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rains inoculation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2초

국내 거베라 육종계통 형질전환 기초 조건 확립 (Optimization of Genetic Transformation Conditions for Korean Gerbera Lines)

  • 이혜영;이기정;전은희;신상현;이재헌;김도훈;정대수;정용모;조용조;김정국;정영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3권1호
    • /
    • pp.49-5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거베라 형질전환 기초기술개발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남원예화훼시험장에서 육성된 국내 거베라 18품종 중, Agrobacferium 감염에 순응적인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18개의 국내 거베라 품종을 스크린하여 011, 016, GM023 등 12개의 순응형 계통을 스크린 하였으며 효율적인 형질전환을 위한 제균 항생제로는 cefotaxime이 선택되었다. 더 많은 캘러스 유도를 위한 전처리 배지의 호르몬 농도는 BA 2 ppm, Zeatin 2 ppm, IAA 0.2 ppm (2 x media)이 효율적이었고 재분화 배지의 호르몬 농도도 전처리 배지 호르몬의 농도와 동일하게 BA 2 ppm, Zeatin 2 ppm, IAA 0.2 ppm (2 x media)에서 효율적이었으나 GUS 발현에는 다른 차이가 없었다. 고효율 형질전환 체계 확립을 위하여 네 가지 다른 전처리 기간 처리와 두 가지 다른 Agrobacterium tumerfaciens 사용, 두 가지 다른 공배양 기간을 처리한 결과 전처리 하지 않은 엽병과 엽신을 LBA4404 Agrobacterium tumerfaciens을 사용하여 5일 간 공배양 기간을 가졌을 때와 dipping 처리하여 접종한 엽병과 엽신에서 높은 GUS 발현빈도를 나타냈다.

Bradyrhizobium japonicum에 외부유전자(外部遺傳子)의 도입(導入)과 대두(大豆)에 대한 접종효과 (Transfer of foreign Genes into the Bradyrhizobium japonicum and their Inoculation Effects on Soybean Plants)

  • 김용웅;김길용;이영환;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87-393
    • /
    • 1992
  • 접종근류균(接種根瘤菌)의 소장(消長)을 유전공학적(遺傳工學的)으로 조제(調劑)한 Bradyrhizobium japonicum RJB6 $str^rnal^rneo^r$을 이용(利用)하여 연구(硏究)하였다. 전남(全南)일대로 부터 분리(分離) 동정한 균(菌)에 먼저 streptomycin과 nalidixic acid에 저항성(抵抗性)을 갖는 spontaneous mutant를 유도하고 이어 pSUP2021를 함유(含有)하고 있는 E. coli와 conjugation하여 neomycin 저항성(抵抗性) gene(Tn5)을 도입(導入)하였다. Southern hybridization한 결과(結果) 4.9kb상에서 Tn5를 확인(確認)했다. 서로 다른 균밀도(菌密度)로 파종(播種)한 40일후, 크로로필을 제외한 근류수(根瘤數), 근류신선중(根瘤新鮮重), 간장 및 질소함량이 low cell suspension 처리구보다 heavy cell suspension 처리구에서 약간 높았다. 표식균주(標識菌株)의 회수율(回收率)은 heavy cell suspension 처리구에서 12%인 반면, low cell suspension 처리구에서는 5%에 지나지 않았다.

  • PDF

땅콩의 근류형성(根瘤形成)과 질소고정(窒素固定)에 대한 근류균(根瘤菌) 접종방법(接種方法)의 영향(影響) (Nodulation and N2 Fixation in Groundnut as Affected by Inoculation Method)

