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udent portfolio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1초

경진대회 수상자를 통한 학생포트폴리오 작성 경험의 의미 (Study on the Meaning of Student Portfolio Construction That Portfolio Competition Winners Experienced)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1호
    • /
    • pp.70-77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포트폴리오 작성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학생포트폴리오의 교육적 가치 및 작성지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는데, 포트폴리오에 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인터뷰 문항을 구성하고 인천광역시 소재 I 대학의 학생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에 응한 학생들은 교내 학생포트폴리오 경진대회의 수상자 11명 중 일부로써 인터뷰 전 과정을 녹취하고 이를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인터뷰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공학교육인증 평가를 위해 타의적으로 학생포트폴리오 작성을 시작하였으나 학생포트폴리오 작성이 필요하며 저학년 때부터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인식하였다. 학생포트폴리오 작성시의 어려움으로는 자료 관리의 미비로 자료의 부족을 손꼽았으며 포트폴리오 자체에 대한 인식이 낮아 표준 양식을 제공해 준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작성해야 할지 어려워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학생포트폴리오를 작성함으로써 자기 반성의 기회를 갖고 기록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미래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또 다른 활동이나 능력 향상을 위한 동기가 생겨나고 자신감을 획득하게 되며, 꾸준한 포트폴리오 작성 과정으로 인해 문서작성 능력의 향상을 인식하게 되는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할 수 있었다.

  • PDF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 part 2 학생 포트폴리오 (The Study of Assessment Tool as an Outcomes Achievement : Part 2 Student Portfolio)

  • 김명랑;윤우영;김동환;정진택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64-71
    • /
    • 2005
  • 포트폴리오는 학생들이 비교적 오랜 교육기간 중에 수집한 학습결과물을 의미하며, 교육과정 이수 후의 학생들의 성취도를 잘 반영할 수 있고,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다시 검토하여 프로그램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포트폴리오의 평가방법으로서의 우수성을 공학교육의 프로그램학습성과 성취도 평가에 이용하려면, 본 기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교육 실정과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평가도구로 학생 포트폴리오를 제안하며 실제 모델을 구축하여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새로운 기법으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설계교과목의 포트폴리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ortfolio of Design Subjects)

  • 신동욱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47-51
    • /
    • 2010
  • 최근 공학교육의 발전을 촉진하고 실력을 갖춘 공학기술 인력을 배출하기 위해 공학교육인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공학교육인증에서는 학생들에게 포트폴리오 작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포트폴리오는 대학의 전 과정을 통해 달성한 학생 자신의 교육적 성과로서 학생 개개인의 교육 관련 활동과 실적물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설계교과목에 대한 포트폴리오에는 졸업 시까지 학생이 만든 설계 결과물이 축적되며, 결과물은 학생의 설계능력에 대한 달성도를 평가할 뿐 아니라 취업 또는 진학 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습교과목, 공학설계, 졸업설계에 대한 포트폴리오의 양식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이용한 활용법에 대해 소개한다.

  • PDF

포트폴리오 평가의 개념과 절차; 공학교육 학습평가의 한 가지 대안 (Concepts and Implementing Steps of Portfolio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in Engineering Education)

  • 최유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3권2호
    • /
    • pp.71-83
    • /
    • 2000
  • 최근 교육평가의 논의에서 포트폴리오는 대안적 평가의 한 유형으로 부각되고 있다. 즉 포트폴리오 평가는 평가의 보편적인 접근과는 달리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전 시간에 걸쳐 수집하고 평가하는 혁신적인 평가 방법으로 대두된다. 특히 공학교육에서의 이러한 접근은 공학교육의 특성상 의미있는 접근이 되며, 이 연구에서는 공학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의 평가의 개념을 논의하고 나아가 실제로 공학교육에서 포트폴리오를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절차를 제안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탐색 결과는 학생들이 학습 목표를 도발하는데 서류화한 학생들의 활동 생산물을 수집하고 평가하는 유목적적, 체계적, 성찰적 과정으로 정의되며, 적용을 위한 절차는 포트폴리오의 목적, 내용, 평가, 활용의 네 단계를 제안하였다.

  • PDF

공학교육지원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Student Portfolio Management Program to Aid Engineering Education)

