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e loyalty

검색결과 237건 처리시간 0.022초

편의점의 혁신성이 인지적 인게지먼트와 정서적 인게이지먼트, 그리고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Perceived Innovativeness of Convenience Store on Consumer Brand Engagement and Store Loyalty)

  • 이영은;이용기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3권1호
    • /
    • pp.35-46
    • /
    • 2022
  • Purpose: With the rapid changes in the technical development and the trend of consumption trend, the convenience store industry is facing an unprecedented competitive situation in the consumption environment where the boundary between online and offline is broken due to the stagnation of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and the spread of online shopping. The biggest innovation strategy of the major convenience store brands in recent years are introducing the O2O (Online to Offline) platform and presenting new products and services beyond the boundaries of online and offline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Omni Channel stores. The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 of innovativeness of convenience store as a stimulus in O2O platform which customers perceive on store loyalty, the final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through customer engagement with convenience store brands. Specifically, the innovativeness of convenience stores was divided into types of core activities in corporate marketing and focused on innovations in services, products(proposals), promotions and experienc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Various hypotheses have been develope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128 questionnaires the age between 15 and 60 who had experience using retail store apps and delivery app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martPLS 3.3.7 program. Measurement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asse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lso, common method bias was tested using the values of VIF (variance inflation factor). The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SmartPLS 3.3.7 program. Results: First, service inno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engagement. Second, product, promotion and experience innova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Third, cognitive influences affective engagement. Finally,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engagement affect store loyalty, but affective engagement has a stronger effect on store loyalty than cognitive engagement. Conclusions: All four types of innovation and cognitive engagement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engagement, which has a stronger effect on store loyalty than cognitive engagement. Thus, while innovation can build loyalty through emotional engagement, innovation strategies must be designed and pursued with caution in terms of impact through cognitive engagement may not achieve the planned goals.

골프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독특성 욕구와 점포 유형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Golf Apparel Consumers' Shopping Value on Store Loyalty: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a Store Type)

  • 박성진;한진욱;김민수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1권4호
    • /
    • pp.197-210
    • /
    • 2012
  • 본 연구는 골프 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점포 유형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두 곳의 백화점 골프 의류매장과 네 곳의 대형마트 골프 의류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29부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어졌고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실행하여 수립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 두 개의 하위 요인인 실용적 및 쾌락적 쇼핑가치는 점포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용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특성 욕구가 약한 소비자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고,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특성 욕구가 강한 소비자들에게 더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실용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점포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충 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백화점 골프 의류매장 소비자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다.

소비 가치, 미용 점포 서비스 품질, 소비자 만족이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sumption Values, Service Quality, and Consumer Satisfaction on Store Loyalty for Beauty Consumers)

  • 박옥경;박은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6호
    • /
    • pp.1008-101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umption valu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store loyalty of beauty consumers. Using a questionnaire developed from previous studies, data were collected from 319 females at beauty stores located in Busan. They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OVA,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14.0 Program. Results showed that beauty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their consumption values; Subjective group, Practical group, and Epistemic group. There were a little differences among three consumer groups in the influence of perceived service qualities on consumer satisfaction. They suggest that the more satisfied with store services, consumers were the greater loyalty of beauty stores. Additionally, satisfaction of beauty consumers was a very important variable to develop the store loyalty. These findings would provide retailers and marketers related to beauty stores the informations encouraging consumer satisfactions and developing strategies of beauty stores.

  • PDF

서비스품질에 대한 만족이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외 패스트푸드 브랜드간 비교연구 (Impact of Satisfaction about Service Quality on Store Loyalty: A Comparative Study of the International Brand and the Domestic Brand of Fast Food Franchise in Korea)

  • 장대성;김영택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6-46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ustomers' satisfaction about service quality between the largest Korean fast food franchise and the largest American Fast food franchise in Korea. A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ritical service factors influencing the store loyalty of fast food franchise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merican fast food franchise is doing better performances in service factors than the Korean fast food franchise. And the value of food and service is identifi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for the store loyalty of the fast food franchise in Korea.

