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age root

검색결과 343건 처리시간 0.023초

Low-Temperature Storage of Immature (Green) North American Ginseng Seed for Fall Planting

  • Proctor John T.A.;Louttit De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0권2호
    • /
    • pp.78-81
    • /
    • 2006
  • Freshly harvested, immature (green) seeds of North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were stratified for up to 3 years in plastic pails in controlled environment rooms at $5{\pm}1^{\circ}C$ for 9 months and then $21{\pm}2^{\circ}C$ for 3 months (Trt. 1, regular stratification), or continuously at $-2{\pm}0.2^{\circ}C$ (Trt. 2), or continuously at $3{\pm}0.2^{\circ}C$ (Trt. 3). During stratification at -2 and $3^{\circ}C$ embryos did not grow. On seeding in the field embryos grew rapidly and resultant seedlings were comparable to those from regularly stratified seed. Seedling emergence rate was acceptable at the industry expected rate of 68% after one year of storage, but not after two years storage when it declined to 17.5%. Seed rot was so severe in year 3 that no planting was carried out. Seedling and second year growth were similar at the three stratification temperatures; most importantly, root dry weight (economic yield) was similar. Low-temperature storage of freshly-harvested North American ginseng seed is an acceptable method for short-term retention of propagating material.

재배작약의 분류에 관한 해부학적연구 (Anatomical Studies on the Classification of Cultivated Peony in Korea)

  • 유승조
    • 생약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81-92
    • /
    • 1970
  • So far, the cultivated peony is known to be originated from an indigenous species, Paeonia albiflora $P_{ALLAS}$ var. trichocarpa $B_{UNGE}$ (PAT). In this study, these two species were morphologically examined in the external and internal feature and in the pattern of callus formation by tissue culture. Also, they were compared with another indigenous species, P. japonica $M_{IYABE}$ et $T_{AKEDA}$ var. pilosa $N_{AKAI}$ (PJ), which were regarded as being scarcely related to them. The root of the cultivated peony is massive consisting with several storage roots, each of them is a hypotrophic and fusiform. The root of PAT consists of several storage roots, each of them is branching and slender. And the storage root of PJ is short, bended buried horizontally, protruding a number of corpulent lateral root. The secondary xylem of the cultivated peony is small clusters of vessels and xylem fibres are arranged in scalariform and among these cluster, single vessel is joined, but that of PAT is small clusters of vessels are arranged in separate scalariform but are not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at of PJ is vessels and xylem fibers are grouped together in elongated clusters that radiate outward from the center. Protoxylem of the cultivated peony is surrounded by four large metaxylem, but that of PAT and PJ by seven. On the other hand, the callus formation patterns of these peonies were different; the cultivated peony callus is formed in an orderly fashion by the mammalate meristematic cell groups, PAT callus is in disorder by the meristematic cells arranged in linear, and PJ callus is in order by the meristematic cells arranged in linear. By the comparison of three different plants in the anatomical appearance and the callus formation pattern, it is evident that the cultivated peony is not derived from PAT.