  • 한송엽;이명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20-30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 프로그램의 교육목표에 따라 학생의 학습 성과 성취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생포트폴리오 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SPMP: Student Portfolio Management Program)은 인증요건, 학생들의 학습자료, 학습과제와 그 결과물들을 테이터 베이스 체계를 통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또한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은 공학교육인증에 있어서 요청되는 요건들을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학생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3가지 주요 기능은 첫째, 학생 개인 이력관리 기능으로서 개인정보자료, 교육프로그램에 관련된 자료 등 다양한 입력 자료로 구성되며 둘째, 학생 인증요건 관리 기능으로서 학습 성과, 이수과목 성적 등 인증요건 평가항목으로 구축되며 셋째, 학습과제관리 기능으로서 학습과제 작성, 검색 그리고 과제제출 항목들로 구성된다. 학생 포트폴리오 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체계적인 프로젝트 관리는 공학인증이 목표로 하는 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향상 및 인재양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관리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지속적인 결과물의 기록 및 관리는 대상 학생들이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상시로 필요한 곳에 제출 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초등학교 수학과 수업에서 포트폴리오의 활용 가능성과 그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and using method of portfolio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 이명희;송상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3호
    • /
    • pp.331-346
    • /
    • 2002
  • This study has two purposes. One is to know that it is Possible to use portfolio in the elementary math class. The other is to make a useful method for using portfolio. We got the following conclusion through the study. Portfolio gave students an opportunity that they could review their mathematical thinking. But it couldn't work very well for the low-level students. They didn't pay attention to the class. So, careful prepa-ration and training were necessary for the portfolio material. And the portfolio material must be prepared by appropriate contents. Teacher had to do math class by considering students ability. The math class could be much better for motivation, teaching-learning activity impro-vement and communication tool by using portfolio material. There are several imple-mentation processes in preparation, execution and utilization of the class. 1) Preparation: Teacher must decide if it is appropriate for portfolio by analyzing the course and textbook and set a final goal. And then teacher has to select an appropriate item and make a schedule for the class. The portfolio material must contain valuable things from which students learn mathematics and use in their life. The student level, utilization purpose and contents are considered when one prepares portfolio material. 2) Execution: Students are supposed to understand about the portfolio very well. It is important for them to get the opportunity for reviewing through math class diary, their opinion, friends opinion and teachers opinion. 3) Utilization: Parents review ameliorates the communication among teacher, student and parents about learning activity.

  • PDF

공학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과목 포트폴리오 사례 연구 (Case Study on Learning Portfolio for Engineering Education Substantiality)

  • 강환수;조진형;김희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545-555
    • /
    • 2013
  • 최근 대학의 공학교육에서 학생 포트폴리오가 자기주도적 수행평가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여러 대학의 공학교육혁신센터와 한국공학인증원의 포트폴리오 경진대회를 개최하면서 많은 학생이 대학 전 과정의 수행실적을 담은 학생 포트폴리오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공학교육에서 캡스톤디자인 관련 과목을 제외한 정규 교과목에 교과목 포트폴리오를 적용하는 사례는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포트폴리오는 학습 관련 자료의 조직적인 수집과 비판적인 성찰의 기회를 주는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 배경으로 교과목 포트폴리오를 공학교육의 일반 정규 강좌인 2013년 1학기 자료구조 교과목에 적용한 사례 연구이다. 교과목 포트폴리오를 정규 교과목에 적용한 결과 교과목 포트폴리오는 학습에 효과적이었으며, 학습자는 학습의 탐구과정을 통하여 자기주도적인 학습능력을 키우고 학습과정에서도 자기 성찰로 학습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웹기반 E-포트폴리오 관리시스템 개발 (An Implementation of Web-based E-portfolio Management System)

  • 한성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37-44
    • /
    • 2008
  • 최근 교육 분야에서 e-포트폴리오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많은 교육 기관들이 e-포트폴리오 시스템을 연구, 사용 도입하고 있다. e-포트폴리오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e-포트폴리오 관리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e-포트폴리오 관리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제안한 e-포트폴리오 관리시스템은 다른 사람들과 경쟁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모든 학생들의 활동은 블로그와 같은 환경에서 추천과 상호 참여를 유발하도록 구현하였다.

  • PDF

간호대학생의 학습포트폴리오 활용 경험 (Experiences on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in Nursing Students)

  • 박현주;변혜선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4-547
    • /
    • 2014
  • Purpose: This study verifies the meaning on application experiences of learning portfolio in nursing students. Method: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22 nursing students divided into 3 focus groups who had experienced on application of Learning Portfolio in university Y and university S in Kyungpook and Daegu, respectively.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3 to January 2014 through in-depth, recorded focus group interviews and subsequently analyzed via Colaizzi's (1978)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Results: The essential theme of this study is 'Finding a vision from confusion and suffering.' From 35 significant statements, 5 theme clusters, 16 themes and 32 sub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practical use of nursing student experiences. The five theme clusters were: Being a learning guide, Being a medium for communication,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inner growth, Difficulties about new learning, and Would like to no more in a better wa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providing direction to the formation of learning portfolios, which in turn enable nursing student to develop competency in self-directed learni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n outcome-based nursing curriculum needs to consider the importance for nursing student's effective application of leaning portfolio.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e-포트폴리오 설계 및 활용 교육 (e-Portfolio Design and Application Education Combining the Learning and Evaluation)

  • 김상수;김영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260-267
    • /
    • 2008
  • 포트폴리오는 장기간에 걸친 학생의 학습과 성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자기반성을 통하여 실제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포트폴리오의 운영 실태에 따르면 실시에 있어 시간 소요, 장기 보관의 어려움 등으로 인하여 일회적이고 평가를 위해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의 학습 과정과 성장 결과를 총체적으로 파악한 후에 포트폴리오 실시에 따른 물리적 제약요인을 줄이기 위해 학습과 평가를 통합한 e-포트폴리오를 설계한다. 설계한 e-포트폴리오 모델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블로그를 기반으로 e-포트폴리오를 운영한 결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한 활용 가능성도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한 e-포트폴리오 운영으로 학습과 평가 기능이 상호 작용적으로 통합된 보다 진전되고 의미 있는 포트폴리오 활용 교육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