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omata.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31초

구상나무 천연집단(天然集団)의 침엽형질(針葉形質) 변이(變異) (The Variation in Needle Characteristics of Natural Population of Abies koreana Wilson)

  • 이강영;김현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9-44
    • /
    • 1982
  • 우리 나라의 지리산(智異山), 덕유산(德裕山), 한라산(漢拏山)에 천연분포(天然分布)되어 있는 구상나무 집단(集團)의 침엽형질변이(針葉形質變異)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집단별(集團別), 집단내(集團內)의 개체별(個體別)로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침엽장(針葉長), 기공열수(氣孔列數)에 있어서는 집단간(集團間)에 1%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집단내(集團內)의 개체간(個體間)에는 형질(形質) 모두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모수(母樹)의 흉고직경(胸高直徑)과 침엽장(針葉長), 침엽폭(針葉幅) 간(間)에 있어서는 집단(集團) 모두 상관(相關)이 없었다. 침엽장(針葉長)과 침엽폭(針葉幅) 간(間)에서 덕유산(德裕山)과 한라산(漢拏山) 집단(集團)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지리산(智異山) 집단(集團)은 상관(相關)이 없었으며 침엽장(針葉長)과 기공열수(氣孔列數) 간(間)에서는 덕유산(德裕山) 집단(集團)이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침엽폭(針葉幅)과 기공열수(氣孔列數) 간(間)에는 집단(集團) 모두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침엽폭(針葉幅)과 거치밀도(鋸齒密度) 그리고 기공열수(氣孔列數)와 거치밀도(鋸齒密度) 간(間)에는 상관(相關)이 없었다. 거치밀도(鋸齒密度)의 변이계수(變異係數)는 다른 형질(形質)에 비(比)해 큰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

고추 고온기 재배 시 차광과 관수가 생육 및 엽육조직 발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hading and Irrigation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Leaves Tissue in Hot Pepper)

  • 이상규;최장선;이준구;장윤아;이희주;채원병;도경란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4호
    • /
    • pp.448-453
    • /
    • 2014
  • 여름철 고온기 비가림고추 재배 시 차광 정도와 관수 유무에 따른 생육과 엽육세포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차광 처리는 뿌리 활착이 완료된 시점인 정식 20일부터 비가림 하우스 내부에 $30{\pm}5%$, $80{\pm}5%$ 차광이 되는 검은색 차광망을 씌워 처리하였고 무차광구를 대조구로 하였다. 관수 처리는 정상적으로 관리한 관수 처리구와 초기 활착까지 관수를 하고 정식 후 25일부터 관수를 하지 않은 무관수 처리구로 하였다. 그 결과, 차광 정도는 30% 차광 처리구에서 초장과 엽면적은 다른 처리에 비해서 높았고, 경경, 생체중 및 건물중은 무차광 처리구에서 좋았다. 관수 유무에 있어서는 관수 처리구가 무관수 처리구에 비해서 생육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확 초기의 수량은 자연광 무관수 처리구에서는 49개로 가장 많았고, 자연광 관수 처리구는 22개 이었으며 30% 차광의 무관수 처리구는 5개, 관수 처리구는 1개이었다. 그러나 80% 처리구에서는 관수유무에 관계없이 착화수가 가장 낮았고 착과가 되지 않고 모두 낙화되었다. 관수유무에 따른 수확량은 관수 처리구가 무관수 처리구에 비해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관수 유무와 차광 처리구 고추의 엽육조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차광정도가 심할수록 엽육의 두께가 얇았으며 엽육조직의 발달도 미약함이 확인되었으나, 관수 유무에 따른 엽육조직의 발달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공을 SEM으로 관찰한 결과, 대조구 대비 30% 차광 시 기공형태는 정상적으로 발달하였으나 기공주위의 조직이 약간 쭈글쭈글한 증상이 보였고, 80% 차광 처리의 잎은 쭈글쭈글함이 심하였고 비정상적인 기공도 많이 보였으며 관수 유무에 따라서는 무관수 처리구의 잎 기공주위 조직이 심하게 쭈글쭈글하고, 기공수도 10-20% 정도 적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여름철 고온기 고추 비가림 재배 시 차광을 하지 않은 것이 수량성과 엽육조직의 발달에 좋았으며, 부득이하게 차광을 할 경우에는 가급적 차광율이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저일조 환경 하에서는 관수를 피하고 보광하면 착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고온기 여름철 비가림 재배 시 적절한 품종 선택, 적절한 환경관리 기술 등 다각적인 면에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natomy and Morphology of Two Hawaiian Endemic Portulaca Species

