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eam sediments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6초

퇴적층의 온도별 배양에 따른 조류군집 형성과 이취미물질 발생 특성 (Form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Occurrences of Odorous Compounds for Sediment Incubation by Water Temperature)

  • 김용진;윤석제;김헌년;황문영;박진락;이병천;이재관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60-467
    • /
    • 2015
  • We analyzed the form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the occurences of odorus compound from benthic cyanobacteria in North, South Han-River, Paldang-Lake and Kyeongan-Stream sediments. Sediments were incubated in different water temperature. Akinetes were found (0~500 cells/g) with the highest number on sediment in Yangsoo railroad bridge (YC). The result showed that Anabaena ranged between $0.02{\sim}0.53{\times}10^3cells/mL$ in Sambong (SB), YC, Mukhyen-Stream (MS), Paldang-Lake (P2) and Kyeongan-Stream (KK). The total 68 taxa of phytoplankton were observ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A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was in the range of $0.13{\sim}8.97{\times}10^3cells/mL$ and Microcystis appeared in SB, YC, P2 and KK sites with $20{\sim}25^{\circ}C$ temperature. In South Han-River (P3), Oscillatoria tenuis was dominant at $25^{\circ}C$ temperature. The concentration of geosmin was the highest in SB-$15^{\circ}C$ (25.5 ng/L), and the concentration of 2-MIB was the highest in P3-$25^{\circ}C$ (286.8 ng/L). Odorous compounds were detected in all the temperature conditions from each site.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dominant benthic cyanobacteria (O. tenuis, O. limosa, Phormidium tenue and Pseudanabaena limnetica) have high correlation with the occurrence odorous compounds and 2-MIB.

전남 나주-영암지역의 영산강 하류 시추퇴적물의 퇴적환경과 지구화학적 특성 (Sedimentary Environments and Geochemical Characters of the Core Sediments Near Naju-Yeongam Area in the Lower Part of the Yeongsan River, Cheonnam, Korea)

  • 은고요나;고영구;윤석태;오강호;김동주;김주용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01-316
    • /
    • 2001
  • 나주-영암 인근인 영산강 하류 부근의 3개소에서 채취된 시추퇴적물의 수직적인 퇴적환경과 지구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이들 시료를 대상으로 퇴적물의 입도 분포와 금속원소의 함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추퇴적물의 심도에 따른 입도는 잔자갈에서 니질에 이르고 상향세립화의 특성을 가진다. 퇴적물의 분급도는 poorly sorted에서 very poorly sorted로 불량하게 나타났으며, 왜도는 대체로 양의 왜도가 우세하였다. 퇴적물의 입도별 분포상에서 연구지역의 퇴적층은 사행천을 이루는 하성층으로 생각된다. 지구화학적 원소들의 거동은 일부 시추퇴적층 입도의 상향세립화에 대한 의존도가 영향을 주기는 하였으나 탄산염 함량변화 등을 포함하는 환경적 변화에 의한 조절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퇴적물에 함유된 금속원소들의 농축을 알아보기 위한 부화지수의 분석결과는 유의할 정도의 부화가 관찰되지 않아 특정 금속원소에 의한 농집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PDF

구봉광산 일대 광미, 하상퇴적물 및 주변 토양에서의 중금속 원소의 존재 형태 (Chemical forms of Heavy Metal Elements in Mine Wastes, Stream Sediments and Surrounding Soils from the Gubong Mine, Korea)

  • 김종옥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3호
    • /
    • pp.261-271
    • /
    • 1999
  • Mining activity in the Gubong gold mine started in 1908 and lasted up to recent days. Heavy metals derived from the activity may be porentially toxic to human life and envirinment of this area. Because metal toxicity depends on chemical associations into five operationally defined groups: exchangeable, carbonate, reducible, oxidizable, and residual fractions, and the Most of heavy metals have significant little significance (alomost<1%). And Cu is mainly associated with the oxidizable from. Total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pH, and mineralogy affect the chemical forms of the metals. Heavy metal concentrations. Significant amounts of metal elements (5∼65.1% in Pb, 6.2∼39.7% in Zn, 8.7∼54.7% in Cd, and 3.6∼24.7% in Cu) were present in carbonate form from mine wastes, contaminated soils and sediments. High pH value and cerussite (Pb bearing carbonate mineral) in mine wastes, contaminated soils and sediments. High pH value and cerussite (Pb beraring varbonate mineral) in mine waste support this result. Areas with high corbonate bound from would have higher potentoal conamination, however, because elements of carbonate bound forms are easily mobilized under lower pH conditions in the surface envionments due to acid to rain soil acidification.

