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uctural geology

검색결과 275건 처리시간 0.024초

반송층군의 층서, 퇴적시기, 분지 진화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the Stratigraphy, Depositional Period, and Basin Evolution of the Bansong Group)

  • 최영기;박승익;최태진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4호
    • /
    • pp.385-396
    • /
    • 2023
  • 단양-영월-정선지역 옥천습곡단층대에서 북동-남서 방향의 충상단층대를 따라 분포하는 중생대 반송층군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송림조산운동 혹은 쥐라기 대보조산운동의 기록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한반도 중생대 조산윤회와 지구조진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본 논평에서는 반송층군의 층서, 퇴적시기, 그리고 분지발달사에 관한 그간 연구를 종합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반도 남부의 중생대 지구조진화 과정에서 반송층군이 가지는 의미에 대한 시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전통적인 견해는 송림조산운동 후기 혹은 종료 후에 (횡)인장 분지에 반송층군이 퇴적된 후 대보조산운동에 의해 변형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해석은 단양탄전지역을 중심으로 획득한 층서 및 고생물자료와 구조지질연구 결과에 근거한다. 반면 근래 연구 결과로서 반송층군을 대보조산운동과 관련된 조산동시성 퇴적작용의 산물로 보는 해석이 존재한다. 이러한 대안적 시각은 영월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화산쇄설암에 대한 U-Pb 절대연령과 해당 지역의 구조지질학적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하지만 두 모델 모두 반송층군으로 분류된 퇴적층에서 도출된 고생물자료와 절대연령자료를 종합적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이는 퇴적학, 구조지질학, 지질연대학, 암석학, 지화학 연구를 통해 획득한 다학제적 자료를 종합한 새로운 분지 진화 모델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북부 오키나와트러프의 구조 발달 (Structural Evolution of the Northern Okinawa Trough)

  • 선우돈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5호
    • /
    • pp.543-554
    • /
    • 2004
  • 다중 채널 탄성파 반사 자료 및 시추공 자료 분석을 통하여 북부 오키나와트러프의 구조 발달을 연구하였다. 전체적인 구조 발달 형태는 기반암 내부까지 발달한 리스트릭 단층과 리스트릭 단층으로 경계 지워지는 일련의 반지구 구조와 경사진 단층 블록으로 특징 지워진다. 대부분의 반지구 구조와 경사진 단층 블록은 오키나와트러프의 축 방향인 북북동-남남서 방향으로 발달하여 있으며 트랜스퍼 단층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다. 퇴적 시퀀스에 대한 구조 및 층서 분석을 통하여 북부 오키나와트러프의 열개 작용 발달 단계를 연구하였는데 그 결과 열개 작용은 후기 마이오세에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전기 플라이오세 시기에 가장 활발한 것으로 해석된다. 단층 블록과 반지구 구조와 같은 대부분의 열개 구조들은 이 시기에 형성되었다. 후기 플라이오세부터 열개 작용이 약해지는 것으로 보이나 경사진 단층 블록의 경계부에 발달한 리스트릭 단층이 플라이스토세 퇴적층까지 발달한 것을 보면 열개 작용이 최근까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Lithological and Structural Lineament Mapping from Landsat 8 OLI Images in Ras Kammouna Arid Area (Eastern Anti-Atlas, Morocco)

  • Es-Sabbar, Brahim;Essalhi, Mourad;Essalhi, Abdelhafid;Mhamdi, Hicham Si
    • 자원환경지질
    • /
    • 제53권4호
    • /
    • pp.425-440
    • /
    • 2020
  •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M'aider Paleozoic basin in the Moroccan Eastern Anti-Atlas. It is an arid region, characterized by minimal vegetation cover, which can provide an ideal environment to apply remote sensing. In this study, remote sensing and field investigations were integrated for lithological and structural lineaments mapping. The Landsat 8 OLI data were process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ole of lith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s in the distribution of mineral deposits in the study a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Color Composite (CC),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and Band Rationing transformation (BR)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remote sensing techniques coupled with field investigations have shown that the zones of high lineaments densities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occurrences of barite mineralization. These findings depict a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lineaments and the mineralization distribution zones. Therefore, the barite and Iron oxides mineralization veins, which occur mainly in the Ras Kammouna district, seem to have a structural control. The methodological approach used in this study examining lithological mapping and lineament extractions can be used to explore mineral deposits in arid regions to a high degree of efficiency.

