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et furniture desig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2초

스트리트 퍼니처(Street Furniture)의 심미성요소와 선호도에 관한 연구 - 휴게공간과 관련된 시설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esthetics Factor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 Focused on Resting Places and Their Related Facilities -)

  • 형성은;홍정표;양종열;이상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15-24
    • /
    • 2001
  • 환경 미학은 장대한 자연의 미와 도시경관의미 전체영역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도시경관은 '도시의 보기 좋은 경치' 또는 '미관'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도시경관의 새로운 계획 패러다임으로 미의 문제를 상정하고 이를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환경미학이란 도시경관의 새로운 계획을 모색하는 것으로 도시경관의 미적 가치와 내용을 살피고 도시경관의 미적 경험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미학적 맥락인 심미성의 평가는 도시시설물인 스트리트퍼니처(street furniture)의 조형미인 디자인요소를 추출하는 것으로 도시환경 디자인에 있어 새로운 의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공디자인의 가로시설물에 대한 해외 사례의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Overseas Case in Street Furnitures of Public Design)

  • 조원석;김흥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1-1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investigation of overseas case in Street Furnitures of Public Design. Thus this research regions select among the waterfront cities; Tokyo/Yokohama(Japan), Nies/Cannes(France), Shanghai(China), Vancouver(Canada), in addition to the city of art and romance; Paris.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study concept of public design and definition of street furnitures.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forenamed cities and the items of street furnitures are various installments such as kiosk, bench, bollard, litter-bin, sign board, toilet, bus/taxi station, fence, shelter, lighting column, fountain, telephone-booth, clock-tower, automaton, bicycle stand, playing object etc. In this study street spaces are analysed that is related to regional surroundings and pedestrian's culture. Consequently, design trend of street furniture in foreign case analysis are going into thoroughly modern image as well as checking of form, color, material and maintenance system. According to the above findings, this paper will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of the street furniture and improving of public design to the regional citizen,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regional experts.

  • PDF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국·내외 가로시설물 개발 유형 분석 (Analysis of Development Situation of Korean and Foreign Street Furnitures Using Alternative Energy)

  • 김자경;박형진
    • KIEAE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33-44
    • /
    • 2010
  • These days, the use of alternative energy is recognized as one of countermeasures to rising oil prices and climate-change agreements. Especially, it is regarded as a main element to realize 'Low-Carbon Green Growth', one of the key policies of MB government. However, though alternative energy, renewable energy, is a main policy issue of the present administration, there are many problems to solve: the lack of recognition of its energy, the low level of its technology, its expert's shortage, and its limited application fields. Therefore, to stimulate the use of alternative energy in Korea and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this energy, it is needed to utilize it to urban street furniture that many people visit and use. In particular, if alternative energy is first applied to street furniture that needs energy for its management, the effect of publicity and energy saving will be so great. In this study, for the basic research to introduce and promote various alternative energy sources such as solar power, wind power, small hydro power, and human power, we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development of Korean and foreign street furniture items. Furthermore, we evaluated the level of development of these street furniture products and the design types of them and from these evaluations suggested the design direction that can solve problems in development and improv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these energy sources to these street furniture items. Through these analyses,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image of future environment-friendly city and make new index for the application of alternative energy.

코리아 이미지를 이용한 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 (Design improvement study of street furniture using the KOREA image)