  • PDF

충주호 상류, 상곡광산 수계에 분포하는 토양과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oils and Stream Sediments at the Sanggok Mine Drainage, Upper Chungju Lake, Korea)

  • 이현구;이찬희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20
    • /
    • 1998
  • 상곡광상은 캄브로-오르도비스기의 석회질암내에 발달된 열극을 교대한 다금속광상이다. 광산부근에는 상당량의 폐석과 광미가 방치되어 있으며, 폐갱도에서 유출되는 갱내수는 여과없이 하천을 따라 이동되어 상수원 및 농경지로 유입되고 있다. 토양과 퇴적물의 주성분 원소는 시료에 따라 조성 차이가 심하나 Fe, Mn, Ca 및 Na이 부화되어 있고, 특히 광미야적장 토양에서는 Fe (평균 18.58 wt.%)와 Mn (4.18 wt.%)의 함량이 아주 높다. 광미야적장 토양에서 검출된 중금속의 평균함량은 Ag=10, As=2278, Cd=7, Cu=206, Pb=1372, Sb=14 및 Zn=2231 ppm이며, 광산수계의 퇴적물에는 Ag=1, As=146, Cd=1, Cu=39, Pb=146, Sb=2, Zn=259 ppm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독성원소들은 적어도 수 km 하류까지 이동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비광산수계 퇴적물의 조성으로 표준화한 주원소의 부화지수는 광산수계 퇴적물=1.54, 광미야적장 토양=6.84로서 높은 이상치를 갖는다. 희토류원소의 부화지수는 광산수계 퇴적물=0.92, 광미야적장 토양=0.52이다 환경적 독성원소 (As, Cd, Cu, Pb, Sb, Zn)를 비광산수계 퇴적물의 조성으로 표준화한 부화지수는 광산수계 퇴적물=2.42, 광미야적장 토양=25.47 이다. EPA의 환경오염 기준치로 표준화된 부화지수는 비광산수계 퇴적물=0.53, 광산수계의 퇴적물=1.84, 광미야적장 토양=23.71 이다. 퇴적물과 토양의 X-선 회절분석 결과, 구성광물의 함량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모든 시료에서 동일한 광물조성(방해석, 돌로마이트, 마그네사이트, 석영, 운모, 녹니석 및 점토광물)을 갖는다. 중금속 오염이 심한 토양과 퇴적물을 비중분리하여 반사현미경으로 관찰하면 황철석, 유비철석, 섬아연석, 방연석, 침철석 및 수산화 광물들이 많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 광물들이 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보인다.

  • PDF

Most Probable Number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중랑천 하상토양의 혐기성 세균의 수와 수질과의 상관 관계

  • 박두현;김병홍;임시근;최영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4-370
    • /
    • 1996
  • Sediments collected from the Jungnang-cheon and its tributaries were used to enumerate anaerobic bacteria by most probable number (MPN) methods. A simple method was developed to detect ferrous ion in the culture fluid in order to count the number of iron ion reducers, and sulfate-reducing bacteria (SRB) and methanogens were detected by the presence of FeS precipitate in the culture or methane in the head space, respectively. The numbers of iron reducer was in the range of 10$^{7}$ - 10$^{8}$ /g in the sediment of the stream containing higher organic content than the tributaries. The sediments of tributaries were analyzed to contain iron reducers less than 10$^{7}$ cells/g. With one exception the numbers of SRB and methanogens were less than 10$^{3}$ cells/g in the sediment.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organics in the sediment support the growth of iron reducers, which out-compete SRB and methanogens.