수직 중력 변화율 탐사 적용 사례 (A Vertical Gravity Gradient Survey for Shallow Density Mapping)

  • 박영수;임형래;임무택;구성본;이영철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1-166
    • /
    • 2006
  • 수직 중력 변화율 탐사는 중력 탐사에 비하여 분해능과 탐지능이 높고 광역 효과를 억제하는 이점이 있다. 수직 변화율의 실제 측정은 어려움이 많아 정확성과 실용성에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나, 현대적인 중력계로는 요구되는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이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특히, 얕은 깊이의 소규모 구조를 대상으로 하는 토목, 환경 문제에는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수직 중력 변화율 탐사를 천부 고분해 밀도 구조 해석에 적용하기 위하여 수직 중력 변화율에 관한 전반적 고찰과 수치 역산 모델링을 통하여 중력 탐사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전남 무안의 석회암 공동 지역에서 수행한 수직 중력 변화율 탐사를 수행하고 역산, 해석하였다.

  • PDF

Precambrian Geology and Structure of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 Kim, Ok Joon
    • 자원환경지질
    • /
    • 제5권4호
    • /
    • pp.231-239
    • /
    • 1972
  • The central region of South Korea is composed of Precambrian formations and Jurassic Daebo granites and is divided tectonically into three provinces, that is, the Ok chon geosynclinal zone in the middle, the Kyonggi massif on the north and northwest side, and the Ryongnam massif on the south and southeast side. The general trend of the Okchon geosynclinal zone and the distribution of Daebo granites is northeast, the Sinian direction. The Kyonggi massif is composed of Precambrian Y onchon system, Sangwon system, gneisses, and Daebo granites, and the Ryongnam massif also Precambrian Ryongnam and Yulri systems, gneisses, and Daebo granites. Precambrian formations in both areas are of flysch type sediments and may be roughly correlated with each other. These formations except Sangwon and Yulri systems are thought to be early to middle Precambrian age and have acted as basement for the Okchon geosyncline where late Precambrian Okchon system was deposited. The Okchon geosynclinal zone is divided into paleogeosynclinal zone to southwestern parts where the Okchon system is distributed, and neogeosynclinal zone to northeastern parts where nonmetamorphosed Paleozoic sediments are dominantly cropped out. Both zones are separated by upthrust created by Daebo orogeny of Jurassic period, which continues southwesterly to bind the Okchon geosynclinal zone and the Ryongnam massif at southwestern parts bisecting Korea peninsula diagonally. Three periods of structural development are recognized in the area. Folds and faults of preTriassic age prevail in the Kyonggi massif. Many isoclinal folds and thrusts originated by Jurassic Daebo orogeny are aligned in the Okchon paleogeosynclinal zone paralleling to the geosynclinal axis so that same formation appears repeatedly in narrow strips, whereas fold axis in neogeosynclinal zone trerid west-northwesterly which might be of Triassic in age and modified by later Daebo orogeny. Discontinuity of geology and structure of Okchon geosynclinal zone is attributed to shifting of the geosyncline through geologic time.

  • PDF

지각 내 열수 재분배와 금광상 형성의 구조적 제어: 석션 펌프 및 단층 밸브 모델에 대한 리뷰 (Structural Controls on Crustal Fluid Redistribution and Hydrothermal Gold Deposits: A Review on the Suction Pump and Fault Valve Models)

