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age of rice

검색결과 867건 처리시간 0.027초

Rancid Rice Bran Affects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in Finishing Pigs

  • Chae, B.J.;Lee, S.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94-101
    • /
    • 2002
  •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feeding value of rancid rice bran in finishing pigs. In exp. 1, fresh (FRB), rancid (RRB), pelleted and extruded rice bran were used to determine stability and nutrient digestibility. The free fatty acid (FFA) values of FRB and RRB were 8.2 and 15.3%, respectively. Some of the FRB was pelleted ($70^{\circ}C$) or extruded ($110^{\circ}C$). In exp. 2, a total of 48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51.12{\times}0.5kg$) were employed for a 56-d feeding trial with 3 treatments: Control (defatted rice bran+animal fat), 20% FRB (8.2% FFA), and 20% RRB (15.6% FF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FFA% between raw and pelleted, and extruded rice bran on d 10 after storage. On d 30 the extruded rice bran showed lower (p<0.05) FFA% than the pelleted one.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higher (p<0.05) in processed rice brans (pelleted or extruded) than raw rice bran (FRB or RRB). Energy and protein digestibilities in extruded rice bran were higher (p<0.05) than those in raw rice brans. The digestibilities of isoleucine, leucine and phenylalanine were lower (p<0.05) in RRB than FRB. Pigs fed diets containing FRB grew faster (p<0.05) and showed better feed conversion ratio (p<0.05) than those fed diets containing defatted rice bran or RRB. Carcass characteristics including dressing percentage and backfat thickness were not affected (p>0.05) by dietary treatments. With increasing storage time, the raw pork from RRB showed higher (p<0.05)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and peroxide value (POV) than those from FRB when stored at $1^{\circ}C$ for 3 weeks. Cooked pork showed rapid increase in TBARS and POV as compared to raw pork regardless of rice bran rancidity. As the storage time passed, Lightness (L) was lower (p<0.05) in RRB than FRB. Redness (a) was higher (p<0.05) in control than rice bran groups when stored 2-3 week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in redness (a) between the two rice bran groups. In conclusion, feeding rancid rice bran gave negative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in finishing pigs.

소금으로 팽화시킨 유과바탕 및 쌀엿강정용 팽화쌀의 저장 중 품질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Yukwa base and Popped rice for Salyeotgangjung popped with salt during storage)

  • 임경려;이경희;곽은정;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62-467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qualities and extend the shelf life of Yukwa and Salyeotgangjung, traditional Korean cookies, using fine hot salt instead of oil as the popping medium. The Yukwa and Salyeotgangjung that had been popped using fine salt were stored at 25\ulcornerfor one or two months, and then compared their sensory evaluation, lipid contents and acid and peroxide values with those popped in oil. In the sensory test, the Yukwa base and popped rice expanded in the salts and stored for one month were preferred to those expanded in oil with regard to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ith respect to the whiteness, off-flavor, and crispness, these properties those expanded in salt had stronger whiteness and crispness but a weaker off-flavor compared to those expanded in oil. The lipid contents of the Yukwa base and popped rice expanded in oil were 37.73 and 49.65%, respectiv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ose expanded in salts (0.10 and 0.53%, respectively). The acid and peroxide values were larger in those expanded oil than in salts after 8 weeks storage. In view of the above results, the conclusion was reached that the Yukwa base and popped rice expanded in salts were less likely to provide a calorie intake and to become rancid over a long storage time.

말티톨 첨가 구운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ked Rice Cake Added with Maltitol)