  • 김무기;소재돈;박건호;최대웅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88
    • /
    • 1992
  • 항생제 내성 변이균주 JB7 $nal^rspe^r$와 CB756 $str^rrif^r$을 이용하여 살균하지 않은 밭토양에서 접종방법이 근류균의 증식과 근류형성 및 질소고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JB7 $nal^rspe^r$균주(菌株)를 종자당 $10^2$에서 $10^8$세포수준으로 접종(接種)했을때 접종농도(接種濃度)의 증가와 함께 근류형성(根瘤形成)이 증가하였다. 접종방법별(接種方法別)로는 YMB배양 액체접종(液體接種)이 Peat slurry나 Peat입자(粒子) 접종(接種)보다 더 많은 근류(根瘤)를 형성(形成)했고, Peat slurry와 입자(粒子) 접종간(接種間)에는 차이가 없었다. 토양(土壤) g당 $10^3$ 세포(細胞)의 근류균(根瘤菌)을 함유(含有)하는 토양(土壤)에 JB7 $nal^rspe^r$와 CB756 $str^rrif^r$을 혼합(混合)하여 접종(接種)했을때 모든 근류(根瘤)가 접종균(接種菌)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JB7 $nal^rspe^r$균주(菌株)에 의한 근류점유율이 월등히 높았다. 품종간에 근류점유율의 차이는 없었다. 접종균류(接種菌株)는 근권에서 점진적으로 증식되었으며, JB7 $nal^rspe^r$가 더 큰 폭으로 증가되었다. 땅콩의 수량은 무접종구보다 접종구가 높았으나 질소처리구(窒素處理區)와 접종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

소맥근권(小麥根圈)에서 분리(分離)한 형광성(螢光性) Pseudomonas spp. 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luorescent Pseudomoηas isolated from the wheat rhizosphere)

  • 이명철;김용웅;김광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2-159
    • /
    • 1990
  • 밀의 근권(根圈)에서 병원성(病原性) 사상균(絲狀菌)에 대해 길항성(拮抗性)이 높은 균주(菌株)를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여 연작장해(連作障害)의 피해경감과 생물방제(生物防除)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삼고자 그 균이 생성(生成)하는 siderophore에 의한 사상균(絲狀菌)의 생육(生育) 저해력(沮害力)을 조사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밀의 근권(根圈)에서 형광성(螢光性) 세균(細菌)을 선별하여 R. solani, F. oxysperum, F. solani에 대한 생육저해(生育沮害)가 큰 (10mm이상) 균주(菌株)를 P. fluerescens Biovar I(Ps-1, Ps-2, Ps-5)과 Biovar II(Ps-3)로 동정(同定)되었다. 2. 선발균주(選拔菌株)가 생성(生成)하는 색소(色素)는 green-yellow 로 410nm에서 최대의 흡광도(吸光度)를 나타내었다. 3. Siderophore는 $Fe^{+3}$의 첨가시 생성량(生成量)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Fe^{+2}$의 첨가시에는 생성량(生成量)의 감소는 보이지 않았다. 4. 선발균주(選拔菌株)중 Ps-5가 생성(生成)한 색소(色素)는 R. solani의 생육(生育)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FeSO_4$의 처리시 생육(生育)이 증가되었다. 그러나 균주(菌株) Ps-1, Ps-2, Ps-3가 생성(生成)한 색소(色素)는 R. solani, F. oxysperum, F. solani에 대한 생육저해(生育沮害)는 컷으며 $Fe^{+2}$의 첨가시 저해력(沮害力)은 현저히 감소되었다. 5. 암소재배법(暗所栽培法)을 이용한 오이의 연작지토양(連作地土壤)에 오이를 파종하여 접종효과(接種效果)를 본 결과(結果) Ps-2>Ps-1>Ps-5>Ps-3의 순(順)으로 접종효과(接種效果)가 있었으며 Ps-1과 Ps-2는 captan 50ppm의 처리구 보다도 효과(效果)가 더 좋았다.

  • PDF

한반도 중부지방의 벼 뿌리로부터 내생 세균의 분리와 특성 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dophytic Bacteria from Rice Root Cultivated in Korea)

  • 박수영;양성현;최수근;김지현;김종국;박승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0
    • /
    • 2007
  • 한반도 중부지방인 충청남북도 7개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시료 21점을 채집하여 이들의 뿌리를 표면살균 한 후 내생균을 44주 분리하고 내생성 검정 시스템을 통해 정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균주를 최종 16주 확보 하였다. 이들의 분리빈도는 뿌리 생체중 1g당 $10^{3-5}$ CFU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이중 7주가 Eurkholderia 속 균으로 동정되어 기존의 다른 벼 내생세균 연구 결과와는 다른 특징을 보였다. 또한 GFP tagging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균주 중 하나인 Enterobacter sp. KJ001 균주에 대해 뿌리조직 내 colonization 위치를 확인해본 결과 뿌리 조직 중 관다발 주변에 군락을 이루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Burkholderia 분리주들은 국내 재배 벼에서 높은 빈도로 분리되며 in vitro상에서 광범위한 진균성 식물병원균에 대해 우수한 길항력과 더불어 대부분 질소고정 관련 유전자인 nifH를 가지는 점으로 보아 질소고정에 의해 식물생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실제로 오이 유묘의 생장을 30% 이상 촉진하는 효과를 보여 식물병 억제 및 감소와 더불어 작물의 생장 촉진 및 생산성 증대에 활용가치가 높은 내생균으로 사료된다.

