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s' responses

검색결과 1,501건 처리시간 0.027초

소비자의 다차원가격 평가노력에 대한 제품관여도와 브랜드선호도의 영향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and Brand Preference on Consumers' Evaluation Effort for Multi-Dimensional Prices)

  • 김재영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55-64
    • /
    • 2015
  • Purpose - Multi-dimensional prices comprise multiple components such as monthly payments and a number of payments rather than a single lump-sum amount.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rice dimensions leads to a massive amount of cognitive stress resulting in incorrect calculation, and deterioration in the consistency of the price judgment. However, an increase only in the level of complexity of calculating multi-dimensional prices does not always result in a corresponding decrease in the accuracy of price evaluation. Since diverse variables could affect consumers' purchase-decision-making process, the results of price evaluation would be different.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how the accuracy of price evaluation varies depending on the extent of the complexity of price dimensions using product involvement and brand preference as moderating variabl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survey was conducted on 260 students, and 252 effective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and two-way ANOVA. In this study, six hypotheses were developed to examine the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and brand preference on consumers' evaluation effort of multi-dimensional prices. Results - As the number of price dimensions increased, accuracy of price evaluation appeared to be low in high involvement, as expected. However, it showed no differences in price evaluation effort when the level of complexity of calculating multi-dimensional prices is low. When a small number of price dimensions are presented in both cases of high and low involvement, accuracy of price evaluation is much higher in a weak brand preference. On the contrary, a strong brand preference enhances an accuracy of price evaluation only in case of low involvement when the number of price dimensions is increased. An interaction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and brand preference on consumers' evaluation of multi-dimensional prices did not exist irrespective of the level of complexity of calculating prices being high or low. Conclusions - When the number of price dimensions is small, consumers' effort for price evaluation shows almost no difference without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and a weak brand preference leads to a higher accuracy of price evaluation in an effort to make the best selection. No interaction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and brand preference was found except for a main effect of brand preference. When a price is composed of multiple dimensions rendering it more difficult to calculate the final price, the effort for price evaluation was expected to decrease only slightly in case of combination of high involvement and strong brand preference. This is because people have a higher purchase intentions and trust for that particular brand. However, the accuracy of price evaluation was much lower in cases of high involvement,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duct involvement and brand preference except for a main effect of involvement and brand preference, respectively.

커피전문점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ie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Coffee Shops)

  • 김호식;심재현
    • 산경연구논집
    • /
    • 제8권5호
    • /
    • pp.95-109
    • /
    • 2017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quality factors of coffee shop customers with the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SERVQUAL, selection attributes, and service qualities used in previous studies. The path structure of coffee shops' quality factors → customer satisfaction → trust → behavioral intention was analyzed in order to confirm the system of coffee shops' quality facto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of was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s of Kangwon University.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232 collected. Of them, Excluding 36 respondents' because of incomplete answers and missing values, 196 respon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mpirical analysis was made through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Statistics Package SPSS 19.0. Results -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ffee shops' quality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like service encounter quality, product quality, cleanliness, overall interior, purchase quality, convenience, and aesthetics. Secondly, service encounter quality, product quality, purchase quality, and aesth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respectively. Thirdly, it showed that service encounter quality, product quality, overall interior, purchase quality, and aesthetics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respectively. Fourthly,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Lastly, after verifying the effect relations of trust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bout coffee shop and behavioral intention,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rust and trust has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rust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ut, cleanliness, convenience, and overall interior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Conclusions - Coffee shop consumers put importance on price, discount systems, taste, and freshness, but more on courteous and kind services of coffee shop staff or comfortable and calming atmosphere of inner space. Thereby, coffee shop marketers need to take factors like service encounter quality and aesthetics into more consideration. In addition, customer satisfaction has an effect on trust, while trust on behavioral intention, even though trust is not mediated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y, nutriti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by obesity statu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 Ha, Seong Ah;Lee, Seo Yeon;Kim, Kyung A;Seo, Jung Sook;Sohn, Cheong Min;Park, Hae Ryun;Kim, Kyung W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6호
    • /
    • pp.597-605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Childhood obesity has increased in recent decades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eating habits, physical activity (PA), nutriti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by obesity status. SUBJECTS/METHODS: Subjects were 5th-grade children from 70 elementary schools in 17 cities nationwide. Two-stag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was employed. Survey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eating habits, PA, nutrition knowledge and self-efficacy.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3,531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overweight obesity (OW) and normal weight (NW) groups based on body mass index percentiles for age by sex. RESULTS: A total of 21.5% of subjects was overweight or obes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erceived stress, perception of body shape, body satisfaction, and interest in weight control between the OW and NW groups (P < 0.001). With respect to eating habits, the OW group ate breakfast (P < 0.05) and snacks (P < 0.01) less frequently, ate bigger meals (P < 0.001), and demonstrated less desirable behaviors during meals (P < 0.05 in boys) compared to the NW group. The OW group participated in less PA than the NW group, especially boys. OW boys spent less time walking during weekdays (P < 0.05) or the weekend (P < 0.001), spent more time being sedentary during weekdays or the weekend (P < 0.001), and exercised a fewer number of days (P < 0.01). For girls, the OW group spent more time being sedentary during the weekend (P < 0.01) and exercised a fewer number of days by walking or bicycle riding (P < 0.05) than the NW group. Nutrition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W and NW groups. Self-efficacy (P < 0.01 in boys), especially PA self-efficacy (P < 0.01),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OW than NW group.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PA, and self-efficacy between OW and NW children. Obesity management programs for children need to focus on increasing self-efficacy, modifying eating habits, and increasing PA.

