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rage function model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6초

홍수예보를 위한 통합저류함수모형의 퍼지제어 (I) - 이론 및 모형의 수립 - (Integrated Storage Function Model with Fuzzy Control for Flood Forecasting (I) - Theory and Proposal of Model -)

  • 이정규;김한섭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6호
    • /
    • pp.689-699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홍수유출의 해석·예측을 위한 홍수추적 모형으로서 현재 국내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저류함수모형을 개선하였다. 유출 해석의 정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인 매개변수 산정에 최적화기법을 도입하여 기존의 경험식 등에 의한 매개변수 결정의 비객관성을 개선하였으며, 결정된 매개변수들을 시변성으로 취급하고 이의 실시간 자동보정에 퍼지제어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유역의 변동 특성에 적절히 대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홍수유출 해석시 가장 까다로운 문제점 중의 하나인 잔유역 유입량의 처리를 위하여 유역모형과 하도모형을 하나의 단일모형으로 하는 통합저류함수모형을 제안하였다.

  • PDF

낙동강의 실시간 홍수예측을 위한 통계적 모형구축 (The Statistical Model Construction for Real-Time Flood Forecationg in Nak-Dong River)

  • 최한규;구본수;최영수
    • 산업기술연구
    • /
    • 제18권
    • /
    • pp.51-59
    • /
    • 1998
  • To flood forecastion, until now, Storage function method,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and HEC-1 model have been analysed generally in various definite simulation. Generally, Streamflow Synthesis and Reservoir Regulation and HEC-1 model are more delicacy and more excellent model than Storage function method in physically. But the resource huge for test of models. On the contrary, Storage function method has not only a few model various and data for decision but also has poor theory background in model excessively simpled water circulation about a basin. In this reason, this study is purpose to develop a statistical flood forecasting model that can forecast with accuracy variety of water height to Nak-Dong river vibration spots in flood with accumulated water resource.

  • PDF

Tank Model을 이용한 산지토사재해 경계피난 기준우량 산정법 개발 및 검토 (Development and Verifying of Calculation Method of Standard Rainfall on Warning and Evacuation for Forest Soil Sediment Disaster in Mountainous Area by Using Tank Model)

  • 이창우;윤호중;우충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3호
    • /
    • pp.272-278
    • /
    • 2009
  • 산지토사재해 발생시기 예측정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산지토사재해 기준우량 산정방법에 대해 수문모형인 Tank 모델의 적용수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과 저류관수법에 의한 결과의 비교 검토로 향후 적용가능성도 검토하였다. 산사태 발생시기 기록이 있는 36개의 산사태를 대상으로 저류관수법과 개발된 Tank 모델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여 재해발생시기와 최대저류량과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 퇴적암 4기의 경우 Tank 모델에 의한 산사태 발생 예측시기는 1.6시간의 차이를 보였으나, 저류관수법에서는 3.2시간 차이를 보였다. 또한, 최대저류량의 편차가 Tank 모델의 경우 7%에 불과하나, 저류관수법의 경우 63%의 큰 편차를 보였다. 산사태 발생강우를 대상으로 최대저류량 값들 중 가장 작은 값을 위험기준우량으로 설정하여 대상지역의 5년간(1993~1997) 실제 강우량을 적용한 결과, Tank 모델에 의한 피난대기시간이 저류관수법보다 약 2배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Tank 모델에 의한 산지토사재해 위험기준우량 산정이 저류관수법보다 정도 및 실용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여 향후 충분히 활용 가능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비선형 저수지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의 저류효과 평가 (Evaluation of Reservoir Storage Effect Using Non-linear Reservoir Model)

  • 유철상;전창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5호
    • /
    • pp.407-41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의 저류량-유출량 관계를 비선형 저수지 모형으로 표현하고, 이를 근거로 저수지의 저류특성을 이론적으로 정량화하였다. 비선형 모형으로는 지수함수, 로그함수 및 멱함수 형태를 고려하였으며, 이 중 저류량-유출량 간의 관계를 지수함수로 표현한 경우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안된 모형은 충주댐 및 소양강댐에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로 충주댐의 홍수기 저류효과는 약23시간, 소양강댐의 홍수기 저류효과는 약 43시간 정도로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록 댐의 규모 및 총 저수용량은 비슷하지만 유역면적 및 유입량에 비해 댐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충주댐이 소양강 댐에 비해 충분한 저류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작업처리능력 제약하에서 자동창고 건설비용 최소화를 위한 연구 (A Solution Procedure for Minimizing AS/RS Construction Costs under Throughput Rate Requirement Constraint)

  • 나윤균;이동하;오근태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45
    • /
    • 2002
  • An AS/RS construction cost minimization model under throughput rate requirement constraint has been developed, whose objective function includes S/R machine cost, storage rack cost, and interrace conveyor cost. S/R machine cost is a function of the storage rack height, the unit load weight, and the control logic used by the system, while storage rack cost is a function of the storage rack height, the weight and the volume of the unit load. Since the model is a nonlinear integer programming problem which is very hard to solve exactly with large problem size, a solution procedure is developed to determine the height and the length of the storage rack with a fixed number of S/R machines, while increasing the number of S/R machines one by one to meet the throughput rate requirement.

