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bject of research

검색결과 6,631건 처리시간 0.037초

미국(美國) 통일(統一)컴퓨터정보거래법(情報去來法)(UCITA)의 적용범위(適用範圍)에 관한 소고(小考) (A study on the Scope of UCITA)

  • 한병완
    • 무역상무연구
    • /
    • 제19권
    • /
    • pp.169-190
    • /
    • 2003
  • Uniform Computer Information Transactions Act (UCITA) for e-commerce in non-UCC and non-UETA transactions, promulgated in 1999. The Act Drafted by the National Conference of Commissioners on Uniform State Laws. UCITA applies to contracts to license or buy software, contracts to create computer programs, contracts for on-line access to databases and contracts to distribute information over the Internet. UCITA does not apply to goods such as television sets, stereo equipment, airplanes or traditional books and publications. Goods generally remain subject to UCC Article 2 or Article 2A. Many transactions may include more than computer information. If that transaction covers non-goods subject matter, UCITA applies only to the part of the transaction which is computer information and other law applies to the other subject matter. In the event the other subject matter is goods, UCC Article 2 or 2A applies to the goods subject matter and UCITA applies to the computer information part. UCITA is coordinated with existing Articles 2 and 2A, so coverage of each to part of the transaction will be facilitated. With respect to other subject matter (primarily services) UCC Articles 2 and 2A have worked in mixed transactions with the common law applicable to the services.

  • PDF

국내 학술논문 주제 분류 알고리즘 비교 및 분석 (Comparison and Analysis of Subject Classification for Domestic Research Data)

  • 최원준;설재욱;정희석;윤화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78-186
    • /
    • 2018
  • 학술정보 성과물을 서비스하기 위하여 논문 단위의 주제 분류는 필수가 된다. 하지만 현재까지 저널 단위의 주제 분류가 되어 있으며 기사 단위의 주제 분류가 서비스되는 곳은 많지 않다. 국내 성과물 중에서 학술 논문의 경우 주제 분류가 있으면 좀 더 큰 영역의 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고 범위를 정해서 서비스 할 수 있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정보가 된다. 하지만, 분야 별 주제를 분류하는 문제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의 손이 필요하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의 검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답이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정답을 찾는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해서 주제 분류를 시도해 보고 연관도와 복잡도를 활용해서 주제 분류 알고리즘의 결과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비지도 학습 알고리즘은 주제 분류 방법으로 잘 알려진 Hierarchical Dirichlet Precess(HDP).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Latent Semantic Indexing(LS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성능을 분석해 보았다.

Roles of Teachers in Learning Study: A Case Study in Teaching Fractions

  • Wong, Tak Wah;Lai, Yiu Ch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47-61
    • /
    • 2013
  • This paper aims to explore whether Learning Study improves teachers' subject content knowled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eaching mathematics. A Learning Study was conducted in a Hong Kong primary school for a research lesson on comparing the size of fractions to explore the new teacher roles.

가정과교육 관련 박사학위논문 연구동향 (Research Tren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Ph. D. Dissertation)

  • 유인영;배현영;이종희;민은혜;최미선;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39-252
    • /
    • 2008
  • 2008년 2월말 현재 국내에서 가정과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은 20편이 발표되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교육을 발전시키고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가정과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주제별, 방법별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고 이에 터하여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2008년 4월 한 달간 국립중앙도서관,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연구원, 가정교육전공 박사를 배출할 수 있는 고려대 동국대 서울대 중앙대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등의 홈페이지를 검색해서 나온 논문 중에서 일반적인 가정 내에서의 교육이나 일반 가정학 교과내용을 제외한 가정교육 학위논문 총 20편이다. 가정과교육 관련 박사논문의 연구주제는 가정과교육의 주요개념 및 관점, 가정과 교육과정, 가정과 교수 학습, 가정과 교사역량, 기타 5가지로 분류하였다. 가정과교육 관련 박사논문의 연구방법은 조사연구, 문헌연구, 사례연구, 교육자료 개발, 평가도구 개발, 측정, 적용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들은 교육과정에 제시된 목표나 성격을 규명하거나 교사의 역량 강화 등 가정과 교육의 정체성을 찾기 위한 주제가 많았다. 그 다음은 가정교과의 교육과정이나 교수 학습에 관한 주제가 뒤를 이었다. 둘째, 가정과교육관련 박사학위 논문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은 연구주제와 관련이 깊었다. 연구방법별 동향에서는 문헌연구와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자료개발이나 도구개발, 사례연구 등의 연구방법은 상대적으로 적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도별 경향을 보면 90년대 박사학위 관련 논문이 5편에 불과했으나 2000년 이후 현재까지 15편으로 증가하여 최근에 가정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었다. 현재 박사학위 과정을 수료했거나 재학 중인 가정과 교사 수를 감안해 볼 때 가정과교육 박사학위 논문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지금까지 발표된 박사학위 논문을 정리한 이 연구 결과는 앞으로 진행될 학위논문 준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Re-conceptualization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and Its Application)

  • 조희형;고영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8-632
    • /
    • 2008
  • 과학교사의 교수내용지식(PCK)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PCK의 정의와 그 구성요소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는 과학교사의 PCK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과학교사 교육의 교육과정 내용을 선정하고 관련 과목을 결정하는 기준이나 준거로 사용될 수 있도록 재구성한 PCK를 제안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사가 획득하여 가져야 할 PCK를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또는 현직 과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이수하거나 중 고등학교의 실제 과학 교수 경험을 통해서 획득하여 그의 중 고등학교 과학 교수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있는 지식과 기능"으로 정의하였다. 이와 같이 정의된 과학교사의 PCK는 과학과 교육학의 두 영역의 하위요소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통합되어 이루어지며, 이 연구에서는 그렇게 획득되는 PCK를 과학교육 소양으로 부른다. 이 논문에서는 PCK의 조작적 정의와 재구성된 PCK를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의 교육에 적용하는 방법과 그에 관한 연구에 던져주는 시사점도 기술한다.