G감성유형에 따른 점포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 점포속성, VM요소, 점포충성도를 중심으로 -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VM factors, and Store Loyalty by Consumers' G Sensibility Types for Apparel Store Choice)

  • 오희선;김은영;이호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64-872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store attributes, VM factors, and store loyalty for store choice behavior by G sensibility types. A total of 425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students who enrolled at universities in Busan, Korea.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2$-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0.1.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 sensibility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G1(My pace type), G2(Active type), G3(Whimsical type). G4(Mania type), and G5(Sensational type). Particularly, G3 was most highly observed in male and female group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such as merchandise assortment among G sensibility typ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M factors of store image, physical facilities, and display and layout among G sensibility types. Especially, G5 type consumers considered store image, physical facilities, and merchandise display and layout more importantly, than did the other types.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e loyalty among G sensibility types. This study discussed managerial implications of visual merchandising strategy for apparel retailers.

종업원 서비스와 점포충성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 Services and Store Loyalty)

  • 윤성욱;서근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6권3호
    • /
    • pp.59-81
    • /
    • 2004
  • 오늘날 서비스 마케팅은 기업의 비즈니스 전략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 종업원 서비스와 점포 충성도는 점포와 고객이 장기간 비즈니스를 지속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경로이며, 기업 이미지와 해당 점포의 수준을 결정짓게 하는 척도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업원 서비스가 점포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결정요인들의 구조적인 분석에 관하여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LISREL 8.30을 사용하여 구성개념간의 공분산 구조모델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종업원의 자발적 서비스는 개인간 관계와 전환장벽을 통하여 점포 충성도를 유발시키는 유의한 요소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자발적 서비스는 점포 만족 및 점포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전환장벽을 결정하는 요소에 점포만족이 유의하지 않고, 개인간 관계만이 전환장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흥미로운 사실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종업원에 대한 지도관리 및 평가시에는 현재 종업원의 매출실적 및 계량적 평가방식에서 행위적 실적평가(behavioral performance evaluation)로 확대 개선 할 필요성을 제시하여 주고 있으며, 현재 소매업체의 실태를 감안할 때 향후 정부 및 중소기업지원 유관기관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서 그 의미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 PDF

점포내 품절상황에서 소비자 반응행동유형별 결정요인 (Determinants of Consumer Responses to Retail Out-of-Stocks)

  • 전달영;최종래;주영진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6권4호
    • /
    • pp.29-64
    • /
    • 2011
  • 상품의 이용가능성은 소비자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점포 능력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없는 품절(stockouts)상황이 발생했을때 소비자는 구매의사 결정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이러한 어려움은 소비자의 부정적인 반응, 예컨대 점포에 대한 불만족을 야기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품의 이용가능성 상설, 즉 품절상황에서의 소비자 대체선택행동을 이끌어 내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여, 이러한 변수들이 품절에 대한 소비자반응과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세부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구매환경의 상황적인 특성(예: 구매 긴급성, 당황정도), 점포 특성(예: 상품구색, 매장편의성), 소비자 특성(예: 브랜드애호도, 점포애호도) 등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요인들이 품절시 소비자반응(상품대체, 구매연기, 점포전환 등의 대체선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비해 상품구색, 전반적인 점포 가격 이미지 등의 점포특성 변수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형할인마트, 슈퍼마켓 등의 다양한 소매업태에서 품절상황을 경험하고 나오는 353명의 소비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다항로짓분석(multinomial logit analysis)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소비자 선택행동에 대한 MNL 모델 추정결과 품절상황에서 상품대체, 구매연기, 점포전환 행동에 대해 구매의 긴급성, 당황 정도, 구매량, 사전 계획구매, 상품구색, 전반적 점포가격 이미지, 브랜드애호도, 점포애호도 요인들이 소비자 선택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품절상황시 소비자의 점포 내 상품대체행동을 이끄는 결정요인으로 구매의 긴급성, 당황정도, 구매량, 사전 계획구매, 상품구색의 다양성, 저렴한 점포가격이미지, 브랜드애호도, 점포애호도 등이 유의하였으며, 구매연기를 유도하는 결정요인으로 구매의 긴급성, 구매량, 브랜드애호도 등으로 판명되었다. 품절시 소비자가 다른 점포로 전환하게 하는 요인은 구매의 긴급성, 구매량, 사전 계획구매, 상품구색의 다양성, 저렴한 점포가격이미지, 브랜드애호도, 점포애호도 등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품절시 점포 편의성과 판매원 서비스 요인들은 소비자 대체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 PDF

