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icture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1초

Modified Book Binding Technique (MBBT) for Intracorporeal Gastroduodenostomy in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Initial Experience

  • Kim, Jin Sung;Park, Eun Young;Park, Dong Jin;Kim, Gyu Yeol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9권3호
    • /
    • pp.355-364
    • /
    • 2019
  •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TLDG) frequently involves the use of delta shaped gastroduodenostomy (DSG) for intracorporeal anastomosis. However, DSG has some drawbacks, and the book binding technique (BBT) was developed as a new technique to overcome these drawbacks. Subsequently, this technique was further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modified book binding technique (MBBT).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and feasibility of MBBT in patients undergoing TLDG. Thirty-three patients who underwent TLDG with MBBT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mean operation time was $277.6{\pm}37.1minutes$, including $51.9{\pm}15.7minutes$ for reconstruction. Two patients had anastomosis-related complications, one patient with stricture after leakage and 1 patient with stenosis. The former patient was treated with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and the latter was managed conservatively; neither required re-operation. MBBT is a safe and feasible technique, with acceptable surgical outcomes. It may be a good alternative option for the treatment of intracorporeal anastomosis in patients undergoing TLDG.

A Case of Primary Pancreatic Lymphoma Presenting with Obstructive Jaundice

  • Ga Young Kim;Min Keun, Kim;Dong Wook Lee;Ho Gak Kim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01-104
    • /
    • 2015
  • A 55-year-old man was admitted to the hospital for jaundice.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showed a diffuse mass in the pancreas and peripancreatic area, with infiltration to of the whole pancreas, and overall reduced enhancement compared to normal pancreas. Esophagogastroduodenoscopy revealed elevated mucosal lesion covered hyperemic mucosa at duodenal bulb and ulcerative lesion at body of stomach. Endoscopic ultrasonography revealed an irregular mass with unclear boundaries was observed within the pancreas. Abrupt narrowing of mid to distal common bile duct was seen and the stricture was caused by compression of pancreatic mass. Plastic stent was inserted and clinical improvement was achieved including resolution of jaundice. The patient is currently being treated with combination of rituximab, cyclophosphamide, doxorubicin, vincristine, and prednisolone. We report a case of primary pancreatic lymphoma presenting with obstructive jaundice.

  • PDF

Intraductal ultrasonography for biliary strictures

  • Young Koog Cheon
    • Clinical Endoscopy
    • /
    • 제56권2호
    • /
    • pp.164-168
    • /
    • 2023
  • When diagnosing the nature of biliary strictures, it is sometimes difficult to perform non-invasive methods such as ultrasound, spiral computed imag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or endoscopic ultrasonography. Thus, treatment decisions are usually based on biopsy results. However, brush cytology or biopsy, which is widely used for biliary stenosis, has limitations owing to its low sensitivit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for malignancy. Currently, the most accurate method is bile duct tissue biopsy under direct cholangioscopy. On the other hand, intraductal ultrasonography administered under the guidance of a guidewire has the advantages of easy administration and being less invasive, allowing for adequate examination of the biliary tract and surrounding organs. This review discusses the usefulness and drawbacks of intraductal ultrasonography for biliary strictures.

상부 위암에서 유문보존 근위부 위아전절제술과 공장간치술을 시행한 위전절제술의 비교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vs. Total Gastrectomy with Jejunal Interposition for Proximal Gastric Adenocarcinomas)

  • 노승무;정현용;이병석;조준식;신경숙;송규상;이태용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3호
    • /
    • pp.145-150
    • /
    • 200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term outcome of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by comparing it with a jejunal interposition after a total gastrectomy in proximal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or 22 patients (12 men and 10 women) who underwent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several clin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993 and December 1999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5 patients (17 men and 8 women) who underwent an isoperistaltic simple jejunal interposition. Results: The average operative time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group (220 minutes) was shorter than that in the jejunal interposition group (243 minutes) (P<0.05). The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group at 2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 body weight ratio (postoperative body weight/preoparative body weight) in patients who had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patients with a jejunal interposition at 2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 jejunal interposition procedure had better outcomes in anastomotic site stricture,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number of removed lymph nodes (P<0.05). Conclusions: We think that from the viewpoint of quality of life,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as well as a jejunal interposition, is a useful reconstruction method for early adenocarcinomas of the proximal stomach. However, stricture of the esophagogastrostomy site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is a common problem to be solved in the future.