  • 곽유정;박승익;박창윤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2호
    • /
    • pp.183-195
    • /
    • 2022
  • 열수 금광상은 단층대 내에서 일어나는 열수 유체의 폭발적 흐름의 증거이며, 그로 인해 만들어지는 맥의 구조 및 조직은 열수유체 재분배 기작을 반영한다. 본 리뷰 논문에서는 열수 금광상의 형성을 야기하는 지각 내 유체 순환의 기작으로서 석션 펌프와 단층 밸브 모델을 소개하고 단층역학적인 측면에서 검토한다. 석션 펌프와 단층 밸브 모델은 (1) 지구조 응력의 누적과 유체압의 증가, (2) 지진성 단층파열에 따른 지구조 응력의 해소와 유체압의 감소가 주기적으로 발생됨에 따라 단층을 통해 불균질하게 발생하는 유체의 이동 및 맥의 형성 기작이다. 두 기작들이 작동하는 지질학적 환경과 응력 조건은 서로 상이하며, 결과적으로 형성된 맥의 구조 및 조직적 특성은 서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진다. 석션 펌프와 단층 밸브 모델은 향후 한국의 열수 금광상의 구조적 성인을 정교하게 해석하고 추가적인 탐사의 효율성을 제고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경상북도 달성군 논공면 일원에서 발생된 산사태의 원인 (The Study on the Landslide Occurred in the Nongong Area in Dalseong-gun, Kyeongbuk)

  • 황진연;김종열;김재영
    • 지질공학
    • /
    • 제5권3호
    • /
    • pp.249-258
    • /
    • 1995
  • 경북 달성군 논공면 일원에서 발생한 산사태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질구조와 점토광물의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지역의 산사태의 지질구조에 의해 그 규모와 미끄러진 방향이 규제되어 있다. 특히,미끄러진 바닥면은 점토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점토에는 삼팔면체형 버미튜라이트와함께 스멕타이트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 기반암에 발달되어 있는 층리절리계 및 파쇄대 내에 협재된 팽윤성 점토광물의 존재가 산사태의 발생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된다.

  • PDF

직접질화법에 의한(Ti, Al)N계 복합질화물의 합성(I) (Syntheses of(Ti, Al)N Powder by the Direct Nitridation (1))

  • 손용운;이영기;황연;조영수;김석윤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7-196
    • /
    • 1995
  • TiN and AlN are ceramic materials with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r use in structural applications at elevated temperatu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the synthesis of (Ti, Al)N power, which shows simultancously the excellent properties of TiN and AlN, from the mixed powder($Ti_{0.25}Al_{0.75}$, $Ti_{0.5}Al_{0.5}$ and $Ti_{0.75}Al_{0.25}$) by the direct nitriding method. The effects of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mixing ratio of Al to Ti in raw material were investigated. The(Ti, Al)N powder can be easily synthesized from the mixed powder by the direct nitriding method. Among the mixed powdres, the nitriding behavior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Al to Ti. This behavior is well explained by the nitriding mechanism presented in this research.

  • PDF

GIS와 지구통계학을 이용한 충주호 남부지역의 광역적인 사면안정평가 (Regional Evaluation of Slope Stability by Using GIS and Geostatistics Around the Southern Area of Chungju Lake)

  • 문상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33권2호
    • /
    • pp.117-128
    • /
    • 2000
  • Regional evaluations of slope stability by the failure criterion and by environmental geological factors were conducted. The failure criterion is the general conditions for plane failure which consider the geometrical conditions between geological discontinuities and topographical slope planes. The factor focused in this condiction is dip and dip direction. Geostatics, named semivariogram was used for establishing structural domains in slope stability evaluation by the failure criterion. The influential range was calculated to 6 km in the case of dip direction of dominant joint set and 7 km in the case of dip of the same dominant joint set. Then applying this failure criterion to the study area produced a slope stability map using the established domains and slopes generated by TIN module of ARC/INFO GIS. This study considered another regional slope stability analysis. 5 failure-driven factors 9the unstable slope map, geology, engineering soil, groundwater, and lineament density) were selected and used as data coverages for regional slope stability evaluation by geoenvironmental factors. These factors were weighted and overlayed in GIS. From the graph of cumulatave area (%) and instability index, finding critical points classified the instability indices. The most unstable slopes are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of Mt. Eorae, Dabul-ri, and the eastern area of Junkok-ri in the first area is plane failure. Also, the expected orientations of failure are 59/338 and 86/090 (dip/dip dir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