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ams of Gwangju city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광주광역시 하천수의 수질 및 오염 (Water Quality and Pollutions of River waters in Gwangju City)

  • 오강호;고영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87-297
    • /
    • 2003
  • To investigate water quality and pollution states of rivers in Gwangju city, total of 30 water samples were taken from the main stream of Yeongsan river, Hwangryong river and Gwangju stream in dry and flood season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bove streams according to pH-Eh and Piper's diagrams we, typically, assigned to natural river water. In the streams, BOD, COD, T-N and T-P indicating water quality mostly increase toward downstream. Notably, water qualities in area near connection between the Gwangju stream and the main stream of Yeongsan river are polluted over V level in rivers and lakes water quality standard. The pollutions are influenced by lift and agricultural foul waters from Gwangju City and farming areas around upstream branches of the Yeongsan river, reasonably. Besides, heavy metals are below the standard in those streams.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streams are polluted by not industrial but life/agricultural foul waters.

광주광역시를 관류하는 하천 표층퇴적물의 지구화학적 거동과 환경 변화 (Geochemical Behavior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Bottom Sediments in Stream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신상은;오강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5호
    • /
    • pp.497-510
    • /
    • 2010
  • Considering to the geochemical behavior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bottom sediments in streams,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focuses to analyses on grain sizes, metal elements and organic carbons in sediment samples from Yeongsan and Hwangryong rivers, and Gwangju stream. In the sediments, contents of Cu, Zn, Pb, P and TOC were highly variable, in the case of Gwangju stream particularly. Yenogsan and Hwangryong rivers are influenced by grain sizes and surrounding geological settings and Gwangju stream is connected to organic matters related to life fouls and so forth, with respect to the geochemical behaviorof bottom sediments. Li, Zn, Pb and Cu were enriched in Yeongsan and Hwangryong rivers and Li, Cu, Zn, Pb and P enriched in Gwangju stream, respectively. In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above drainages, the site mutually connected Seobang(GJ 4) with Donggye(GJ 7) streams shows the highest values, in peculiar. It is inferred that those contamination values are mainly related with urban foul waters in the city.

광주광역시 하천의 표층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과 오염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Contamin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Streams of Gwangju City)

  • 김주용;고영구;윤석태;신상은;박배영;문병찬;김해경;오강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46-360
    • /
    • 2003
  • 광주광역시 하천에 분포하는 표층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영산강 본류, 황룡강, 광주천에서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입도, 금속원소, 유기탄소의 함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입도는 잔자갈에서 니질 크기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함량변화는 영산강 본류와 황룡강에서는 퇴적물 입도와 주변 지질에 의한 의존성을 보였다. 광주천에서는 생활하수 등의 유기물에 의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에 함유된 금속원소들의 오염을 알아보기 위한 부화계수와 농집지수는 영산강 본류와 황룡강이 특별하게 오염되지 않음을 지시한다. 그러나 광주천에서는 부화계수가 P=8.30, Cu=5.54, Zn=14.28, Pb=7.41 등으로, 농집지수는 P=3.78, Cu=2.79,Zn=3.66, Pb=1.59 등을 보였다. 특히, 광주천의 지류인 서방천과 동계천 등이 유입되는 지점에서 중금속 오염이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광주광역시를 관류하는 하천들의 금속오염은 상당 부분 도시지역의 생활 하수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 습지의 식물자원 (Plant Resources of wetlands in Youngsan River Streams of Downtow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임동옥;조원철;최현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28
    • /
    • 2009
  • 광주광역시 도심 영산강 수계의 관속식물은 91과 265속 386종 49변종 및 2품종으로 총 43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수생식물 중 정수식물은 16분류군, 부엽식물은 10분류군, 침수식물은 10분류군, 부유식물은 3분류군 그리고 습생식물은 14분류군으로 총 53분류군이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자라풀, 가시연꽃, 낙지다리, 왕벚나무, 좀어리연꽃 등 5분류군이었다. 특정식물종 I급종은 10분류군, II급종 2분류군, III급종 2분류군, IV급종 3분류군 그리고 V급종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15과 44속 59종 3변종으로 총 62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은 14.19%였다. 환경부 생태계 교란종은 돼지풀, 물참새피 및 도깨비가지 등이었다.