  • 김도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31-40
    • /
    • 2006
  • 오랜 동안 우리는 한국의 이미지를 연상할 때'고요한 아침의나라'라는 정적인 이미지에 익숙해 왔다. 하지만 88서울올림픽과 2002 한 일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로 국제사회에 비추어진 우리의 모습은 매우 역동적이었으며 우리나라를 새롭게 인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로 인해 한국을 찾는 외국인들로부터 한국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향상되고 있다. 또 최근 아시아 지역에 한류열풍이 불어 닥치면서 우리나라 문화산업의 중요성과 새로운 문화 개발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대 변화에 따른 한국의 정체성을 제고하고, 역동적인 코리아 이미지의 상징성을 환경시설물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서, 한국의 상징성을 표현하고 특성 있는 거리로 새롭게 인식될 수 있는 가로를 조성하여 이용자들로 하여금 국가의 상징성을 인식시키고자한다. 그리고 한국의 조형요소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디자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코리아 이미지를 이용한 환경시설물 디자인이 단지 환경시설물로서의 쓰임새가 아닌, 한국 정체성의 의미언어로서 새로운 역할을 하고, 특성화된 국가문화와 국가이미지 향상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코리아 이미지를 이용한 환경시설물 디자인 개발 연구의 방법으로는 한국의 국가이미지 변화에 관한 선행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의 대외적 국가이미지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한국의 변화된 국가이미지의 상징성을 파악하고 디자인 요소를 추출한다. 추출된 한국의 국가이미지와 한국의 전통적 조형요소를 접목한 환경시설물의 형태, 재질, 색채 이미지를 유추한다. 유추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따라 환경시설물에 적용하여 국가이미지의 상징적 이미지를 형상화한다. 코리아 이미지를 이용한 형상화 연구는 한국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하며,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요소에 의한 사용자의 행태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한국의 문화적 가치향상에도 많은 영향을 주리라 본다.

  • PDF

한시적 스트리트 퍼니처의 사례와 특성에 관한 연구 - 공사장 가설울타리와 가림막을 대상으로 - (Research on Characteristics and Actual Cases of Temporary Street Furniture -Focused on the Tentative Construction and Screen Fences at Construction Sites-)

  • 배현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1-30
    • /
    • 2009
  •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temporary street furniture, which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comprise the street landscape in modem citi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guidance on direction of planning by examining the design and installation types of construction and screen fences usually established at construction sites for buildings, roads, parks and et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construction and screen fences at construction sites of urban areas used to be a mere tentative facility to prevent noise and safety accidents but have now incremented their roles to serve not only as a functional but also as an aesthetic element with a city view and harmonization with other element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particular, it is noticeable that, based on its unique feature of tentativeness, its role has developed to serve as street furniture that adds variability to the modem city. 2.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screen fences: blackout type and transparent type. The transparent screen turns out to be used a lot at the construction site of building a skyscraper or differentiated building in downtown city area or in places where there are buildings of similar types and shapes located along the street in the vicinity of the construction site. 3. The actual cases of adopting the tentative construction and screen fences all at the same time as a single unit have been found in historically and culturally significant architectures with the screen design used to demonstrate the view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e.

  • PDF

심미성이 Street Fernuture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휴식공간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esthetic Elements on Street Furniture (on Recess Space))

  • 형성은;양종열;홍정표;김태호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0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8-49
    • /
    • 2000
  • 인류는 현재의 인위적인 환경의 탈피와 문명의 진화를 추구하는 동시에 자연환경의 복귀를 지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반된 환경 속에서도 인공환경은 자연환경을 압도하고 있다. 이것을 학문적 영역인 심리학적 측면에서 볼 때 인간과 자연은 정신 선험적인 관계를 갖고 있어서 자연의 부재는 인간에게 정신적인 불안감을 생기게 한다. (중략)

  • PDF

재사용 및 재활용에 적합한 환경가구디자인에 관한 연구 - 마네킹(Maneking)을 이용한 스트리트 퍼니처(Street Furniture) 디자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ycle and Reuse Suitability Environmenttal Furniture Design - Design Of Street Furniture with Maneking -)

  • 이민호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47-54
    • /
    • 2006
  • This study focused on designing environment-friendly furnitures by recycling useless stuffs. I designed environment-friendly furnitures by using plastic manekings, which do not decay easily. Designing environment-friendly furnitures by using maneking, we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to make our surrounding comfortable and pleasant, to make the appearance of the streets more beautiful, and to consider our future environment. We need to use reusable and recyclable wastes much more to make environment-friendly furnitures from now on.