서비스 환경에서 관계기간에 따른 신뢰의 형성 (Formation of Trust by Duration of Relationship in Services Setting)

  • 최철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47-36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품질과 종업원신뢰, 점포신뢰 및 점포충성도 간의 경로관계를 확인하고, 서비스품질과 종업원신뢰 및 점포신뢰 간의 관계에서 서비스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기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주요은행에서 서비스경험을 가진 소비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Amos 18.0 통계패키지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성 서비스품질 요인과 종업원신뢰 간의 관계 그리고 확신성 서비스품질요인과 점포신뢰 간의 관계에서 관계기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서비스품질은 구성차원에 따라 종업원신뢰와 점포신뢰에 영향력의 차이를 보였지만, 종업원신뢰는 점포신뢰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점포충성도가 형성되었다. 결론적으로 관계가 형성된 소비자에게 서비스종업원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감성을 형성하여야 하고, 점포에 대한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확신성을 제공하여야 하며, 종업원에 대한 신뢰를 형성함으로써 점포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를 구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마케팅 전략이 브랜드 태도, 점포감정,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 SPA 대 한국형 SPA 비교 (Effects of Marketing Strategy on Brand attitude, Store affect, and Store loyalty: A comparison between Global and Korean SPA brands)

  • 고순화;김은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86-395
    • /
    • 2014
  • This study was to identify underlying dimension of marketing strategy, and to examine effect of the marketing strategic factors on store affect, brand attitude, and brand loyalty in global and domestic SPA brands. Based on pilot study, four SPA brands of which consumers were most aware were selected: Korean SPAs (e.g., Codes-Combine, Basic House) and global brands (e.g., Zara and Uniqlo).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s. By using intercept survey, 421 respondents were obtained from consumers shopping at the selected SPA retail stores located in cities (Seoul, Daejon, Chongju) in Korea. Result showed that SPA brand marketing strategy consisted of four factors: Product differentiation, store location, in-store VMD, and price value. The marketing strategic factors had partially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attitude, store affect and store loyalty.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se effects between global and Korean SPA brands. Specifically, the effect of in-store VMD on brand attitude was higher in Korean SPA brands, whereas the effect of price value was higher in global SPA brand. Also, the price value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store affects in global SPAs, while in-store VMD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store loyalty in Korean SPA brands. This study discussed a managerial implication for creating brand attitude and emotional responses, which obtains comparative advantages in the competing marketplace.

추구 혜택이 글로벌 SPA브랜드의 유·아동복 제품에 대한 점포 속성 평가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Benefit Sought on Store Attributes and Brand Loyalty of Children's Clothing Line in Global SPA Brands)

  • 김고은;이은정
    • 복식
    • /
    • 제66권3호
    • /
    • pp.121-13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marketing strategies of children's clothing line for global SPA brands among Korean consumers. The following factors were evaluated as the dependent variables: benefits sought, store attributes, and brand loyalty. We employed a survey method to test our research questions. The subjects of our survey were mothers with preschool kids between 2 and 7 years who had purchase experiences of children's clothing lines of global SPA brand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three factors of benefits sought ('trend'/'brand value'/'practicality'), the 'trend' factor only positively impacted the 'product' factor, which is part of the store attributes. 'Practicality' and 'trend'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rvice' factor of store attributes. However, all three factors of benefits sought had no impact on the 'store' factor, and 'practicality' and 'trend' factor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rice factor of store attributes. Second, 'practicality' and 'trend' factors among the three factors of benefits sought, had positive effects on brand loyalty. Third, the 'product', 'price', 'store', and 'service'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in decreasing order. Suggestions from our results for national SPA brands are as follows: National SPA children's clothing lines should focus more on unique designs and unique marketing strategies better reflecting Korean consumers' interest and needs in competing with their global counterpa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