 정신신체의학
    • /
    • 제29권1호
    • /
    • pp.17-25
    • /
    • 2021
  • 연구목적 국내의 성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인지 저하를 동반한 우울증에서 삶의 질, 우울의 심각도, 자살 관련 특성, 주관적 건강 상태 및 스트레스 인지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7기 자료를 이용하여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에서 10점 이상인 인구 4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관적 인지 저하 유무에 따라 두 군의 특성 차이를 비교했다. 주관적 인지 저하와 삶의 질, 우울, 자살사고의 상관성을 보기 위해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을 실시했다. 결 과 주관적 인지 저하를 동반한 우울증 집단이 삶의 질과 주관적 건강이 더 좋지 않았고 우울의 심각도가 심했다. 주관적 인지 저하와 삶의 질은 음의 상관관계, 자살사고와 우울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 분석을 통해 주관적 인지 저하가 삶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 결 론 주관적 인지 저하를 동반한 우울증은 삶의 질을 저해하고 우울의 심각도가 심하며 삶의 질, 자살사고 및 우울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폐경기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인지기능 감퇴와의 관계: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Menopause Symptoms and Perceived Cognitive Decline in Menopausal Women: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 김지현;오복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0-210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s and decline in cognitive functioning of menopausal women with mediating effects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Method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140 menopausal women were recruited for the cross-sectional survey.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Menopause Rating Scal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Everyday Cognition, and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Results: The mean scores for menopausal symptom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were 14.40, 153.79, and 67.40 respectively.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directly affected by menopausal symptom ($R^2=8%$). Cognitive decline was directly affected by menopausal symptom ($R^2=11%$). Menopausal symptom (${\beta}=.33$, p<.001)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beta}=.21$, p=.014) were found to be predictive factors in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nd explained 14%. Health promotion behavior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 and perceived cognitive decline (Sobel test: Z=2.05, p=.040).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decreasing menopausal symptoms and encourag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re recommended to improve cognitive decline in menopausal women.

성인의 인지예비능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우울, 주관적 기억감퇴 및 삶의 질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ognitive Reserve on Adult's Cognitive Function -Focusing on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

  • 김지현;정민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58-372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의 인지예비능, 주관적 기억감퇴, 우울 및 삶의 질 등과 같은 요인들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만 40세 이상 80세 미만의 성인 남녀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고,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인지기능 척도, 우울 척도, 삶의 질, 주관적 기억감퇴, 인지예비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결과는 SPSS 25.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3.3과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의 인지예비능은 우울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예비능과 인지기능의 다중 매개 결과는 우울 및 주관적 기억감퇴에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삶의 질은 성인의 인지예비능과 주관적 인지기능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인들은 다양한 활동과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인지예비능을 꾸준히 축적하여 인지기능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건강한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지예비능과 인지기능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실행되기를 제언한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인지기능감퇴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Cognitive Decline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Breast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The Mediating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 이정란;오복자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2-21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impairment and quality of life (QoL) among patients with breast cancer. Specifically, the intention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for promoting behaviors leading to better health and QoL. Methods: A purposive sample of 152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was recruited.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using four instruments: Everyday Cognition Scal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Breast Cancer Version 4, and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Results: The mean score for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was 65.84;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95.89, and 83.34 for QoL.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directly affected by cognitive decline ($R^2=6.0%$) as was QoL ($R^2=43%$).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beta}=-.57$ p<.001)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beta}=.37$, p<.001) were seen as predicting factors in QoL and explained 56% ($R^2=56%$). Health promotion behavior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cognitive decline and QoL (Sobel test: Z=-3.37, p<.001).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focusing on managing cognitive decline and promo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re highly recommended to improve QoL in cancer patients.

Study Design and Baseline Results in a Cohort Study to Identify Predictors for the Clinical Progression to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From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CoSCo) Study

  • SeongHee Ho;Yun Jeong Hong;Jee Hyang Jeong;Kee Hyung Park;SangYun Kim;Min Jeong Wang;Seong Hye Choi;SeungHyun Han;Dong Won Yang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47-161
    • /
    • 2022
  • Background and Purpose: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 refers to the self-perception of cognitive decline with normal performance on objective neuropsychological tests. SCD, which is the first help-seeking stage and the last stage before the clinical disease stage, can be consider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tim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This study aimed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amyloid positive and amyloid negative groups of SCD patients. Methods: A cohort study to identify predictors for the clinical progression to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or dementia from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CoSCo) study is a multicenter,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conducted in the Republic of Korea. In total, 120 people aged 60 years or above who presented with a complaint of persistent cognitive decline were selected, and various risk factors were measured among these participants. Continuous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Wilcoxon rank-sum test, and categorical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the χ2 test or Fisher's exact test.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used to assess the predictors of amyloid positivity. Results: Th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indicated that amyloid positivity on PET was related to a lack of hypertension, atrophy of the left temporal lateral and entorhinal cortex, low body mass index, low waist circumference, less body and visceral fat, fast gait speed, and the presence of the apolipoprotein E ε4 allele in amnestic SCD patients. Conclusions: The CoSCo study is still in progress, and the authors aim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progression of MCI or dementia in amnestic SCD patients through a two-year follow-up longitudinal study.