  • PDF

광주시 공원녹지 이용자의 이용 행태에 따른 만족도 (Users' Satisfaction from the Use of Park and Greens based on their Utilization in Gwangju-si)

  • 정수동;염성진;서정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7
    • /
    • 2021
  • As population concentration, high-rise, and high-density progresses amid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Korea, green areas in the city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natural environment has deteriorated day by day due to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In order to cope with these social changes, many studies related to park and green areas have been conducted, but in the case of Gwangju-si, only studies on green areas such as vegetation structures, street facilities, and recreation forests have been conducted on park green areas. The situation is not losing. Therefor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Gwangju citizens to understand the usag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park green area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park development and reorganization. As a result, first, to induce a variety of static and dynamic activities in order to increase the park satisfaction of Gwangju citizens, it is possible to create a park that has not been formed as soon as possible, and by planning programs with various them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green space services in marginalized areas by creating water streams, flower pots, and rooftop greening around the lives of Gwangju citizens, and create park green spaces with themes using cultural and historical resources for each administrative district. Third, in order to solve the dry landscape in some urban area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hree-dimensional landscape plan by creating a variety of green areas such as potted plants, green areas, and street trees, and by giving functions of park green areas such as expanding leisure and convenience facilities.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지원을 위한 도시침수 위험도 공간정보 개발 (Development of Urban Flood Risk Maps for Strengthening Urban Planning Toward Disaster Prevention)

  • 이종소;이상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203-213
    • /
    • 2018
  • 본 연구는 기후변화 및 도시 집중으로 인해 증가하고 있는 도시침수에 대비하고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수립 지원을 위해 격자단위의 상세 위험정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경기도 광주시를 대상으로, RCP 8.5 강우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내 외수 침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재해 특성, 노출특성, 취약성 등에 대한 위험정보를 격자단위로 개발하였다. 분석결과 목현동에 위치한 목현천 만곡부 지역과 송정동에 위치한 경안천 합류부 지역에서 침수영향이 클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침수흔적도와 상당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거 밀집지역인 송정동 일대가 침수에 많이 노출되고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해예방형 도시계획 제도를 마련하는 근거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다기능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하게 된다면 방재대책 수립에 필요한 고위험지역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RUSLE와 GRID를 이용한 하천의 토양유실량 및 유사유출량 산정방법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by Soil Loss and Sediment Yield Analysis Calculation Method of River using RUSLE and GRID)

  • 박의정;김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2-121
    • /
    • 2007
  •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의 경우 하천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토사는 하천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지만 하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토사는 강우에 의해 하천으로 이송되는 양이 줄어든다. 하천의 유사유출량을 예측하는 것은 유역과 하천의 관리측면에서 기본적인 사항이다. 따라서 유역에서 발생되는 토사량 중 하천으로의 유사유출량을 계산해 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역에서의 토양유실량을 계산하고 강우 시 유출되어 하천으로 유입되는 유사유출량을 예측하여 하천의 유사유출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하천의 유사유출량을 분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RUSLE와 GRID를 이용하여 토양유실량을 계산하고, 유사전달비 방법과 경험적 방법을 이용하여 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유역의 DEM자료와 경사도, 토양도, 토지이용도를 구축하여 RUSLE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광주광역시에 있는 영산강상류 유역을 선정하였다. 토양유실량은 LS인자를 계산하는 방법에 따라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고 각 방법별로 2가지의 유사전달비 추정방법을 적용하여 6가지 경우에 대해 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건교부의 경험적 방법에 의한 유사유출량과 상대적 크기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유사유출량은 댐이나 하도의 계획, 설계, 관리, 재해영향평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