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Yeast Fermentation on the Production of Soy-oilgosaccharides from Bean Cooking Water

대두침출액으로부터의 대두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효모발효 효과

  • Published : 1997.02.01

Abstract

Bean cooking water was used as a raw material for the production of soy-oligosaccharides. To maximize the yield of the physiologically functional oligosaccharides such as raffinose and stachyose, a fermentation process was introduced to reduce sucrose content. Yeast strains utilizing sucrose, but scarcely affecting the raffinose and stachyose for the growth were initially selected to reduce the sucrose content in the bean cooking water. The selected strains were Saccharomyces cerevisiae ATCC 9763, S. cerevisiae KCTC 7039 and Hansenula anomala KFRI 626. Bean cooking water with 2% inoculation volume of these yeasts was fermented until 48 hr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sugar analysi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time showed, bean cooking water treated with S. cerevisiae KCTC 7039 and H. anomala KFRI 626 used almost sucrose without decreasing stachyose for the growth.

대두침출액중의 비소화성 올리고당인 라피노스나 스타키오스함량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수크로스함량을 낮추기 위한 효모는 균주의 선택적 당이용 능력을 기준으로 선발하였다. 14종의 대상균주 중 스타키오스 이용율이 낮았던 Saccharomyces cerevisiae(ATCC 9763, KCTC 7039)와 Hansenula anomala KFRI 626이 적합하였다. 일정량의 대두침출액에 선정된 3종의 효모배양액을 각각 첨가하여 발효시간에 따른 올리고당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균주간에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균주 첨가량과 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각 올리고당 함량이 감소경향을 보였다. 또 이들 3균주의 첨가량을 2%로 고정하고 발효 시간을 연장하여 당함량을 조사한 결과 수크로스 제거에 적당한 균주는 S. cerevisiae KCTC 7039와 H. anomala KFRI 626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