  • PDF

기능을 상실한 보 철거를 통한 하천생태통로 복원 - 곡릉천 곡릉2보 철거를 대상으로 - (Stream Eco-corridor Restoration by Out-aged Small Dam Removal - Focused on Gokreung River Gokreung 2 Small Dam Removal -)

  • 안홍규;우효섭;이동섭;김규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40-54
    • /
    • 2008
  • Small and large dams are installed in the course of a stream for maintaining the water level of the stream or obtaining agricultural water. Currently about 18,000 of them are installed in Korea to supply water. However,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small dams are well known : the interruption of stream eco-corridors,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upper reaches of the small dam, changes in the habitats of riparian organisms, damages to the stream scenery. In a very few of these small dams artificial eco-corridors like fishways are installed, but the number is very minimal.Accordingly, to efficiently restore stream eco-corridors by removing these small dams, it will be necessary to closely examine physical impacts, such as changes in the riverbed and changes in the shape of the stream caused by the removal, chemical impacts, such as changes in water quality, and transport and accumulation of contaminated sediments and biological impacts, such as changes in the habitats of organisms, and develop related technologies in advance, and have these technologies verified through demonstration application in the sit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hysical, chemical and ecological impacts of the removal of the above-mentioned small dams, and conducted a research on the demonstration small dam removal project for a spot investigation. As a result, the small dam removal will restore the eco-corridor, there by improving the habitat of fishes and crustaceans. The number of major underwater organisms inhabiting the Gokreungcheon, such as Korean spotted sleepers, Chinese minnows, Microphysogobio yaluensis, Abbottina rivularis, stone morokos, striped shinners, long-nosed barbels, and Chinese mitten crabs, is expected to increase, and the food chain in the ecosystem will improve so that species diversity will improve as well.

전주 일광산 주변의 환경 오염에 관한 연구 -겨울철 중금속오염을 중심으로-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the Abandoned Chonju Il Mine in the Chonbuk Area)

  • 조규성;정덕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623-631
    • /
    • 1998
  • Pyrite contained in wasted ore dumps induces a strong acid environment when it contacts oxygenated rainfall. Present research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pollution of an area that is supposedly contaminated by pyrite of ore wasted dumps form in Chonju Il Mine. Measured are the pH and selected heavy metal elements in the supposedly polluted hydrologic system. The samples include three types : those collected from the stream waters; those from the stream sediments; and those from the rice field soil scattered over the area. The dispersion path of the pollution source was also traced. The pH of the hydrologic system ranged from 3.44 to 5.46, which clearly indicates that the area is on the acid environment. The pH tends to rise as the distance from the minehead increases. The content of heavy metal elements dissolved in the stream water varies as follows; Mn=69.73~1.99ppm, Cd=0.02~0.03ppm, Zn=0.77~1.18ppm, Cu=0.04~0.13ppm, Pb=0.22~0.32ppm. The stream water in this state may induce serious heavy metal pollution to the agricultural land and the water for human life especially in the villages down the stream. The content of heavy metal elements dissolved in the stream sediment varies as follows; Mn=245.0~4685.0ppm, Cd=10.0~15.0ppm, Zn=105.0~210.0ppm, Cu=65.0~155.0ppm, Pb=90.0~150.0ppm. The content of heavy metal elements dissolved in the rice field soil varies as follows; Mn=185.0~260.0ppm, Cd=10.0~15.0ppm, Zn=135.0~180.0ppm, Cu=65.0~90.0ppm, Pb=100.0~130.0ppm. The pollution index in the stream sediment and the rice field sell is 1.36~2.03, which shows that pollution had already begun all over the area where the samples were collected.

  • PDF

토지이용이 다변화된 산림 유역의 수질에 미치는 몬순 강우의 영향 (Effects of Monsoon Rainfalls on Surface Water Quality in a Mountainous Watershed under Mixed Land Use)

  • 조경원;이현주;박지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7-206
    • /
    • 2010
  • 토지 이용이 다변화된 산지 유역에서 몬순 강우에 의한 환경 영향을 평가하는데 필수적인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질의 계절간 비교와 강우사상 집중샘플링의 방법을 활용하여 지표수 수질의 시공간적 변이 특성을 조사하였다. 유역 내 토지 이용을 반영하는 지표수 9개 지점을 대상으로 건 우기 수질의 계절적 차이를 비교하고, 2회의 강우사상에 대해 산림과 농경지 하천 2개 지점에서 집중 샘플링을 실시하였다. 대부분의 지점에서 건기보다 우기에 전기전도도와 $Cl^-$ 농도는 더 낮았으나, 총 금속 농도는 우기에 훨씬 더 높았다. 이는 우기에 늘어난 유량에 의해 용존 이온은 희석되고, 토양 침식량은 증가됐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18mm의 적은 강우 시에 산림 하천의 수질에서는 거의 변화가 보이지 않은 데 반해, 농경지 하천에서는 부유토사와 용존 물질 농도가 모두 가파른 변화를 보였으며, 452mm의 많은 강우에 대해서는 농경지 하천은 물론 산림 하천에서도 큰 수질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농경지 하천의 Pb 농도는 부유토사 농도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제한된 샘플링 횟수와 조사지점으로 인해 결과 해석에 신중을 기해야 하겠지만, 전체 결과는 가파른 산지 유역에 농경지가 무분별하게 확장되면 강우의 변동폭과 극단화가 심해질 경우 토양 침식과 그에 따른 환경 영향의 취약도가 증가할 것임을 시사한다.