  • PDF

양성 식도질환의 외과적 요법 (Surgical treatment of benign esophageal disease)

  • 김응중;김용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7권4호
    • /
    • pp.762-774
    • /
    • 1984
  • A clin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49 cases of the benign esophageal diseases experienced at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uring 7 year period from 1977 to 1983. Of 49 cases Of the benign esophageal diseases, there were 19 patients of esophageal stricture, 11 of achalasia, 6 of perforation, 3 of bronchoesophageal fistula, 3 of esophageal perforation, 3 of esophageal leiomyoma and one of esophageal foreign body. Twenty three patients were male and 26 were female. Ages ranged from 4 years to 74 years with the average age of 34.7 years. Of 19 patients of esophageal strictures, 7 patients were male and 12 were female and ages ranged from 6 years to 74 years with the average being 33.8 years. Causes of esophageal strictures were corrosive of esophageal strictures were dysphagia, vomiting, general weakness, weight loss and pain that order and developed on several different parts of esophagus. Operations were performed in 18 cases, of whom 7 patients were performed by esophagocologastrostomy, 4 gastrostomy, 4 esophagogastrostomy, 1 esophageal resection and esophagoesophagostomy, 1 esophagotomy and dilatation and 1 scar revision. Five patients had one or two complications; 2 anastomotic leakage, 1 wound infection, 1 localized empyema, 1 bilateral pneumothorax and 1 respiratory failure. One patient expired due to respiratory failure arising from aspiration pneumonia. The average age of achalasia patients was 33.1 years and symptom durations were from 2 months to 10 years with the average of 3.3 years. Main symptoms were dysphagia, vomiting, weight loss, pain and cough in that order. Modified Hellers myotomy was performed in 11 patients with one complication of restenosis. One patient was operated on by using longitudinal incision and transverse sutures with good result. Of 6 patient of esophageal diverticulum, 2 patients were traction diverticulum on the midesophagus, 2 were pulsion diverticulum on the midesophagus and 2 were pulsion diverticulum on the lower esophagus. Diverticulectomy was performed on 2 cases of traction diverticulum and esophagocardiomyotomy with or without diverticulectomy was erformed on 4 cases of pulsion diverticulum with good results. Of 5 patients of congenital bronchoesophageal fistula, the chief complaints were productive cough in 4 patients and hematemesis without respiratory symptoms in one patient. Two patients were operated on by using fistulectomy only and 3 by fistulectomy with pulmonary lobectomy. Of 3 patients of esophageal perforation, causes were foreign body ingestion, esophageal stricture after ECG and corrosive esophagitis. Two patient were operated on by using drainage and gastrostomy with symptomatic improvement but one patient died due to septic shock after thoracotomy. Three patients of esophageal leiomyoma were all male and 2 patients were operated on by using enucleation and one by distal esophagectomy with esophagogastrostomy. In one patient of esophageal foreign body, it was removed by esophagotomy through the right thoracotomy.

  • PDF

부식성 식도협착에 대한 식도 재건술(II) (Reconstructive Surgery for Caustic Esophageal Stricture (II))