Saccharomyces cerevisiae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균주의 혼합배양으로 제조한 증편용 Rice Sourdough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Rice Sourdough for Jeungpyun Prepared by Mixed Culture of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Strains)

  • 오철환;인만진;오남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660-665
    • /
    • 2008
  • 본 연구는 빵의 스폰지법을 증편의 제조에 응용하기 위한 pre-fermented rice sourdough의 제조조건을 확립하고자 수행되었다. Rice sourdough를 제조하기 위하여 S. cerevisiae CY 균주와 L. mesenteroides ATCC 9135 균주를 접종하여 $30^{\circ}C$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키면서 rice sourdough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에서 L. mesenteroides 균주의 생육은 초기에 감소하다가 배양 후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 cerevisiae 균주는 전형적인 효모의 생육곡선을 보였다. 효모와 유산균의 혼합배양으로 반죽에 존재하는 총균수는 감소되었다. 또한 혼합배양으로 반죽의 점도와 팽창도는 증가되었으며, 팽창도인 경우 18시간 발효 후 170%의 증가를 보였다. 혼합배양 시 현미분의 첨가는 유기산과 에탄올의 생성을 촉진시켰으며, 발효제품의 기호성을 평가하는 fermentation quotient(FQ; lactic acid와 acetic acid의 몰비)는 $1.9{\sim}3.2$로 양호하였다. 이는 S. cerevisiae 균주와 L.mesenteroides 균주의 혼합배양으로 제조한 rice sourdough가 향후 증편 제조용 발효종으로 사용될 경우 증편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Pathogenicity of Five Strains of Toxoplasma gondii from Different Animals to Chickens

  • Wang, Shuai;Zhao, Guang-Wei;Wang, Wang;Zhang, Zhen-Chao;Shen, Bo;Hassan, I.A.;Xie, Qing;Yan, Ruo-Feng;Song, Xiao-Kai;Xu, Li-Xin;Li, Xiang-Rui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155-162
    • /
    • 2015
  • Toxoplasma gondii is a protozoan parasite with a broad range of intermediate hosts. Chickens as important food-producing animals can also serve as intermediate hosts. To date, experimental studies on the pathogenicity of T. gondii in broiler chickens were rarely reporte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pathogenicity of 5 different T. gondii strains (RH, CN, JS, CAT2, and CAT3) from various host species origin in 10-day-old chickens. Each group of chickens was infected intraperitoneally with $5{\times}10^8$, $1{\times}10^8$, $1{\times}10^7$, and $1{\times}10^6$ tachyzoites of the 5 strains, respectively. The negative control group was mockly inoculated with PBS alone. After infection, clinical symptoms and rectal temperatures of all the chickens were checked daily. Dead chickens during acute phage of the infection were checked for T. gondii tachyzoites by microscope, while living cases were checked for T. gondii infection at day 53 post-inoculation (PI) by PCR method. Histopathological sections were used to observe the pathological changes in the dead chickens and the living animals at day 53 PI.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urvival periods,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clinical symptoms among the chickens infected with the RH, CN, CAT2, and CAT3 strains. Histopathological findings and clinical symptoms of the JS (chicken origin) group were similar to the others. However, average survival times of infected chickens of the JS group inoculated with $5{\times}10^8$ and $1{\times}10^8$ tachyzoites were 30.0 and 188.4 hr, respectively, significantly shorter than those of the other 4 mammalian isolates. Chickens exposed to $10^8$ of T. gondii tachyzoites and higher showed acute signs of toxoplasmosis, and the lesions were relatively more severe than those exposed to lower do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thogenicity of JS strain was comparatively stronger to the chicken, and the pathogenicity was dose-dependent.