  • PDF

도시 가로시설물의 조형 요소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Elements and Preference of Urban Street Furnitures)

  • 강규범;조세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0-20
    • /
    • 2014
  • 본 연구는 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가로경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일산 신도시의 가로 공간 내 입지하고 있는 휴식, 위생, 조명, 정보, 판매, 교통, 조경 관련 다양한 가로시설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 '휴식시설'과 '정보시설', '조경시설' 등 3개 요소가 가로경관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휴식', '조경', '정보' 시설 순으로 경관 선호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식시설에는 각종 '의자 요소'가, 정보시설'에는 '사인보드'가, 조경시설에는 '조형물', '분수', '문주'등의 시설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 등 조형요소가 가로시설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휴식시설인 의자는 '질감', '형태', '스케일', '색채'의 순으로 조형디자인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요소가 다른 3개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 선호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의자 등 편의시설에서는 질감, 형태, 스케일 등 기능적인 사항이 색채 등 시각적 것보다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조경시설 중 모뉴먼트와 관련된 시설은 경관 선호도에 있어 '색채', '형태', '질감', '스케일'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의자 등 편의시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색채, 형태등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경관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특히, 사인보드 등 정보시설에 있어 경관 선호도와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否)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인보드가 경관 선호도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인데, 디자인 조형요소와의 상관성은 '스케일', '색채', '질감'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스케일' 즉 광고물의 '크기'와 '색채'가 경관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가로 경관 요소로서 가로 시설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조형 요소에 상대적으로 집중적 관심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로시설물을 분류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교과서적으로 분류해 온 '기능' 중심의 '계' 차원의 분류체계는 경관성과 관련하여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경관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계'보다는 '시설 종류'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지역 특성화 펜스 디자인 시뮤레이션 -서울시 문화의 거리를 중심으로- (Public Area Characterized Fence Designing Simulation -Cultural Street in Seoul-)

  • 이대우;문대성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07-316
    • /
    • 2009
  • Seoul, the capital of Korea, is worldwide city; Seoul is 600 year-old city as a capital and more than 10 millions of population live in Seoul, Image of Seoul has began to be known to the peoples in the world through 1988 Seoul Olympic Games and 2002 World Cup. However, in the public design and trees lining street system, Seoul hasn't been escaped from the image of a city which lacks of the characterization in the culture and identity aspects. This paper applied a protective fence designing simulation for Cultural Street in Seoul to develop much more the identity of Seoul and characterization of local culture. Also, It's examined and analyzed R&D data, and applied traditional patterns to design to set developmental capacity of design and a direction of fence design i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t's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 of domestic manufacturers and examples for installation, selected randomly 7 places of domestic cultural places as an alternative to compare the previous design to the present design with 3D design and photos composing method, and developed the related situation. Also, It's visualized this method to let the citizens and all levels of society determine the design. besides that, developed the traditional patterns to apply the patterns to the desig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each region and characteristic of each road. It's suggested this fence design to apply the image of advanced Korea and Seoul as a creative cultural city, and the international status of Korea and Seoul to the trees on the historical and traditional street. Also, put an importance to bring the identity of Seoul and Korea in the world into relief.

  • PDF

지하철 승강장 벤치 디자인 유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Bench Design at a Subway Platform)

  • 양혜원;김준지;이주현;이현수
    • KIEAE Journal
    • /
    • 제8권2호
    • /
    • pp.71-78
    • /
    • 2008
  • Subway is a major transportation in the city that is allied to the daily life of people. As a public space, subway station must satisfy the citizens with convenience, safety and esthetic factors. The bench which is one of the major street furniture on the subway platform has a lot of physical contact. Therefore the design of benches must be considered in the aspects of not only aesthetic design but also ergonomic desig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benches and at the same time suggest how to arrange, design, and manage them at the proper manners at subway platform.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of design are that the benches at a same platform have various design, the saturation of color is too high, and the design is unfashionable. The second, at the management part there is no such a total management system and specialist for the street furniture section and lack of rational management regulations. The third, results of a new survey suggest that citizens think negatively about present bench's conditions such as design and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