회귀 수식을 이용한 지구화학적 이상분포지역 도출기법: 경기도화강암의 예 (The Methodology for Extraction of Geochemical Anomalies, Using Regression Formula: an Example from a Granitic Body in Gyeonggi Province)

  • 황상기;신성천;염승준;문상원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2호
    • /
    • pp.137-147
    • /
    • 2002
  • 자연에서 일어나는 지질작용과 환경변화는 지표 지질물질 내 원소의 존재량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지구화학적 이상현상이 지질기원인지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인지를 판별해 내는 데에 지구통계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경기도 전역의 2,290개 1-2차 수계에서 채취한 하천퇴적물(표사, <150 $\mu\textrm{m}$)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역거리 가중 보간법으로 광역 지구화학 지도를 작성하였다 지구통계 기법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남동부에 저반상으로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체를 표본지역으로 선정하여, 445개 집수분지를 대표하는 하천퇴적물 시료의 22가지 원소에 대해 요인분석을 하였다. CO, Cf, SC, MgO, Fe$_{2}$O$_{3}$, V, Ni 등이 서로 상관도가 높은 그룹으로 구분되며, 이들의 낮은 함랑은 화강암의 전암 조성에서의 결핍 특성을 잘 반영한다. Co, Cr, Sc을 각각 종속변수로, 이들 외 다른 6가지 성분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회귀식으로 계산된 값을 바탕으로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회귀식으로 만든 분포도는 각 변수의 본래 분석치로 나타낸 분포도와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인다 이와 같이 두 가지 분포도가 유사한 것은 회귀분석에 의한 통계기법이 광역적인 지구화차 자료를 해석하는 데에 타당성을 가짐을 말해 준다. 그러나, 일부 성분에서 두 가지 분포도에서 이상대 영역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기반암의 화학조성과는 무관한 이타 요인에 기인할 가능성이 크다 결론적으로, 회귀분석에 의한 지구통계기법을 적용하여, 국지적인 지구화학적 이상현상이 지질기원이 아닌 인위적인 영향에 기인한 것인지를 효과적으로 판별해 낼 수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토양내 중금속 존재형태와 미나리중 함량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Speciation of Heavy Metals in Soil and Water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Cultivated near Industrial Complex)

  • 정구복;김원일;이종식;김진호;이정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64-171
    • /
    • 2007
  • 공단인근의 여러 중금속이 복합적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중금속의 존재형태와 미나리 중 함량과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미나리 재배토양, 농수로 퇴적 저니토 및 대조토양과 동일지점에서의 미나리를 채취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토양의 중금속 총함량 중 Cd, Cu 및 Ni의 평균농도가 Kloke (1979)가 제안한 중금속의 허용한계치를 초과하였다. 중금속별 토양 내 주된 존재형태는 Cd이 치환태였고, 다른 중금속 (Cu, Zn, Ni 및 Pb)은 Fe-Mn 산화물 및 잔류 형태로 나타났다. 재배토양과 농수로 저니토의 형태별 함량에 의하여 환산된 잠재적인 중금속 이동계수는 Cd>Zn>Ni>Cu>Pb 순이였고, 특히 Cd의 경우 대조토양에 비하여 매우 높은 것으로 알수 있었다. 토양의 Cd 전함량과 토양 내 이동성이 높은 치환성 및 Fe-Mn 산화물 분포비율과는 정의 상관, 이동성이 낮은 잔류태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미나리 부위별 중금속은 대부분이 뿌리에 축적되었으며, 지상부로의 이행성은 Cd과 Zn가 줄기에서 높았고, Cu와 Ni 함량은 오히려 잎에서 높았다. 토양 중금속 중 Cd, Cu 및 Ni의형태별 함량과 미나리 중 함량과 관련성이 높았고, 특히 치환성 Cd과 Ni 함량은 미나리 중 함량과 고도의 정의상관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