교과흥미 자기조절학습 학습몰입 자기효능감 간의 상호관계분석: 중학교 영어교육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analysis among subject specific interests, self-regulated learning, learning flow and self-efficacy: focused on middle school English education)

  • 김담실;이성원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51-59
    • /
    • 2019
  • 외국어 학습이론에서 자기조절학습, 교과흥미, 학습몰입, 자기효능감은 주요 구성개념들로 연구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구성개념 간 상호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개념들을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SEM분석을 통하여 그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남에 위치한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첫째, 교과흥미는 학습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흥미는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또한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학습몰입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자기조절학습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고 다섯째, 자기조절학습은 학습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상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영어교육의 경우 학생들의 교과흥미는 학습몰입을 가져오고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며 자기조절학습 능력을 증진하여 결국은 성과로 이어지게 된다.

도서관학 교육과정 구성의 원칙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Library Science Curriculum)

  • 구본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5권
    • /
    • pp.45-72
    • /
    • 1988
  • A study has been made prior to the emphatic research to see how the curriculum of the Library Science Departments, in general, has developed to date. In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of library scienc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termine what decisions will be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changing trend of the society, regarding the matters of general specialization versus subject specialization education, the definition, change and operation of the core subject, the expansion of the elective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by types of the library, and the curriculum composition in terms of subject specilization. The curriculum should consist of a unified series of courses and other educational experiences, designed to meet specific program objectives. Principles and concepts should be emphasized, over routines and techniques. All students should study certain fundamental 'core' subjects, as well as more specialized electives. General education (studies outside of librarianship) should be a major component of the total education of the librarian. Fundamental core subjects should be treated as introductory courses covering deep studies that can provide the most inclus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library science field. They should be offered as pre-requisites required of all the students entering the Department of Library Science. Specialized subjects and interdisciplinary courses comprising subject concentration should be offered as electives at the advanced level.

  • PDF

The Influence of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od and Beverage Practice Class using the SCAMPER Method on Learning Motivation: Subject to Specialized High Schools

  • Jeong, Sangmin;Moon, Jinuk;Ha, Heon Su;Jung, Jihye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31
    • /
    • 2016
  • In this study, the SCAMPER method which is a creative thinking method is applied in the food and beverage class of a specialized high school NCS study module to enhance creative thinking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learning motivation of students. For verification, 10 sessions of 50 minutes classes were performed on 1, 2 grade students in H high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Yangju City from August to November 2015 subject to 54 subject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54 subject in the control group. To look into the influence of the NCS food and beverage practice class using the SCAMPER method on learning motivation, pre post surve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the students for measurements through surveys to deduct conclusions.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NCS food and beverage practice class using the SCAMPER method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learning motiv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nd positive change was also found in the awareness of SCAMPER method using classes and creative activities in the students.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NCS food and beverage practice class using the SCAMPER method on learning motivation subject to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s investigated to have meaning as data to expand the research range of NCS food and beverage practice education.

공업고등학교 전기관련과의 수학 교육 보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Educational supplement for Department of Electricity of Technical High School)

  • 이상석;신용철;김민회;박찬규;이재용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3권4호
    • /
    • pp.216-222
    • /
    • 2004
  • This research is that concern in mathematics educ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Department of Electricity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e indicated problem compare 7th with 6th mathematics curriculum subject contents in Technical high school Department of Electricity. And examine major subject contents, analyzed contents of mathematics that must supplement and mathematics which use in major subject. Established contents of electricity mathematics education that need to major learning to satisfy target of technical high school technical education that is presented in the 7th training courses with this analysis. Also, we hope these results are into consideration when writing new mathematics text in Technical high school Department of Electricity.

The Mathema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Comparative Perspective

  • Wong, Ngai-Ying;Rowland, Tim;Chan, Wing-Sum;Cheung, Ka-Luen;Han, Ngai-Sze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2호
    • /
    • pp.173-194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mathematics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mong England, the Chinese mainland and Hong Kong. Data were collected from a ten-item test in the SKIMA subject matter audit instrument [Rowland, T.; Martyn, S.; Barber, P. & Heal, C. (2000). Primary teacher trainees'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and classroom performance. In: T. Rowland & C. Morgan (ed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Volume 2 (pp.3-18). ME 2000e.03066] from over 500 participants.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from England performed consistently better, with those from Hong Kong being next and then followed by those from the Chinese mainland. The qualitative data revealed that participants from Hong Kong and the Chinese mainland were fluent in applying routines to solve problems, but had some difficulties in offering explanations or justif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