  • 김희정;유선미;한혜민;박보람;한귀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68-1074
    • /
    • 2014
  • 구운떡 제조 시 설탕과 식용유의 말티톨 대체에 따른 품질 특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말티톨 첨가 비율별 구운떡의 물성, 색도 및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말티톨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26.80에서 20.92로 감소하였고, 부착성은 증가하여 부드럽고 찰기 있게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명도는 말티톨 5%군이 가장 높았으며 말티톨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대조군에 비해 말티톨군의 적색도는 증가하였고 황색도는 감소하여 ${\Delta}E$값에서 뚜렷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말티톨군이 외관, 촉촉함, 쫄깃함, 경도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말티톨 10%군에서 높았다. 대조군과 말티톨 10% 첨가군을 실온 저장하면서 색도와 물성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저장기간에 따른 색도의 변화(${\Delta}E$값)는 저장 1일차 대조군 2.51, 말티톨군 1.77로 대조군이 더 컸으나 2일차부터는 말티톨군의 차이가 더 컸다. 저장기간 중 물성의 경우 대조군은 1일차까지만 측정 가능하였으나 말티톨군은 3일째에도 측정 가능하였고, 경도의 경우 대조군은 1일차에 두 배 가량 증가하였으나 말티톨군은 저장 0일 20.92에서 저장 3일 28.97로 완만하게 증가하였다. Avrami kinetics에 적용한 결과는 Avrami 지수(n)에서 대조군 2.418, 말티톨군 2.098로 말티톨군이 낮게 나타났고, 시간상수(1/k)는 대조군 43.860, 말티톨군 60.976으로 말티톨군이 높게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말티톨 10% 대체 첨가에 의한 노화 지연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 구운떡 제조 시 말티톨 10% 첨가는 물성, 색도, 관능적인 품질 및 저장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볶음조건을 달리한 타락죽의 저장 시 품질의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rakjuk (milk-rice porridge) with different Roasting Condition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이귀주;김정은;김소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2-351
    • /
    • 2004
  • 볶음 온도와 시간을 달리한 멥쌀가루와 이들로부터 제조한 타락죽의 화학 조성, in vitro 전분 분해율 (IVSD)과 in vitro 단백질 분해율(IVPD)을 측정하였다. 또한 볶음조건을 달리한 타락죽의 냉장 저장중 pH, 점도, IVSD 그리고 IVPD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멥쌀가루의 단백질 함량은 볶음 조건에 따라서 건물당 6.52∼7.13%이었으며, 타락죽의 단백질과 Ca 함량은 각각 3.74∼4.0%, 1,278.36∼l,340.87 ppm이었다. 멥쌀가루를 145$^{\circ}C$와 1$65^{\circ}C$에서 볶음 시 IVSD는 대조구에 비해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85$^{\circ}C$에서는 증가하였다. 반면 IVPD는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한 반면, 185$^{\circ}C$에서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멥쌀가루의 볶음 조건은 이로부터 제조한 타락죽의 pH, 점도, IVSD 그리고 IVPD와 같은 품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볶음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서 타락죽의 pH와 점도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IVSD와 IVPD는 일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볶음조건을 달리한 타락죽의 냉장 저장 중 품질 특성의 변화를 보면 볶음 조건을 달리한 타락죽의 pH는 대조구를 제외하고 저장 7일까지는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며, 저장 14일에는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pH 6.11∼6.17을 나타내었다. 한편 점도는 저장일수 가 증가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저장 14 일에는 1,075∼4,774 cp를 나타내었다. 타락죽의 IVSD는 일반적으로 저장 4일까지는 감소하였으며, 이후 다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저장14일에는 139.65∼178.34mg maltose/g을 나타내었다. 반면 IVPD는 저장 7일에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88.01∼89.28%를 나타내었으나, 저장 14일에는 더 이상의 유의적인 증가는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은 타락죽을 제품화하는데 있어서 영양적인 목적에 따라서 멥쌀가루의 볶음과 타락죽의 저장을 위한 적합한 조건이 추천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주기적(週期的) 반복하중(反復荷重)을 받는 벼의 복소탄성율(複素彈性率) (Complex Modulus of Rough Rice Kernel under Cyclic Loading)

  • 김만수;박종민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6권3호
    • /
    • pp.263-271
    • /
    • 1991
  • When grains is subjected to oscillating load, the dynamic viscoelastic behavior of the material will be describe the complex modulus of the material. The complex modulus and therefore the storage modulus, the loss modulus, and the phase angle for the sample should be obtainable with a given static viscoelastic property of the material under static load. The complex relaxation moduli of the rough rice kernel were computed from the Burger's model describing creep behavior of the material which were obtained in the previous study. Also, the effects of cyclic load and moisture content of grain on the dynamic viscoelastic behavior of the samples were analized. The storage modulus of the rough rice kernel slightly increased with the frequency applied but at above the frequency of 0.1 Hz it was nearly constant with the frequency, and the loss modulus of the sample very rapidly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frequency on those frequency ranges. It was shown that the storage modulus and the loss modulus of the sample increased with decrease in grain moisture content. Effect of grain moisture content on the storage modulus of the sample was highly significant than effect of the frequency applied, but effect of the frequency on the loss modulus of the sample was more significant than effect of grain moisture content.