  • 정승혁;강경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20-426
    • /
    • 1996
  • 본원 흉부외과에서는 1959년부터 1982년까지 24년간 부식성 식도헙 착증에 대한 344 수술례를 보고한 바 있으며,저자등은 1983년 1월부터 1995년 2월까지 69례의 부식성 식도협착증환자에서 결장을이용 한 식도재건술을 시 행하였다. 이중 냠자는 32명, 여자는 37명이 었으며 연령은 4세에서 65세까지 분포하 였으며 평균 연령은 36.4세 였다. 부식제의 종류로는 산성이 37례 (53.7%), 알칼리성 이 31례 (44.9%)였다. 3례 34.3%)에서 암이 합병하여 개홍술을 통한 식도절제술을 동시에 실시하였고 나머지 66례 에서는 식도 절제술을 시 행하지 않고 흥골하 식도 결장 위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64례에서 말단 회장부를 포함한 우 측결장을 순연동운동 방향으로 연결하였고 5례 에서 좌측결장을 이 용하였고 이중 2례는 순연동식, 3례 는 역 연동식으로 연결하였다. 문합부 누출이 가장 흔한 합병증(10례, 14.4%)이 었고 이중 8례 (11.6%)가 경부, 2례 (2.9%)가 회장-결장 문합부에서 있었다 수술 사망율은 2.9% (2례)였고, 사망원인은 패혈증과 종격동염이었다. 생존한 67명에 대하여 6개월에서 12년(평균2.5년)에 걸친 추적 결과 88.1%(59례)에서 정상 식 이가 가능 臼눗\ulcorner7.5% (5례)에서 중등도의 연하 곤란을 보였으며 4.5% (3례)는 입을 통한 식 이 섭 취가 불가능하였다. 결장을 이용한 식도 재건술은 이환율과 사망율이 적정한 만족스러운 술식이며 우 측결장은 지속적이고 기능적 인 대용식도이다.

  • PDF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에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in Children with Congenital and Acquired Esophageal Anomalies)

  • 곽주영;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37-142
    • /
    • 2005
  • 목 적: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에 있어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의 안전성, 효과 그리고 기술적인 문제들을 평가하였다. 방 법: 1993년부터 10년 동안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로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을 시행한 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술은 풍선 카테터를 내시경 겸자구를 통해 삽입하여 내시경 직시 하에서 시행되었으며 최초로 사용되는 풍선의 크기는 식도의 내경과 협착 부위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하였다. 협착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먼저 유도 철선을 통과시킨 후, 유도 철선을 따라 풍선 카테터를 삽입시켰다. 풍선을 협착 부위에 위치시키고 서서히 확장하면서 목표하는 크기로 풍선이 팽창되면 1분 동안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감압하여 1분 이상의 휴식을 가졌다. 확장 후 합병증이 없으면 풍선의 직경을 1 mm 간격으로 늘리면서 추가 확장하였다. 결 과: 남아가 3명, 여아가 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2세였다. 8명의 환자에서 27회(환자 당 평균 3.2회)의 확장이 시행되었다. 기저 질환의 종류는 선천 성 식도 폐쇄에 대한 수술 후 발생한 식도 협착이 3예, 식도윤이 2예, 그 외 식도 무이완증, 빙초산에의한 부식성 식도염 그리고 고압성 식도 하부 괄약근이 각각 1예였다. 6~15 mm 직경의 풍선을 사용하였고, 최초 풍선의 크기는 협착의 형태와 정도에 따라 결정되었다. 합병증으로는 식도 천공과 심한 호흡 곤란이 각각 1예 있었다. 6예(75%)에서 시술 후 정상적인 음식 섭취를 보였다. 결 론: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은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 PDF

척추 손상 환자에서 고환 종물로 오인된 거대 요도 결석과 요도루 (Giant Urethral Stone Presenting as a Scrotal Mass and Urethral Fistula)

  • 박승철;이재환;최정우;황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08-212
    • /
    • 2017
  • 요도 결석은 매우 드믄 질환으로 보고된 증례가 많지 않으며, 대부분 요도 협착이나 요도 게실이 있는 남성에게서 대게 발생한다. 이에 우리는 20년 전 자동차 사고로 인한 척수 손상 후 하반신 마비가 발생한 42세 남성에서 발견된 거대 요로 결석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낮 동안에 다원적 증상을 가지고 있고, 고환 밑으로 종물이 만져지며 혈뇨 및 배뇨시 발생하는 통증을 보이면서 최근에는 소변이 전혀 나오지 않는 증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비뇨기과 협진이 의뢰되었다. 고환 종물의 성상을 확인하기 위해 복부와 골반 컴퓨터 단층 촬영(CT)이 시행되었다. 검사 결과 종양은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요도 결석이 확인되었다. 우선적으로 요도성형술을 시행하여 방광루를 제거하였으며, 이후 요로 결석은 제거되었다. 2주 후에 요도조형술을 시행하였고 특이사항이 없음을 확인 후 소변줄을 제거하였다. 현재는 배뇨에 대한 특별한 문제는 없는 상태이다. 거대 요도 결석은 때때로 종양과 감별이 필요하며, 크기와 위치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어 좀 더 면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쥐 대장에서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하는 조직 과증식 모델 형성을 위한 연구 (A Mouse Colon Model to Investigate Stent-Induced Tissue Hyperplasia)