  • PDF

냉장 중 연근 및 연잎분말을 첨가한 돈육 패티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 of Pork Patty Containing Lotus (Nelumbo nucifera) Leaf and Root Powder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박경숙;박현숙;최영준;문윤희;이경수;김민주;정인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32-1739
    • /
    • 2011
  • 본 연구는 연근 및 연잎분말의 첨가가 돈육 패티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돈육 패티는 돈육 88%, 대두유 5%, 냉수 5%, 소금 2%를 배합하여 제조한 대조군(T0), 여기에 연잎분말 0.5% 첨가한 것(T1), 연근분말 0.25% 및 연잎분말 0.25% 첨가한 것(T2), 그리고 연잎분말 0.5% 첨가한 것(T3) 등 네 종류의 돈육 패티를 제조하였다. 이들은 저장 중 색깔, 보수력, 가열감량, 두께 증가율, 직경 감소율, 기계적 조직감, pH, VBN 함량 및 TBARS값을 측정하였다. 저장 중 $a^*$값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05). T3의 $L^*$$a^*$값이 가장 낮았으며, $b^*$값은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높았다(p<0.05). 보수력은 저장 중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시료들 사이에 보수력, 가열감량, 두께 증가율 및 직경 감소율의 차이는 없었다.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경도 및 저작성은 증가하였으며, 탄성은 감소하였다(p<0.05). pH는 저장 중 높아지는 경향이었다(p<0.05). VBN 함량은 저장 중 변화가 없었으며, 시료들 사이에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BARS값은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여 저장 9일째 T0, T1, T2 및 T3가 각각 4.57, 1.85, 0.43 및 0.41 mg MA/kg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 연근과 연잎분말을 병행 하거나 연잎분말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기능성 육제품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쌀가루 수용액 계의 유동 특성에 미치는 칡 분말의 첨가 효과 (Effect of Arrow Root Flour on the Flow Property of Rice Flour-water System)

  • 이신영;오건준;정광승;박흥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54-1261
    • /
    • 1999
  • 전분의 노화에 대한 새로운 억제물질의 탐색연구 일환으로 칡성분의 첨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며 칡 분말 및 이들의 한외여과 성분 분획의 첨가가 동진벼 쌀가루(8%, w/v) 호화액의 유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냉장 보관중의 유동 특성에 대한 경시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이들 유동특성을 변화시키는 주 요인 성분을 탐색하였다. 칡 분말의 첨가로 쌀가루 호화액 유동 특성의 큰 변화를 동반하였으며, 특히 한외여과 투과분획의 저분자 물질종에서 쌀가루 호화액 및 이의 저장중의 유동 특성 변화가 가장 현저하였다. 한외여과 투과액 분획의 첨가는 쌀가루 수용액의 의가소성, 항복응력 및 점조지수값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비교적 저장중의 안정성을 나타내어 노화억제의 효과가 시사되었다. 이들 한외여과 투석액 분획의 저분자 물질은 칡뿌리의 isoflavonoid로 알려진 puerarin, deidzein 및 deidzin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모델 시스템을 이용한 제조 조건이 단무지의 색도 및 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cess Conditions on the Color and Firmness of Salted Radish Root (Danmooji) at Model System)

  • 구경형;박완수;이경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477-1484
    • /
    • 2005
  • 단무지 조미액 성분이 단무지 품질에 미치는 영향 조사와 단무지 조미액의 pH($X_1$), 열처리 조건($X_2$)의 영향 및 저장온도와 기간별 단무지의 색도 및 조직감 변화를 조사하였다. 개별 단무지 조미액 성분이 단무지의 색도 및 경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증류수 침지군을 기준으로 AD9(acetic acid) 침지군을 제외하고 AD3(polyphosphate), AD5(citric acid), AD2(malic acid)은 색도 변화와 단무지 연화를 지연시켰다. 반면에, AD1(potasium sorbate), AD7(succinic acid), AD8(MSG), AD6(saccharin) 처리구는 색도 변화와 경도 감소를 가속화시켰다. 또 단무지 조미액과 열처 리 조건의 영향은 중심 합성 계획 (central composite design)과 반응표면 분석법(response surface analysi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의 상관 정도를 나타내는 $R^2$값이 종속변수 경도 값을 제외하고 0.8이상이었으며, 특히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0.899을 나타내었다. 각 개별 독립변수와 교차 분석 결과 독립 변수인 $X_1$(pH)과 $X_2$(가열시간)모두 단무지의 색도와 조직감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또 저장 온도의 경우, $40^{\circ}C$에서 저장한 단무지의 색도가 다른 온도에 저장한 시료에 비하여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급속한 색도 변화와 연화가 진행되었다.

