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icture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2초

부식성 식도협착에 대한 식도 재건술(II) (Reconstructive Surgery for Caustic Esophageal Stricture (II))

  • 정승혁;강경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4호
    • /
    • pp.420-426
    • /
    • 1996
  • 본원 흉부외과에서는 1959년부터 1982년까지 24년간 부식성 식도헙 착증에 대한 344 수술례를 보고한 바 있으며,저자등은 1983년 1월부터 1995년 2월까지 69례의 부식성 식도협착증환자에서 결장을이용 한 식도재건술을 시 행하였다. 이중 냠자는 32명, 여자는 37명이 었으며 연령은 4세에서 65세까지 분포하 였으며 평균 연령은 36.4세 였다. 부식제의 종류로는 산성이 37례 (53.7%), 알칼리성 이 31례 (44.9%)였다. 3례 34.3%)에서 암이 합병하여 개홍술을 통한 식도절제술을 동시에 실시하였고 나머지 66례 에서는 식도 절제술을 시 행하지 않고 흥골하 식도 결장 위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64례에서 말단 회장부를 포함한 우 측결장을 순연동운동 방향으로 연결하였고 5례 에서 좌측결장을 이 용하였고 이중 2례는 순연동식, 3례 는 역 연동식으로 연결하였다. 문합부 누출이 가장 흔한 합병증(10례, 14.4%)이 었고 이중 8례 (11.6%)가 경부, 2례 (2.9%)가 회장-결장 문합부에서 있었다 수술 사망율은 2.9% (2례)였고, 사망원인은 패혈증과 종격동염이었다. 생존한 67명에 대하여 6개월에서 12년(평균2.5년)에 걸친 추적 결과 88.1%(59례)에서 정상 식 이가 가능 臼눗\ulcorner7.5% (5례)에서 중등도의 연하 곤란을 보였으며 4.5% (3례)는 입을 통한 식 이 섭 취가 불가능하였다. 결장을 이용한 식도 재건술은 이환율과 사망율이 적정한 만족스러운 술식이며 우 측결장은 지속적이고 기능적 인 대용식도이다.

  • PDF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에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in Children with Congenital and Acquired Esophageal Anomalies)

  • 곽주영;박재홍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8권2호
    • /
    • pp.137-142
    • /
    • 2005
  • 목 적: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에 있어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의 안전성, 효과 그리고 기술적인 문제들을 평가하였다. 방 법: 1993년부터 10년 동안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의 치료로 부산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을 시행한 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시술은 풍선 카테터를 내시경 겸자구를 통해 삽입하여 내시경 직시 하에서 시행되었으며 최초로 사용되는 풍선의 크기는 식도의 내경과 협착 부위의 직경에 기초하여 결정하였다. 협착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먼저 유도 철선을 통과시킨 후, 유도 철선을 따라 풍선 카테터를 삽입시켰다. 풍선을 협착 부위에 위치시키고 서서히 확장하면서 목표하는 크기로 풍선이 팽창되면 1분 동안 확장된 상태를 유지하였다가 감압하여 1분 이상의 휴식을 가졌다. 확장 후 합병증이 없으면 풍선의 직경을 1 mm 간격으로 늘리면서 추가 확장하였다. 결 과: 남아가 3명, 여아가 5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4.2세였다. 8명의 환자에서 27회(환자 당 평균 3.2회)의 확장이 시행되었다. 기저 질환의 종류는 선천 성 식도 폐쇄에 대한 수술 후 발생한 식도 협착이 3예, 식도윤이 2예, 그 외 식도 무이완증, 빙초산에의한 부식성 식도염 그리고 고압성 식도 하부 괄약근이 각각 1예였다. 6~15 mm 직경의 풍선을 사용하였고, 최초 풍선의 크기는 협착의 형태와 정도에 따라 결정되었다. 합병증으로는 식도 천공과 심한 호흡 곤란이 각각 1예 있었다. 6예(75%)에서 시술 후 정상적인 음식 섭취를 보였다. 결 론: 내시경적 풍선 확장술은 소아의 선천성 및 후천성 식도 질환을 치료하는데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 PDF

척추 손상 환자에서 고환 종물로 오인된 거대 요도 결석과 요도루 (Giant Urethral Stone Presenting as a Scrotal Mass and Urethral Fistula)