  • 김민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39-445
    • /
    • 2020
  • 본 연구는 쥐 대장 모델에서 자가팽창형 금속형 스텐트 삽입을 통한 삽입술의 유용성과 조직 과증식을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C57BL/6 쥐 대장의 직경을 확인하기 위해 1마리의 대장 투시조영 사전 실험을 실행하였다. 평균 직경은 4.05 mm였다. C57BL/6 쥐들은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스텐트의 직경을 비교 평가하였다. A 군은 직경이 5 mm, B군은 4mm 였다. 추적관찰 검사는 매주 투시를 통해 스텐트 삽입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였다. 4주 후 내시경적 검사를 시행하고 희생하여 육안적 관찰 및 H&E 염색을 통해 조직 과증식을 평가하였다. 스텐트 삽입술은 시술 중 천공이 일어난 1마리를 제외하고 모든 쥐에서는 성공적으로 삽입되었다. 해당 데이터는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추적관찰 실험 기간에 A군에 속한 5마리의 쥐는 스텐트 삽입 후 7일 이내에 천공에 의해 사망하였다. B군의 1마리의 쥐는 곧창자로 스텐트의 이동이 발생하였다. A, B 군에서의 합병증은 각각 60%, 10%로 나타났다. 육안적 내시경적 결과에서는 모든 군에서 스텐트 와이어사이로 전체적인 조직 과증식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조직병리에서의 결과 또한 두 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조직 과증식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장 스텐트의 삽입술은 기술적으로 유용하게 삽입이 가능했으며, 스텐트에 의한 조직 과증식이 쥐 모델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텐트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쥐 대장내 천공이 많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식성 하인두 협착시 식도재건술 (Esophageal Reconstruction for Hypopharyngeal Stricture After Severe Corrosive Injury)

  • 변정욱;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48-54
    • /
    • 1997
  • 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백병 원에서는 1986년 10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부식제 의 음용으로 하인두와 식도 입구부터 심한 협착이 발생한 1 1례의 환자에서 하인두의 양배꼴동에 대용식 도를 문합하는 식도재건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 7례, 여자 4례로 모두가 성인으로 연령은 21세 에서 47세까지로 평균 34세였다. 식도협착의 원인이 된 부식제는 산성이 6례: 알칼리성이 5례였다. 이들의 부식제 음용 동기는 자살 목적이 9례였 고, 사고로 인한 경우가 2례였다. 부식제의 음용후 최종적으로 식도재건술까지의 기간은 4개월에서 부 터 21년까지 였다. 식도재 건술시 이용한 대용식도는 9례에서는 우측 결장을 사용하였고, 2례는 이 전에 우측 결장을 이용한 식도재건술이 실패한 상태여서 좌측 결장을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식도 절제술은 하지 않았고 결장은 흉골하로 거상하였다. 경부 문합은 환자의 머리를 똑바로 놓은 상태에서 경부에 J형태로 피부를 절개하고 흉골설골, 갑상설 골근을 절단하고 갑상연골의 연골막을 박리하여 감상연골을 역삼각형모양으로 부분절제하고 양배꼴동을 열고 결장과 단단문합하였다. 수술 직후 類觀隙\ulcorner환자는 음식물을 삼킬 때 연하곤란과 기도내로 음식물이 넘어가 고형 음식물로 삼키는 훈련이 필요하였다.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은 대용식도의 괴사가 3례가 발생하여 유리공장을 이식하였다. 3례에서는 경부 문합부위에 협착이 있어 2례에서 상부문합부위를 확장하였고 1례에서는 유착띠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모두 협착이 해소되었다. 수술 후 외래 추적관찰에서 10례에서는 정상적으 로 음식물을 삼킬 수 있었고 유리공장을 사용하여 2차수술을 시행한 1례는 유리공장의 괴사로 3차수술 을 기다리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