  • PDF

떫은 감 농축액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uck by the Addition of Astringency Persimmon Paste)

  • 홍진숙;김명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60-370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ud the optimum addition mont of astringency persimmon paste to rice flour in the preparation of Gamsulgiduck (persimmon rice cake). The moisture content of Gamsulgiduck with added astringency persimmon paste was $42\~45\%$. With increasing addition of astringency persimmon paste, the L-value was decreased. The a- and b-values were the highest at the $15\%\;and\;10\%$ levels, respectively. In the mechanical evaluation of Gamsulgiduck the hardness was the lowest at the $20\%$ astringency persimmon paste-sulgiduck during storage. The adhesiveness and cohesiven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the addition of astringency persimmon paste for storage period. The springiness was the highest at the $0\%$ level except for 2days of storage. The gumminess was the lowest at the $20\%$ level and the brittleness was the highest at the $0\%$ level during storag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Gamsulgiduck the acceptance of the softness and chewiness characteristics was the best at the 15% level. Gamsulgiduck with the addition of $15\%$ of astringency persimmon paste to rice flour was found to be the best recipe in terms of the sensory qualities of soft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현미의 포장 저장 중 지방산 조성 및 헥사날의 변화에 의한 저장성 예측 (Shelf-life Prediction of Brown Rice in Laminated Pouch by n-Hexanal and Fatty Acids During Storage)

  • 한재경;김관;강길진;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97-903
    • /
    • 1996
  • 현미를 투습, 투기성이 없는 플라스틱 필름 적층 4겹 포장재에 넣고 저장 온도와 기간을 달리하면서 지방산의 산화와 헥사날에 의한 저장성을 예측하였다. 지방산도는 저장온도가 상승하고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높아졌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14.7 kcal/mole이고, $Q_{10}$값은 2.22였다. 현미의 지방질 구성 지방산은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이고 oleic acid와 linolenic acid가 대부분이었으며, 저장 온도가 상승하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linoleic acid는 감소하였으나 oleic acid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eadspace 기체 중의 헥사날도 저장 온도, 저장 기간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18.36 kcal/mole이고 $Q_{10}$값은 2.84이었다. 또한, 현미의 저장 중 헥사날의 생성은 linoleic acid의 산화와 비례적인 관계를 보였다. 본 실험의 조건에서 볼 때, 실온$(21^{\circ}C)$에서 현미의 저장성은 헥사날에 의해 80일, 지방산도에 의하여 60일로 예측되었다.