박피마늘 뿌리부분을 이용한 Oleoresin의 제조 및 저장조건 (Preparation and Storage Conditions of Oleoresin from Root Portion of Peeled Garlic)

  • 김상균;차보숙;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21-1326
    • /
    • 1998
  • 박피마늘 제조과정 중 폐기되는 마늘 뿌리부위의 이용을 위해 oleoresin의 제조 및 저장 조건을 검토하였다. 여러 가지 용매를 사용하여 $30{\sim}50^{\circ}C$에서 추출하였을 때 ethanol과 methanol이 $27{\sim}37%$의 높은 고형분 수율을 보여주었고 추출시간은 2시간이 적절하였다. 진공 또는 질소충진 조건에서 저장하였을 때 공기존재하에서 저장한 것보다 pH와 총산도, 색, thiosulfinate의 변화가 현저히 적었다. Thiosulfinate의 함량은 저장중 모든 저장조건에서 감소함을 보였다. 질소충진하에서 저장 중 glucose와 sucrose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유기산은 감소하였다. Oleoresin에 ascorbic acid와 cysteine의 첨가는 저장 중 마늘향기를 보존하는데 유익하였다.

  • PDF

오미자첨가 연근정과의 제조와 저장중 품질 변화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Jeonggwa Admixed with Omija (the Medicinal Herb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during Storage)

  • 권후자;최미애;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7-465
    • /
    • 2010
  •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가진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하여 맛과 색상이 우수한 정과를 개발할 목적으로 연근 정과를 제조한 후 $25^{\circ}C$에 12주간 저장하면서 종합적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근 정과의 pH와 산도는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낮고 산도가 높았다. 저장초기의 수분함량은 약 8%였으며, 저장 2주까지 수분함량이 14-17%까지 증가한 후, 저장말기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오미자 첨가구보다 수분함량이 낮았다. 연근 정과의 총균수는 저장 초기에 2.4~3.2 log CFU/g이었으며 저장 말기까지 4 log CFU/g에 미달되었으며 오미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와 효모 곰팡이수는 낮은 균수를 유지하여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연근 정과의 저장중 색상은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모두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색도를 유지하였다(p<0.001). 연근 정과의 저장중 물성은 저장초기에 오미자 첨가농도에 따른 차이가 컸으나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각 시료간의 물성 차이가 감소하였으며,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견고성(hardness)과 강도(strength)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연근 정과의 저장중 기호도는 색상(color), 단맛(sweet taste), 신맛(sour taste), 씹힘성(chewiness), 뒷맛(after taste)과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에서 2~4%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어, 연근 정과 제조시에 오미자의 최적 첨가농도는 2~4%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식용 고구마 신품종 '풍원미' (A New Sweetpotato Variety for Table Use, 'Pungwonmi')

  • 이형운;이준설;정미남;한선경;김재명;양정욱;안승현;남상식;송연상;문진영;최규환;신현만;임상현;최인후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20-427
    • /
    • 2017
  • '풍원미'는 육색이 담주황색이면서 식미, 괴근의 상품성이 우수한 계통을 육성할 목적으로 2006년에 표피색이 홍색, 괴근 모양이 방추형인 '베니사쯔마(IT232278)'를 모본, 육색이 농주 황색인 'Luby3074(IT232216)'를 부본으로 하여 인공교배 하였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실생개체선발시험과 계통선발시험,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생산력검정시험을 수행하여 괴근 육색이 담주황색이고 괴근 모양, 수량성, 식미가 양호한 'MI2006-99-04' 계통을 '목포84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여 지역적응시험에 공시하였다.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수행한 결과, 수량성, 품질특성, 병해충저항성 등이 대비품종인 '율미'보다 우수하여 2014년 12월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 정심의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되었으며 '풍원미'라 명명하였다. '풍원미'의 줄기색과 엽색, 마디색, 잎자루색은 모두 녹색이며 잎 모양은 심장형이다. '풍원미' 괴근의 껍질색은 홍색, 육색은 담주황색이고 괴근 모양은 방추형이다. '풍원미'는 덩굴쪼김병에 중도저항성이며 고구마뿌리혹선충에 저항성이다. '풍원미' 괴근의 건물률은 31.2%로 '율미'와 비슷하였고 찐고구마 육질은 중간질이다. '풍원미'의 찐고구마 당도는 $25.5^{\circ}Brix$이고, 생고구마와 찐고구마의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8.3 g/100g DW, 31.6 g/100g DW이며 '풍원미'의 찐고구마 감미도는 16.5으로 '율미'보다 단맛이 강하고 식미가 우수하다. '풍원미' 괴근의 베타카로틴 함량은 9.1 mg/100g DW이며 전분의 호화개시온도는 $69.6^{\circ}C$로 '율미'보다 낮은 온도에서 호화되었다. '풍원미'는 조기재배시 상품괴근수량이 24.3 MT/ha으로 '율미'보다 46% 많았다. 적기 및 만기재배시 주당상품괴근수는 2.8 개/주, 상품괴근평균중은 156 g이었으며 상품괴근수량이 24.1 MT/ha으로 '율미'보다 26% 많았다(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6428호, 2017. 01. 16).