주관적 기억장애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의미연상과제 수행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semantic association task performance in elderly with subjective memory impairment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 강서정;박성현;김정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83-292
    • /
    • 2019
  • 초기의 인지 감퇴를 판단하는 요소로 의미지식 및 의미 연관관계의 범주별 손상 유무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및 주관적 기억장애,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의미연상과제를 사용하여 인지 감퇴의 정도에 따라 관찰되는 의미 하위범주별 수행과 오류유형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의미연상과제 범주별 정반응 점수와 반응시간에서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하위범주 중, '기능'에서 가장 높은 수행력을, '상위'와 '부분/전체'에서 가장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오류유형별 산출 횟수는 정상에서 경도인지장애 노인으로 갈수록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무반응은 주관적 기억장애 노인부터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지 감퇴가 진행될수록 의미연결망에서 범주별 손상의 정도와 과정이 다르므로, 기억장애 노인의 인지적 감퇴를 확인하고 추적 관찰하기 위한 지표로 의미연상과제 수행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성인의 성별에 따른 주관적 인지 저하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ccording to Sex in Korean Adults)

  • 이은숙;서영미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30권1호
    • /
    • pp.31-41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 in men and women.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the 2021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and targeted a total of 80,026 men and 98,753 women aged 40 or older who responded to the SCD assessment.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a complex sample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SCD. Results: Of the participants, 19,438 (22.7%) men and 30,826 (29.9%) women in the community reported SCD.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SCD in both groups were age, education level,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depressive symptoms, and the strongest risk factor was depressive symptoms. Compared to women, men's monthly income, flexibility exercise,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on SCD and Healthcare services affected SCD only in women. Medical services affected SCD only in women. Conclusions: When planning and providing intervention programs for cognitive func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differences in factors associated with SCD according to sex.

Discriminative Power of Seoul Cognitive Status Test in Differentiating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Based on CERAD-K Standards

  • Hasom Moon;Eek-Sung Lee;Seunghee Na;Dayeong An;Joon Soo Shin;Duk L. Na;Hyemin Jang
    • 대한치매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36-145
    • /
    • 2024
  • Background and Purpose: We developed a new digital cognitive assessment called Seoul Cognitive Status Test (SCST), formerly called Inbrain Cognitive Screening Te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clinical utility of the SCST by comparing its scores of those with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SCD), amnestic mild cognitive impairment (aMCI), and dementia diagnos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Methods: All participants (n=296) who completed the CERAD-K, SCST,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es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otal score, cognitive domain scores, and subtest scores of the SCST were compared among the 3 groups (SCD, aMCI, and dementia). Additionally, correlations between SCST and CERAD-K subtests were examined. Results: Cognitive domain scores and total score of the SC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with scores being the highest in the order of SCD, aMCI, and dementia (p<0.001). Most subtests of the SCST also showed higher scores in the order of SCD, aMCI, and dementia (p<0.001). However, SCD and aMCI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of the Phonemic Word Fluency Test (p=0.083) or Korean Trail Making Test-Elderly version Part A (p=0.434).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lace Recognition (p=0.274) of the Word-Place Association Test between aMCI and dementia groups. Conclusions: In conclusion, differences in total score, cognitive domain scores, and subtest scores of the SCST among the 3 groups of participants diagnosed using CERAD-K confirm the clinical utility of the SCST for cognitive assessment.

인지 저하를 호소하는 유방암 환자들의 인지 기능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Complaining Cognitive Decline)

  • 이선아;박경미;김태호;이은
    • 정신신체의학
    • /
    • 제25권2호
    • /
    • pp.136-144
    • /
    • 2017
  • 연구목적 치료를 마친 유방암 환자들에서 인지 저하가 나타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인지 저하는 항암치료, 암이라는 질병 자체의 영향, 우울과 불안을 포함하는 정서요인 등의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나타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인지 저하가 항상 신경심리검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 인지 저하가 객관적 인지기능 검사와 관련성이 있는지, 인지 저하의 관련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치료 종료 후 6개월이 지난 유방암 환자들 중 인지 저하를 호소하는 29명의 환자군과 동일한 연령대의 20명의 정상 대조군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신경심리검사를 시행하였고, 이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신경심리검사 점수와 우울, 불안을 포함하는 정서 요인과의 관련성을 평가하였고, 연령, 교육수준, 공존 질환과의 연관성도 함께 알아보았다. 결 과 유방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 간 신경심리검사 결과의 차이는 없었다.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방암 환자군에서 우울(p=0.002) 및 불안(p<0.001) 의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유방암 환자군 내에서 연령, 교육수준, 공존 질환을 통제하였을 때 실행기능의 저하는 높은 우울(${\beta}=-0.336$, p=0.001), 불안(${\beta}=-0.273$, p=0.009)의 정도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주의력 저하도 높은 우울(${\beta}=-0.375$, p=0.023) 및 불안(${\beta}=-0.404$, p=0.013)의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연구 결과 환자들의 주관적 인지 저하와 객관적 인지기능 검사 결과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주관적 인지 저하가 우울이나 불안과 같은 정서적 스트레스의 지표로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