  • 박승철;이재환;최정우;황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08-212
    • /
    • 2017
  • 요도 결석은 매우 드믄 질환으로 보고된 증례가 많지 않으며, 대부분 요도 협착이나 요도 게실이 있는 남성에게서 대게 발생한다. 이에 우리는 20년 전 자동차 사고로 인한 척수 손상 후 하반신 마비가 발생한 42세 남성에서 발견된 거대 요로 결석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낮 동안에 다원적 증상을 가지고 있고, 고환 밑으로 종물이 만져지며 혈뇨 및 배뇨시 발생하는 통증을 보이면서 최근에는 소변이 전혀 나오지 않는 증상으로 응급실에 내원하여 비뇨기과 협진이 의뢰되었다. 고환 종물의 성상을 확인하기 위해 복부와 골반 컴퓨터 단층 촬영(CT)이 시행되었다. 검사 결과 종양은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요도 결석이 확인되었다. 우선적으로 요도성형술을 시행하여 방광루를 제거하였으며, 이후 요로 결석은 제거되었다. 2주 후에 요도조형술을 시행하였고 특이사항이 없음을 확인 후 소변줄을 제거하였다. 현재는 배뇨에 대한 특별한 문제는 없는 상태이다. 거대 요도 결석은 때때로 종양과 감별이 필요하며, 크기와 위치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질 수 있어 좀 더 면밀한 검사가 필요하다.

쥐 대장에서 스텐트 삽입 후 발생하는 조직 과증식 모델 형성을 위한 연구 (A Mouse Colon Model to Investigate Stent-Induced Tissue Hyperplasia)

  • 김민태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39-445
    • /
    • 2020
  • 본 연구는 쥐 대장 모델에서 자가팽창형 금속형 스텐트 삽입을 통한 삽입술의 유용성과 조직 과증식을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C57BL/6 쥐 대장의 직경을 확인하기 위해 1마리의 대장 투시조영 사전 실험을 실행하였다. 평균 직경은 4.05 mm였다. C57BL/6 쥐들은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스텐트의 직경을 비교 평가하였다. A 군은 직경이 5 mm, B군은 4mm 였다. 추적관찰 검사는 매주 투시를 통해 스텐트 삽입의 이상 유무를 평가하였다. 4주 후 내시경적 검사를 시행하고 희생하여 육안적 관찰 및 H&E 염색을 통해 조직 과증식을 평가하였다. 스텐트 삽입술은 시술 중 천공이 일어난 1마리를 제외하고 모든 쥐에서는 성공적으로 삽입되었다. 해당 데이터는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추적관찰 실험 기간에 A군에 속한 5마리의 쥐는 스텐트 삽입 후 7일 이내에 천공에 의해 사망하였다. B군의 1마리의 쥐는 곧창자로 스텐트의 이동이 발생하였다. A, B 군에서의 합병증은 각각 60%, 10%로 나타났다. 육안적 내시경적 결과에서는 모든 군에서 스텐트 와이어사이로 전체적인 조직 과증식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조직병리에서의 결과 또한 두 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조직 과증식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장 스텐트의 삽입술은 기술적으로 유용하게 삽입이 가능했으며, 스텐트에 의한 조직 과증식이 쥐 모델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텐트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쥐 대장내 천공이 많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식성 하인두 협착시 식도재건술 (Esophageal Reconstruction for Hypopharyngeal Stricture After Severe Corrosive Injury)

  • 변정욱;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48-54
    • /
    • 1997
  • 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백병 원에서는 1986년 10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부식제 의 음용으로 하인두와 식도 입구부터 심한 협착이 발생한 1 1례의 환자에서 하인두의 양배꼴동에 대용식 도를 문합하는 식도재건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 7례, 여자 4례로 모두가 성인으로 연령은 21세 에서 47세까지로 평균 34세였다. 식도협착의 원인이 된 부식제는 산성이 6례: 알칼리성이 5례였다. 이들의 부식제 음용 동기는 자살 목적이 9례였 고, 사고로 인한 경우가 2례였다. 부식제의 음용후 최종적으로 식도재건술까지의 기간은 4개월에서 부 터 21년까지 였다. 식도재 건술시 이용한 대용식도는 9례에서는 우측 결장을 사용하였고, 2례는 이 전에 우측 결장을 이용한 식도재건술이 실패한 상태여서 좌측 결장을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식도 절제술은 하지 않았고 결장은 흉골하로 거상하였다. 경부 문합은 환자의 머리를 똑바로 놓은 상태에서 경부에 J형태로 피부를 절개하고 흉골설골, 갑상설 골근을 절단하고 갑상연골의 연골막을 박리하여 감상연골을 역삼각형모양으로 부분절제하고 양배꼴동을 열고 결장과 단단문합하였다. 수술 직후 類觀隙\ulcorner환자는 음식물을 삼킬 때 연하곤란과 기도내로 음식물이 넘어가 고형 음식물로 삼키는 훈련이 필요하였다.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은 대용식도의 괴사가 3례가 발생하여 유리공장을 이식하였다. 3례에서는 경부 문합부위에 협착이 있어 2례에서 상부문합부위를 확장하였고 1례에서는 유착띠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모두 협착이 해소되었다. 수술 후 외래 추적관찰에서 10례에서는 정상적으 로 음식물을 삼킬 수 있었고 유리공장을 사용하여 2차수술을 시행한 1례는 유리공장의 괴사로 3차수술 을 기다리고 있다.