이공계 강의평가 결과의 실증적 분석을 통한 강의평가제도 개선방안 (Improving Course Evaluation System of Engineering Education)

  • 김학일;김성숙;권오양;이천;노경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4호
    • /
    • pp.58-77
    • /
    • 2007
  • 대학의 강의평가는 수업효과성에 대한 진단적 피드백을 제공하고 교수에 대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학생이 수강 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활용범위가 확대될 수록 강의평가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강의평가 제도 자체에 대한 측정학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대학의 강의평가 결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강의평가제도의 순기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평가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결과에 대한 문항반응 유형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국내 대학교 이공계 개설강의 중 471개 과목의 385명 교수에 대한 총 49,127 명 학생의 강의평가 결과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의평가의 유형별 차이를 줄이기 위하여 전공별 또는 수업유형별로 평가문항 군에서 문항을 선택하도록 개선할 것을 제안하고, 둘째, 평가결과점수 상하위 10% 해당하는 강의의 특성을 분석하여 결과활용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대학부설 5개 과학영재교육원의 중등화학 교재 분석과 영재학생들의 인식 조사 (Analysis of the Secondary Chemistry Materials at 5 Centers for the University 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Gifted Students' Perception)

  • 이상권;모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106-119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5개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중등 화학반 교재를 고안한 분석틀에 의해 비교 분석하였고, N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올바른 영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고안한 분석틀은 교재 내용, 활동의 유형, 활동의 수준, 실험 활동의 개방도, 창의적 사고력 유형 등 6가지 범주에 따른 준거로 구성되었다. 교재분석결과 대체로 단원 내용이 적절하게 배분되어 이루어졌지만 첨단과학이나 융합과학 등의 내용이 부족했다. 활동의 유형은 대부분이 강의나 실험활동으로 다양한 활동들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지적 선행 학습이나 과학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학습활동의 비율이 높았다. 활동의 수준 분석 결과 창의적 활동이 매우 부족했고 실험활동의 개방도에서는 2수준 이상의 활동 비율이 낮았다. 그리고 창의적 사고력 유형분석에서는 확산적 사고력과 연관적 사고력을 촉진하는 활동이 부족함을 보였다. 진정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리커트 방식의 설문지와 면담을 통해 분석한 프로그램 내용에 대한 응답은 전반적으로 N대학교 부설 영재교육원 프로그램의 내용과 자신의 능력향상, 운영방식 등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PDF

미국 버지니아텍 공대 신입생에 대한 '지속가능 에너지 설계'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 (Effect of Sustainable Energy Design Project on Achievement for Engineering Freshmen at Virginia Tech in the United States)

  • 김진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1호
    • /
    • pp.60-76
    • /
    • 2007
  • 이 논문은 미국의 버지니아텍 공과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2006년 가을 학기에 프로젝트 수업을 실시한 실험 연구의 결과이다. 버지니아텍에는 공학교육과가 2004년에 설립되었다. 이 실험에서는 신입생 1200여명을 모집단으로 하여 5개 반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의 과목은 공학탐구이며, 수업의 주제로는 지속가능 에너지 설계이며, 6주 동안에 걸쳐 매주 이론 50분과 웍샵 90분 수업을 각 모듬별로 수행하였다. 이론은 교수가 강의하고 ???p샵은 박사과정의 조교가 수업을 실시하였다. SPSS(버전 15)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개 집단의 학업 성취도에 대하여 사전 및 사후 검사 점수로 대응 표본 t 검증한 결과, 혼성 학급인 4개 집단에서는 유의 수준 .05에서 사후 검사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여성학급에서는 유의미한 증가가 없었다. 5개 집단의 태도에 대하여 대응 표본 t 검증한 결과, 5개 집단 모두에서 약간씩 감소하였으며 유의미한 값은 아니다. 끝으로 이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기능 향상의 기대감에 대하여 개방형 질문을 하였으며, 학생들은 팀???p, 디자인 과정, 지식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대기압에 관련된 개념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Concept on Atmospheric Pressure)