자동창고 설계를 위한 최적화 모델 및 해법에 관한 연구 (A Solution Procedure for Designing Automated Storage/Retrieval Systems)

  • 나윤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8권34호
    • /
    • pp.9-14
    • /
    • 1995
  • A cost minimization model for designing AS/RS (Automated Storage/Retrieval Systtems) has been developed under the S/R (Storage/Retrieval) machine throughput rate and total storage capacity requirements. The objective function includes S/R machine cost storage rack cost, and interface conveyor cost. Since the model is a nonlinear integer programming problem which is very hard to solve with large problem size, the model is simplified using previous research results to be solved exactly and a simultion procedure is combined to verify that throughput rate requirements are satisfied.

  • PDF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장·단기 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 (Parameter Optimization of Long and Short Term Runoff Models Using Genetic Algorithm)

  • 김선주;지용근;김필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41-52
    • /
    • 2004
  • In this study, parameters of long and short term runoff model were optimized using genetic algorithm as a basic research for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a watershed. In case of Korea where drought and flood occurr frequently, the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s necessary to minimize possible damage of drought and flood. Modified TANK model was optimized as a long term runoff model and storage-function model was optimized as a short term runoff model. Besides distinguished parameters were applied to modified TANK model for supplementing defect that the model estimates less runoff in the storm period. As a result of application, simulated long and short term runoff results showed 7% and 5% improvement compared with before optimized on the average. In case of modified TANK model using distinguished parameters, the simulated runoff after optimized showed more interrelationship than before optimized. Therefore, modified TANK model can be applied for the long term water balance as an integrated water management in a watershed. In case of storage-function model, simulated runoff in the storm period showed high interrelationship with observed one. These optimized models can be applied for the runoff analysis of watershed.

메타모델을 이용한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추정 (Parameter Estimation of Storage Function Method using Metamodel)

  • 정건희;오진아;김태균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81-87
    • /
    • 2010
  • 유역에서의 정확한 유출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강우-유출현상의 비선형성을 고려해야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강우-유출모형이 선형성을 가정하고 있거나 해석하기가 복잡하여, 비선형성을 고려하면서도 비교적 간단히 계산이 가능한 저류함수법을 유출계산에 이용해오고 있다. 저류함수법은 강수특성과 유역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5개의 매개변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주로 유역별로 개발된 회귀식이나 유전자 알고리즘 등 최적화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하나, 그 정확한 산정이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인공 신경망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Metamodel을 이용하여 매개변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두 단계로 나누어지는데, 첫 번째 단계에서는 기존의 강우-유출관계를 인공신경망에 입력하여 일대일대응 관계를 규명한 후, 두 번째 단계에서는 훈련된 인공신경망과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강우사상에 대한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를 최적화한다. 제안된 모형은 평창강 유역 21개 강우사상에 적용되어 그 적용성을 입증하였다.

운동파법의 변환에 의한 2항 저류함수법의 적용 (Application of two-term storage function method converted from kinematic wave method)

  • 김창완;제갈선동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12호
    • /
    • pp.1057-1066
    • /
    • 2019
  • 저류함수법은 비선형성을 가지는 실제 강우-유출 관계를 해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우리나라 4개 홍수통제소의 홍수예측모형으로 이용되고 있다. 정확한 유출해석을 위해서는 정확한 저류함수의 매개변수 산정이 중요하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는 제한된 수문사상 분석에 의해 작성된 2012년도 경험식에 의해 추정된 것으로 정확도가 낮은 실정이다. 운동파법은 유역 및 하도의 물리변수에 기초한 방법으로 강우-유출 해석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운동파법의 변환에 의한 2항 저류함수법을 채택하면 물리변수를 기반으로 매개변수를 추정할 수 있어 유출계산의 정확도가 증가할 수 있다. 유역유출에서 중요한 물리변수인 등가조도는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을 이용하여 쉽게 구할 수 있으며, 하도유출의 물리변수는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및 지형도 등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 매개변수의 추정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항 저류함수법의 운동파법 재현성을 검토하였고, 한강권역 홍천강의 지류인 내촌천을 대상으로 2항 저류함수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바, 경험식에 의한 매개변수를 이용한 기존 1항 저류함수법보다 정확한 유출계산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미계측 유역 및 하도에서도 물리변수를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저류함수법의 활용도가 증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형 이산화 입력-출력 모형의 매개변수 결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Parameters of the Linear, Discrete, Input-Output Model)

  • 강주복;강인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93-199
    • /
    • 1993
  • This study has two objectives. One is developing the runoff model for Hoe-Dong Reservoir basin located at the upstream of Su-Young River in Pusan. To develop the runoff model, basic hydrological parameters - curve number to find effective rainfall, and storage coefficient, etc. - should be estimated. In this study, the effective rainfall was calculated by the SCS method, and the storage coefficient used in the Clark watershed routing was cited from the report of P.E.B. The other is the derivation of transfer function for Hoe-Dong Reservoir basin. The linear, discrete, input-output model which contained six parameters was selected, and the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the least square method and the correlation function method, respectively. Throughout this study, rainfall and flood discharge data were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 in 1981.8.22 - 8.23 (typhoon Gladys). It was observed that the Clark watershed routing regenerated the flood hydrograph of typhoon Gladys very well, and this fact showed that the estimated hydrological parameters were relatively correct. Also, the calculated hydrograph by the linear, discrete, input-output model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regenerated hydrograph at Hoe-Dong Dam site, so this model can be applicable to other small urban areas. Key Words : runoff, effective rainfall, SCS method, clark watershed iou상ng, hydrological parameters, parameter estimation, least square method, correlation function method, input-output model, typhoon glad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