Diagnosis of Phythopthora sp. and Its Concentration by Potato Slices in Series Culture Soils.

  • Lee, Jung-Sup;Park, Jong-Hwan;Han, Kyeong-Suk;Park, Young-Mun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29.2-130
    • /
    • 2003
  • Tomato soil pathogens(Phythopthora spp.) analyed high rates in series culture soil and existed in culture parts. To make a diagnosis of Phythopthora sp. and Its concentration, potato slices were manufactured to a round shape(2.5cm) or retangular form(1x4cm). and then, The potato slices dipped into diagnostic reagents with an antibiotic substance for 2∼4hours. Potato slices treated with a few reagents varied into 15cm depths in innoculated soils for 24hrs. Mycelium of the Phytophthora root rot fungus, Phythopthora capsici, were produced easily on potato slice. We collected many potato slice samples on diseased fields in various area. After storage of 24hrs in 20$^{\circ}C$ incubator, White mycelium of Phythopthora sp. formed on potato slice surface. Dilute concentrations of Phythopthora sp. was detected very low contents(1${\times}$10$^1$sporangia/g). But expressing Phythopthora root rots on potato slice did not developed larger lesions upon storage time in room tempera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potato slice in a series of soil cultural system may still serve as efficient means of diagnosis of Phythopthora root rots in the absence of control measures.

  • PDF

Identification of WAT1-like genes in Panax ginseng and functional analysis in secondary growth

  • Hong, Jeongeui;Ryu, Hojin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171-177
    • /
    • 2022
  • The precise homeostatic regulation of local auxin accumulation in xylem precursors of cambium stem cell tissu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chanisms for plant vascular patterning and radial secondary growth. Walls are thin (WAT1), a novel intracellular auxin transporter, contributes directly to the auxin accumulation maxima in xylem precursors. According to recent research, the auxin signaling activated pathway-related gene network was significantly enriched during the secondary growth of Panax ginseng storage roots. These imply that during P. ginseng root secondary growth, specific signaling mechanisms for local auxin maxima in the vascular cambial cells are probably triggered. This study identified four WAT1-like genes, PgWAT1-1/-2 and PgWAT2-1/-2, in the P. ginseng genome. Their expression levels were greatly increased in nitratetreated storage roots stimulated for secondary root growth. PgWAT1-1 and PgWAT2-1 were similar to WAT1 from Arabidopsis and tomato plants in terms of their subcellular localization at a tonoplast and predicted transmembrane topology. We discovered that overexpression of PgWAT1-1 and PgWAT2-1 was sufficient to compensate for the secondary growth defects observed in slwat1-copi loss of function tomato mutants. This critical information from the PgWAT1-1 and PgWAT2-1 genes can potentially be used in future P. ginseng genetic engineering and breeding for increased crop y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