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Golf Apparel Consumers' Shopping Value on Store Loyalty: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a Store Type

골프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독특성 욕구와 점포 유형의 조절효과

  • Received : 2012.05.31
  • Accepted : 2012.08.20
  • Published : 2012.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s'need for uniqueness and a store type in the relation between golf apparel consumers'shopping values and store loyalty. A total of 229 shoppers visiting golf shops at two department stores and four discount stores in Seoul was conveniently selected and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multiple analysis with PASW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1) both utilitarian shopping value and hedonic shopping value affected store loyalty, (2) the impact of both shopping values on store loyalty was moderated by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and (3) the impact of hedonic shopping value on store loyalty was moderated in terms of the store type, whereas the effect of utilitarian value on store loyalty was not moderated with the store type. Additional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는 골프 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와 점포 유형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소재 두 곳의 백화점 골프 의류매장과 네 곳의 대형마트 골프 의류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들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29부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어졌고 기술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조절회귀분석을 실행하여 수립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프 의류 소비자의 쇼핑가치 두 개의 하위 요인인 실용적 및 쾌락적 쇼핑가치는 점포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실용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특성 욕구가 약한 소비자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고,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독특성 욕구가 강한 소비자들에게 더 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실용적 쇼핑가치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점포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쾌락적 쇼핑가치가 점포충 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백화점 골프 의류매장 소비자들에게 더 강하게 나타났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1년도 정부(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NRF-2011-35C-G00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