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VM factors, and Store Loyalty by Consumers' G Sensibility Types for Apparel Store Choice  

Oh, Hee-Sun (Dept. of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im, Eun-Young (Dept. of Fashion Design Inform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Lee, Ho-Jung (Dept. of Fashion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v.10, no.6, 2008 , pp. 864-87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store attributes, VM factors, and store loyalty for store choice behavior by G sensibility types. A total of 425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students who enrolled at universities in Busan, Korea.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chi}^2$-test, and ANOVA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10.1.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 sensibility was classified into five types: G1(My pace type), G2(Active type), G3(Whimsical type). G4(Mania type), and G5(Sensational type). Particularly, G3 was most highly observed in male and female group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 such as merchandise assortment among G sensibility type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VM factors of store image, physical facilities, and display and layout among G sensibility types. Especially, G5 type consumers considered store image, physical facilities, and merchandise display and layout more importantly, than did the other types. Fourt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tore loyalty among G sensibility types. This study discussed managerial implications of visual merchandising strategy for apparel retailers.
Keywords
G sensibility; Store attribute; Visual Merchandis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Dick, A. S. & Basu, K. (1994). Customer loyalty: Toward an integrated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2(2), 99-113   DOI
2 Erdem, O., Oumlil, A. B., & Tuncalp, S. (1999). Consumer values and the importance of store attribute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and Distribution Management, 27(4), 137-144   DOI   ScienceOn
3 Kwon, Y-H., & Workman, J. E. (1996). Relationship of optimum stimulation level to fashion behavior.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4(4), 249-256   DOI
4 Ratchford, B.T. (1987). New insights about the FCB grid.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24-38
5 김관배. (2000). 제품디자인을 위한 조형 이미지의 평가와 선호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13(1), 168-178
6 나영주, 이은희, 황진숙, 고선주. (2007). 구매심리의 단계와 가중치 에 따른 VMD 감성평가 -의류브랜드를 중심으로-. 감성과학, 10(2), 187-198
7 박현희, 전중옥. (2004). VMD 구성요소의 패션 브랜드 태도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2), 224-234
8 신수연, 나현정. (2003). 애고점포에 따른 명품브랜드 소비자의 쇼핑 성향 및 점포속성중요도, 복식문화연구, 11(4), 474-486
9 신수연. (1999). 여대생들의 의복쇼핑성향에 따른 점포속성 중요도, 정보원의 이용, 자기 이미지의 차이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6), 54-67
10 오희선. (2004). G감성에 따른 브랜드 퍼스낼리티에 관한 연구 -리바이스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605-612
11 이승희, 조세나. (2007). 멀티샵의 점포이미지가 점포충성도 및 상표 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5(1), 51-61   과학기술학회마을
12 이영주. (2002). 패션 VMD 디스플레이를 통한 브랜드 성공 전략. 서울 : 미진사
13 이은실, 이선재. (2004). 청년기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점포속성 중요도가 패션점포선택에 미치는 영향 -대형점포를 중심으로-. 복식, 54(1), 53-68
14 전중옥, 박현희. (2005). 패션 VMD 인지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0(2), 117-139
15 한지혜, 고애란. (2001). 청소년기 여학생의 쾌락적 쇼핑 성향과 상점 이미지에 따른 상점애고행동. 한국의류학회지, 25(5), 833-844
16 홍희숙, 이수경. (2005). 인터넷 점포의 의류상품환경에 대한 인식이 쇼핑감정과 점포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9(3/4), 478-490   과학기술학회마을
17 이경희, 김유진. (2003). 패션감성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7(5), 505-516
18 권기대, 신인숙. (2002). 소비자 패션라이프스타일, 자아이미지가 패션몰이미지 촉진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점포 선택행동의 매개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유통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139-157
19 TBS (1993) G感性で[あなた]が見える. 憔美堂
20 신혜영, 홍병숙. (2004). 감성 캐주얼 의류매장의 VMD 매뉴얼 연구. 한국유통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185-207
21 유병우. (2005). 감성마케팅(emotional marketing)의 환경변화와 전망. 한국마케팅학회지, 39(1), 48-56
22 이은주, 오희선, 서용한. (2007). 쇼핑가치와 속옷 매장의 VM정보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1), 65-71
23 박성연, 배현경. (2006). 매장내 감각적 체험이 매장태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감정과 만족의 매개적 영향을 중심으로. 마케팅관리연구, 11(3), 1-13
24 오희선. (2002). 남성복 스타일 이미지에 대한 평가와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4(1), 47-55
25 신수연, 김희수. (2002). 여성 의류매장의 VMD(Visual Merchandising)에 관한 연구. 복식 문화연구, 10(6), 617-632
26 Pan, Y., & Zinkhan, G .M. (2006). Determinants of retail patronage: A meta-analytical perspective. Journal of Retailing, 82(2), 229-243   DOI   ScienceOn
27 Laura, A.W. & Alvin, C.B. (2001). Factors affecting children's store loyalty: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wo store types. The Journal of Applied Business Research, 17(1), 61-82
28 임숙자, 이주은. (1993). 의복 구매동기에 따른 점포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II). 한국의류학회지, 17(1), 3-10
29 박현희, 전중옥, 곽원일. (2007). 패션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과 VMD 적합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2(1), 55-70
30 안광호, 김미라. (1991). 점포이미지/자아이미지와 점포선호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소비자학연구, 2(2), 1-17
31 Katerattanakul, P., & Siau, K. (2003). Creating a virtual store image. Communications of The ACM, 46(12), 226-232   DOI
32 차인숙, 안소현, 이경희. (1999). 백화점 소비자의 의복쇼핑성향과 점 포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2), 284-295
33 Samli, A. C. (1989). Retail Marketing Strategy, New York: Quorum
34 이정란. (2008). 대형할인점의 점포속성이 고객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정보학회지, 11(1), 121-149
35 조광행, 박봉규. (1999). 점포충성도에 대한 전환장벽과 고객만족의 영향력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영학연구, 28(1), 127-149
36 기초조사연구. (1998). 감성디자인 요소의 지역적 특성 I. 자료검색일 2008, 9, 19, 자료출처 http://www.kid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