  • PDF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꽃게풍미 볶음밥의 품질변화 (Changes in quality of fried rice with crab meat depending on the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 정지희;임지훈;김동수;김영명;김병목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6-43
    • /
    • 2015
  • 꽃게 조미소재, 야채, 천연조미료 등을 활용하면서, 편의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꽃게풍미 볶음밥을 제조하였다. 꽃게풍미 볶음밥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20, 4, $25^{\circ}C$에서 6주 동안 저장하면서 pH, 산도, 총균수, TBA, VBN,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총균수 결과를 활용하여 볶음밥의 유통 기한을 예측하였다. pH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circ}C$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pH는 7.74이었고 저장 6주에는 pH 7.76으로 나타나 저장 중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를 조사한 결과, $-20^{\circ}C$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에 0.4%이었고 저장 6주에는 0.4%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반면, $4^{\circ}C$$25^{\circ}C$의 저장 6주에는 각각 2.7%, 4.6%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TBA 값을 측정한 결과, $-20^{\circ}C$에 저장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1.07{\mu}g/g$이었고, 저장 6주까지 $1.39{\mu}g/g$으로 나타나 저장 중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휘발성염기질소를 조사한 결과, $-20^{\circ}C$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에 26.60 mg%이었고, 저장 6주에는 28.14 mg%로 나타나 신선도가 유지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4^{\circ}C$$25^{\circ}C$의 저장 6주에는 각각 65.15 mg%, 68.00 mg% 수준으로 나타났다. 총균수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20^{\circ}C$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저장 0주째 3.58 log CFU/g이었고 저장 6주째에는 4.11 log CFU/g으로 나타나 미생물변화는 안정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관능적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20^{\circ}C$에 저장된 볶음밥의 경우 종합적 기호도의 변화를 보았을 때, 저장초기 7.8이었고 6주째에는 6.7으로 나타나 저장 기간 동안 처리구 중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25^{\circ}C$의 경우 저장초기 7.5이었으나, 저장 6주째 1.0 수준의 평가를 받아 저장온도 및 저장기간 동안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미생물 결과를 토대로 볶음밥의 유통기한을 예측한 결과, $-20^{\circ}C$에 저장할 경우 14.9주, $4^{\circ}C$에서 저장할 경우 0.4주 인 것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꽃게풍미 볶음밥은 $-20^{\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인 측면에서 저장성이 좋을 것으로 사료되었고, 편의식품화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낮고 반복된 저장 온도의 밥솥에서 밥의 색 및 미생물 성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Lowered and Cycled Storage Temperature of Rice Cooker)

  • 나혜정;류동걸;이윤기;오용택;안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958-963
    • /
    • 2009
  • 보온 밥솥에서 보관 중인 밥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기존의 밥솥보온 온도인 $75^{\circ}C$에 비하여 $45{\sim}65^{\circ}C$로 반복 순환시켜 낮게 유지시켰다. 이렇게 낮게 유지시켰을 때 미생물의 오염, 밥의 변색, 환원당의 생성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B. cereus와 B. subtilis는 $45{\sim}65^{\circ}C$$75^{\circ}C$에서 모두 사멸되었다. E. coli는 $75^{\circ}C$에서는 약간의 colony forming unit의 증가가 있었으나 $45{\sim}65^{\circ}C$ 반복 순환 온도에서는 증식이 거의 없었다. CIE 변수인 황변도(${\Delta}b$) 값의 변화는 3일간의 저장에서 $45{\sim}65^{\circ}C$에서는 2.18이 $75^{\circ}C$에서는 9.12 증가 되었다. 환원당의 경우 미생물의 증식이 없었던 $45{\sim}65^{\circ}C$$75^{\circ}C$에서 모두 생성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밥의 $45{\sim}65^{\circ}C$에서 저장은 기존의 $75^{\circ}C$에 비하여 미생물의 증식을 막고, 3일간의 저장에서 4.2배의 갈변을 감소시켜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데 우수하였다.

UV-C 및 전자선 조사가 막걸리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V-C and Electron Beam Irradiation of on the Quality of Rice Wine (Makgeolli))

  • 김현주;이경행;용해인;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1
    • /
    • 2013
  • UV-C 및 전자선 조사에 의한 막걸리의 품질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생막걸리를 UV-C 및 전자선 조사하고 $4^{\circ}C$에서 15일간 저장하여 이에 따른 품질 변화를 측정하였다. UV-C 및 전자선 조사에 의한 미생물 분석 결과, 전자선 조사가 UV-C 조사보다 막걸리 내 미생물을 제어하는 데 더 효과적인 기술로 확인되었다. UV-C 또는 전자선 및 저장기간에 따라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도 측정 결과, 저장기간에 따라 UV-C 및 전자선 조사군이 대조군보다 산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명도의 경우 UV-C 및 전자선에 의해 그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적색도는 전자선 처리군이 다른 처리군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변화는 일관적이게 나타나지 않았다. 황색도는 UV-C 및 전자선 조사에 따른 변화는 일관적이지 않았으나 저장기간에 따라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 함량 측정 결과 저장 초기 UV-C 및 전자선 조사에 의해 함량이 높았으나, 저장기간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빨리 감소하였다. 따라서, 전자선 조사가 UV-C 조사보다 막걸리 내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막걸리에의 UV-C 또는 전자선 조사로 인해 발생되는 품질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및 UV-C 또는 전자선 조사에 의한 화학적 특성 변화의 규명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