  • 이지희;정진우;우종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60-570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대기압의 정의와 기압에 관련된 현상들에 대한 원리를 묻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H대학교 석사 과정에 있는 94명의 과학 교사들에게 투입하여 일관되고 통합된 설명 체계를 갖고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전공별로 구분하여 응답률을 비교하고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 대학 교재의 서술 방식과 교과들의 응답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과서와 대학 교재의 공기의 무게에 의한 압력이란 대기압의 정의에도 불구하고 화학 전공의 중학교 교사 지구과학 전공의 고등학교 교사는 중력과 분자 운동에 의한 압력으로, 화학 전공의 고등학교 교사는 기체의 분자 운동에 의한 압력이란 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고도에 따른 대기압의 변화를 공기 기둥의 무게로 설명하는 대부분의 교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응답을 한 교사는 절반에 불과하였다. 둘째, 대다수의 중등 교과서에서 저기압의 형성에 대해 대기압의 정의인 공기의 무게 개념을 적용하지 않고 가열되면 팽창하고 상승하여 밀도가 작아져 형성된다는 정확하지 않은 서술을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도 밀도 개념으로 저기압의 형성을 설명하였다. 셋째, 교사들이 기압과 관련된 현상들을 교육과정에 의한 학생들의 선개념을 고려하여, 원리보다 현상만을 제시한 교과서의 서술 방식대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대기압의 올바른 개념 형성을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 전개가 분자 운동, 중력, 힘의 평형, 대기압의 연계되어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설명 체계 또한 명확하여야 할 것이다. 교사들의 기압에 관련된 개념들이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은 것은 교과서나 교재의 영향이 크며 점진적이고 체계적인 개념 구조를 가지고 자연 현상을 통합적인 사고 과정으로 탐구하는 태도를 가질 수 있는 교사 교육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교육 목적 인식 실태 조사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ion of the Aims of Teaching Mathematics)

  • 방정숙;정유경;김상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3호
    • /
    • pp.277-291
    • /
    • 2011
  • 수학수업을 통해서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학습 목표를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수학을 왜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교사의 올바른 인식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수학교육의 목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합리적 논리적 사고 발달, 실용성, 도구 교과로서 수학을 인식하는 비중이 높은 반면에 세계에 대한 이해, 심미성, 의사소통 및 사회성 발달로서의 수학을 인식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한편 학문적 가치와 관련해서는 교사가 직접 서술한 수학학습의 이유에는 별반 나타나지 않은 반면에 리커트 척도에 의한 응답에서는 높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었다. 교사의 인식은 성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5년 미만의 교육경력을 가진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집단에 비해 대체적으로 수학교육 목적을 긍정하는 비율이 낮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교사의 수학교육목적 인식에 따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조기전급 및 조기졸업 이후 학생적응에 대한 부모지각 (Parents' Perceptions toward Students' Adjustments after Grade Skipping and Early Graduation)

  • 이미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411-432
    • /
    • 2009
  • 본 연구는 K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57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자녀의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의 필요성과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부모지각을 다변량 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과 다변량 공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을 한 자녀를 룬 부모는 고등학교 3년 과정을 마치고 대학에 입학한 자녀를 둔 부모보다 '조기진급에 대한 정보'를 더 만이 알고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조기진급에 대한 정보'를 공변량으로 통제한 후, 자녀의 적응에 대한 부모지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기 진급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었던 부모는 자녀가 대학에 보다 잘 적응한다고 지각하였다. 그러나 '조기진급에 대한 정보'가 자녀의 적응에 대한 부모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였을 때,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 유무에 따른 부모지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조기진급 및 조기졸업에 대한 정보를 많이 가지고 있는 부모 일수록 이에 대한 필요성을 보다 신중하게 고려하며 의사결정에 임할 뿐 아니라, 대학에 입학한 자녀의 진로 및 학습 적응 그리고 대학 생활에서 자녀가 경험하는 사회정서적 적응에 대해서도 비교적 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 불일치 정보에 대한 반응에서 환경적 프라이드 유형의 역할 (The Roles of Ambient Pride Type on the Responses to Preference Inconsistent Information)

  • 최낙환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11호
    • /
    • pp.55-66
    • /
    • 2018
  • Purpose - Present research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ambient pride type on judgement difference between existing preference and final preference formed after being exposed to the preference inconsistent information from others representing a conflict between consumer's own perspective and the others' perspective. And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roles of empathic concerns and motive type in the ambient pride type's effects on the judgement differe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2(information type: consistent versus inconsistent) × 2(pride type: hubristic versus authentic) between-subjects design was employed. Data for empirical analysis were from 252 undergraduat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survey. To verify hypothese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Results - First, there was the judgement difference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difference was greater at the authentic pride group than at the hubristic prid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greater at the inconsistent information group than at the consistent information group. The interaction effect of pride type and information type was significant. Second, when consumers who had made their preference were exposed to the inconsistent information from other, those of the hubristic pride group showed more defense motive and less empathic concerns than those of the authentic pride group. And there were the mediation roles of the empathic concerns and the interaction roles of the motive type in the effects of pride type on the judgement difference. Third, the self validity did not affect the difference even that become increased by defense motive rather than accuracy motive. Conclusions - This research could advance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related to pride type by exploring the effects of the pride type on judgement difference between existing preference and final preference formed by the inconsistent information from others, and by identifying the mediation roles of the empathic concerns and the interaction roles of the motive type in the effects of the pride type. In view of the results from current study, marketers should make efforts of inducing defense motive and developing and communicating the consistent information to persuade consumers under hubristic pride who have the belief that attributes of their brand are better than those of the competitors' brand, and they also should conduct marketing acts by using the inconsistent information to persuade consumers under authentic pride who have the belief that attributes of the competitors' brand are better than those of their br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