Phytophthora sansomeana에 의한 큰꽃삽주 역병 발생 보고 (Occurrence of the Phytophthora Blight Caused by Phytophthora sansomeana i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 안태진;박명수;정진태;김영국;김용일;이은송;장재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04-411
    • /
    • 2019
  • Background: In September 2017, wilting and rhizome rot symptoms were observed on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 in Jecheon-si and Eumseong-gu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solate hitherto unidentified pathogenic fungi from A. macrocephala and to test the pathogenicity of isolated fungi against Atractylodes spp. genus such as A. macrocephala, A. japonica, and their interspecific hybrids. Methods and Results: The diseased plants were washed with running tap water,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healthy area and the diseased area was cut while the pathogens were isolated by growing cultures from the diseased areas on Phytophthora semi-selective mediu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the isolates was used in this study for identification. Test plants were cultivated in the glasshouse at 20℃ - 30℃ for 4 months and then used for pathogenicity test. The pots with plants inoculated with mycelial plugs and zoospores were placed at 25℃ for 48 h in a dew chamber where relative humidity was above 95%, and then moved into the glasshouse at 20℃ - 30℃.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hogenicity of the strains was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symptom of plant wilting. The inoculation test was performed in three replicates with a non-treated control. Conclusions: On the basis of results of ITS sequence analysis, the strains isolated from the diseased plants was identified as Phytophthora sansomeana. Biological assay using test plants confirmed the pathogenicity of P. sansomeana against Atractylodes macrocephala. This is the first report of rhizome rot in A. macrocephala caused by P. sansomeana.

대두침출액으로부터의 대두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효모발효 효과 (Effects of Yeast Fermentation on the Production of Soy-oilgosaccharides from Bean Cooking Water)

  • 구경형;박동준;목철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3-137
    • /
    • 1997
  • 대두침출액중의 비소화성 올리고당인 라피노스나 스타키오스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수크로스함량을 낮추기 위한 효모는 균주의 선택적 당이용 능력을 기준으로 선발하였다. 14종의 대상균주 중 스타키오스 이용율이 낮았던 Saccharomyces cerevisiae(ATCC 9763, KCTC 7039)와 Hansenula anomala KFRI 626이 적합하였다. 일정량의 대두침출액에 선정된 3종의 효모배양액을 각각 첨가하여 발효시간에 따른 올리고당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균주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균주 첨가량과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 올리고당 함량이 감소경향을 보였다. 또 이들 3균주의 첨가량을 2%로 고정하고 발효 시간을 연장하여 당함량을 조사한 결과 수크로스 제거에 적당한 균주는 S. cerevisiae KCTC 7039와 H. anomala KFRI 626이었다.

  • PDF

Arbuscular mycorrhizal fungus인 Glomus manihot 균 접종이 고추의 성장과 영양분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us, Glomus manihot, on Plant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Pepper Seedlings)

  • 이호용;민봉희
    • 환경생물
    • /
    • 제21권3호
    • /
    • pp.292-296
    • /
    • 2003
  • 균귄 곰팡이(arbuscular mycorrhizal fungus, AMF)의 하나인 Glomus manihot을 이용하여 고추의 성장과 무기이온 흡수 및 고추의 치명적 질병인 역병 방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한 결과 매우 유의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MF 균주 처리에 의해 질소, 인산, 칼리의 흡수와 초기 중량이 증가되었음을 파종 2주만에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고추 품종에 따른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Glomus manihot이 고추의 발아와 동시에 부리에 공생하게 되어 나타나는 결과였으며 따라서 파종 시기에 맞춰 AMF를 투입하는 것이 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야외에서 6주간 경작한 결과, 중량은 AMF와 불용성 인산을 동시에 처리한 결과 40% 가까운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불용성 인산을 사용 가능케 하는 AMF의 특징에 의한 것으로 토양 내 문제점이 되고 있는 인산 과용에 의한 불용성 인산염의 제거에도 매우 좋은 효과를 나타내리라 판단되었다. 또한 Phyto-phtohra capsici에 의한 고추 역병에 대해서도 Glomus manihot의 접종이 그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추 품종에 상관없이 파종 초기에 Glomus manihot을 접종한다면 고추의 성장과 질병 방제효과를 통해 보다 좋은 품질의 고추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