  • PDF

식도천공 및 후천성 식도기관(지)루 (Esophageal Perforation and Acquired Esophagorespiratory Fistula)

  • 유회성;이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권1호
    • /
    • pp.45-56
    • /
    • 1972
  • Esophageal perforation is one of the most grave prognostic problems among thoracic and general surgical emergencies which necessitate urgent operative measures. In Korea,there are still many persons ingesting lye for suicidal attempt and thoracic surgeons in Korea have more chances to deal with lye burned esophagus with or without instrumental perforation than those in Western countries. Main cause of esophageal perforation in Korea is instrumental perforation in patients with lye stricture of the esophagus during diagnostic endoscopy or therapeutic bouginage. Other causes are corrosion of the esophagus due to ingestion of caustic agents, pathologic perforation, surgical trauma, stab wound and spontaneous rupture of the esophagus in our series. Therapeutic measures are various,and depend on duration of perforation, severity of its complications, pathology of perforated portion of the esophagus and degrees of inflammation at the point of perforation. The most important therapeutic measures are prevention of this grave condition during esophagoscopy, bouginage and surgical procedures on lungs and mediastinal structures and to make early diagnosis with prompt therapeutic measures.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1959, to December, 1971, the authors experienced 65 cases ofesophageal perforation including acquired esophagorespiratory fistula at Dept. of Chest Surgery, the National Medical Center in Seoul, and obtained following results in the series. 1. Female were 35 cases, and peak age incidence was 2nd and 3rd decades of life. 2. Among 65 cases, 43 were corrosive esophagitis or benign stricture of the esophagus due to caustic agents, 7 were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and there were 5 cases of esophageal perforation developed after pneumonectomy or pleuropneumonectomy. 3. Causes of perforation are instrumental perforation in 45, acute corrosion in 7, pathologic perforation in 7, surgical trauma in 3, stab wound in 2 cases, and one spontaneous rupture of the esophagus. 4. Most frequent sites of esophageal perforation were upper and mid thoracic esophagus, and 8 were cases with cervical esophageal perforation. 5. Complications of esophageal perforation were mediastinitis in 42, empyema or pneumothorax in 35, esophagorespiratory fistula in 12, retroperitoneal fistula or abscess in 5,pneumoperitoneum in 3, and localized peritonitis in 1 case. 6. Cases with malignant esophagorespiratory fistula were only 3 in the series which is predominant cause of acquired esophagorespiratory fistula in Western countries. 7. Various therapeutic measures were applied with mortality rate of 27.7% in the series. 8. In usual cases early treatment gave better prognosis, and least mortality rate in cases with perforation in mid thoracic esophagus. 9. Main causes of death were respiratory complications,acute hemorrhage with asphyxia, and septic complications. 10. Esophageal perforation developed after pneumonectomy gave more difficult therapeutic problems which were solved in only 1 among 5 cases.

  • PDF

식도 재건술 시 흉강경용기계문합기을 이용한 경부식-장문합술 (Cervical Esophago-Enteric Anastomosis with Straight Endostapler)

  • 김일현;김광택;박성민;이승렬;백만종;선경;김형묵;이인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0호
    • /
    • pp.924-929
    • /
    • 1999
  • Background: The use of the stapler n esophageal reconstruction after esophageal resection for benign or malignant esophageal diseases has become popular because it has less leakage at the anastomotic site and shorter operation time than manual sutures. However, the use of classic circular stapler has some complications such as stenosis and dysphagia that requires additional treatment. Such complicatio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nastomotic sites. In this study, the diameter of anastomotic site was compared after the use of circular stapler(EEA) and straight endoscopic stapler(endo GIA). Material and Method: The patients who received esophageal reconstruction by stapler from August 1995 to September 1997 were reviewe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ne group need the circular stapler, and the other group the straight endo GIA(14 cases with endo GIA 30mm, 24 with endo GIA 45mm). After a cervical esophago-enteric anastomosis, the stricture of anastomotic site and the incidence of dysphagia were compared between the 2 groups using an esophagography and the patient's symptoms. The follow-up period was 12months in average. Result: In the former group in which the circular stapler was used, 2 cases of anastomotic stenosis were reported. In comparison, none were reported in the latter group. Dysphagia were reported in 8 cases of the former group, and in 3 cases of the latter group(1 case in endo GIA 30 mm, 2 cases in endo GIA 45 mm). Conclusion: The use of endo GIA in esophago-enteric anastomosis resulted in a wider diameter of the anastomotic site, lesser stricture, and lesser incidence of dysphagia compared to the use of former circular stapler.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a better method in esophageal reconstructions.

  • PDF

췌담관질환에서 담관 솔질세포검사의 유용성 - 통상도말과 $MonoPrep2^{TM}$ 액상세포검사의 전향적 비교연구 - (Utility of Bile Duct Brush Cytology in Pancreaticobiliary Diseases - Prospective Comparative Study of Conventional Smear and $MonoPrep2^{TM}$ Liquid Based Cytology -)

  • 이동화;김미선;조영덕;천영국;최민성;김동원;진소영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8-45
    • /
    • 2006
  • Bile duct brush cytology has been employed as a diagnostic tool for the evaluation of pancreatic and biliary tract strictures. The specificity of this method is high however, its sensitivity is quite low. A recent study employing liquid based cytology (LBC) reported results comparable to those achieved via conventional cytology. Therefore, we have attempted to prospectively evaluate the diagnostic utility of bile duct brush cytology in pancreaticobiliary diseases. A total of 46 cases with bile duct stricture were enrolled including 11 cases of benign stricture, 29 cases of bile duct carcinoma, 3 cases of gallbladder cancer, and 3 cases of pancreatic cancer. Both conventional smear and LBC using $MonoPrep2^{TM}$ system were conducted in each case. The cytological diagnosis of each case was class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benign, suspicious for malignancy, and malignancy. The diagnostic accuracy of both cytologic methods was investigated. LBC evidenced a high rate of material insufficiency (13/46), which was attributed to low cellularity. The kappa index of both cytological methods was 0.508. Cytological and tissue diagnoses were correlated in 25 cases conducted from biopsy or operation. The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41.2% (7/17), 100% (8/8), 100% (7/7), and 44.4% (10/18) in conventional smear; 58.8% (10/17), 87.5% (7/8), 90.9% (10/11), and 50.0% (7/14) in LBC; and 94.1% (16/17), 87.5% (7/8), 94.1% (16/17), and 87.5% (7/8) in any one of both cytological methods,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ensitivity of LBC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at of conventional smear and we were able to obtain higher positive predictive value upto 94.1% by simultaneously conducting both cytologic methods.

하인두암에서 후두인두 및 경부 식도 전 적출술 후 유리 공장 이식술의 합병증에 대한 후향적 분석 (Retrograde Analysis of Complications of Jejunal Free Flap after Total Pharyngo-Laryngo-Cervical Esophagectomy in Advanced Hypopharyngeal Cancer Treatment)

  • 민현진;현동우;김영호;최은창;김광문;김세헌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3-46
    • /
    • 2008
  • 진행된 하인두암의 수술 후 시행한 유리 공장 이식술을 시행한 본원의 경험에서 수술 후 누공 형성, 수술 부위 협착 등의 다양한 합병증과 그 치료방법을 경험하였다. 수술 방법에 있어서 한 개의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였고 이식한 혈관의 혈전에 의한 이식 실패는 없었다. 수술 후 연하 기능에 있어서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이식 부위 협착이 었으며 협착의 치료 결과에 따라 술 후 연하 기능의 회복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관내 부목을 이용한 정관복원술 : Permanent Silicone Stent의 효용가치 (Effectiveness of Permanent Silicone Stent-Assisted Vasovasostomy)

  • 김태형;김세철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3권1호
    • /
    • pp.67-71
    • /
    • 1996
  • During a 2-year period microsurgical vasovasostomies using permanent silicone stent(c-shaped stent with 0.6mm slit, 5mm in length, 0.8mm in outer diameter, 0.5mm in inner diameter) were performed in 30 patients for vasectomy revesal. The stent-assisted vasovasostomy(SVV) was intended to decrease the technical demand, the time requirement and the occurrence of reobstruction due to postoperative strict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ermanent silicone stent for vasovasostomy was compared with that of microsurgical two-layered vasovasostomy(VV). Sperms were present in all the ejaculates of the 25 men on semen analysis 1-2 months after SVV. Pregnancy occurred in 10 of 22 couples(45.5%) during 2-24 months of follow-up and it took 4-10 months(average 7.2 months) to get pregnant. Average operation time for the VV was 150 minutes and that for the SVV 125 minutes. Among 12 men who had sperms in the ejaculates 1-2 months after SVV, 4 revealed azoospermia 3-17 months postoperatively. Among the 4 patients with postoperative azoospermia, 2 underwent reoperation. On histopathologic examination, previously anastomsed sites showed obliterated lumen of the stent and strictures of vas proximal and/or distal to the stents due to granulation tissues. In conclusion, the SVV was not more efficacious in terms of patency and pregnancy rate than the VV.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