  • Kim, InSun
    • Applied Microscopy
    • /
    • 제44권2호
    • /
    • pp.41-46
    • /
    • 2014
  • In this study, the vegetative and reproductive morphology and anatomy of two Hawaiian endemic Portulaca species were examined. Specifically, P. molokiniensis and P. sclerocarpa were compared to closely related species in the genus. The comparisons wer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using characteristics of leaves, stems, roots, and fruits. Tissue organizations of vegetative and reproductive parts of the plants were assessed using microtechnique procedures, statistical analysis,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most notable features of these two species were (1) the size and frequency of stomata in P. molokiniensis, and (2) the large number of sclerenchymatous cell layers in the thickest fruit walls of P. sclerocarpa. These findings may imply that stomata development in P. molokiniensis and thick fruit wall development in P. sclerocarpa are evolved features of survival.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hickened walls in indehiscent fruits likely has evolutionary implications of ecological tolerance for better adaptation.

광도와 온도가 인삼엽의 형태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ght Intensity and Temperature o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panax spp. Leaves)

  • 이종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30-39
    • /
    • 1988
  • 1. 일복하의 투광율이 높을수록 엽면적은 감소되고 증산량은 증가되었으며 기공의 수는 차이가 없었으니 기공의 크기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2. 일복하의 투과율을 높일수록 전체엽록소 및 엽록소 a, b의 함량이 감소되었고 a/b율은 증가되었으며 carotenoid 함량도 감소되었는데 최대 광합성을 가져오는 엽록소함량은 온도에 관계없이 6월말 조사에서는 2.1mg이었고 8월말 조사에서는 1.8mg이었다.

  • PDF

오존에 대한 식물 기공 반응고찰 (Stomatal Response by Ozone)

  • 이준상;김병우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0권2호
    • /
    • pp.83-94
    • /
    • 1997
  • Stomatal closing by ozone and water stress could reduce further ozone injury by inhibition of ozone influx to the tissue. Direct effect of ozone on stomata can be explained from two aspects which are a stimulation of stomatal closing and an inhibition of stomatal opening. An increase of $Ca^{2+}$ influx into cytoplasm by ozone could stimulate potassium efflux ion channel and inhibits inward potassium ion channels. By this mechanism ozone could induce stomatal closing. On the other hand, ozone could inhibit stomatal opening by affecting the activity of $H^{+}$ dependent ATPase of the membrane in guard cells. This would inhibit proton efflux which precede stomatal opening. It is also possible that ozone could reduce the activity of photosynthesis in guard cells which lead to affect the production of osmotically active sugars and energy. Indirect effect of ozone to stomata is through the effect of $CO_2$ elevation as a result of damage of the photozynthetic machinery. This indirect effect is slower than the direct effect.

  • PDF

환경조건에 대해 기공의 반응이 상이한 두 종의 포플라 생장에 미치는 고농도 CO$_{2}$의 영향 (Effect of CO$_{2}$Enrichment on Growth of two Poplar Clones, I-214 (Populus euramericana) and Peace (P. koreana $\times$ P. trichocarpa))

  • Park, shin-Young;Akio Furukawa;Tsumugu Totsuka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2호
    • /
    • pp.255-263
    • /
    • 1995
  • Two poplar clones, I-214 (Populus euramericana) and Peace (P. Koreana × P. trichocarpa), were grown for 21 days in growth chambers at different CO₂concentrations (350, 700 and 2,000 μL·L-1). I-214 has stomata responding to environmental conditions in normal ways and Peace has unresponsive stomata to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light, ABA, water stress and CO₂. In both plants, elevated CO₂ stmulated the growth of plant parts, especially leaf dry weight. And a CO₂ enrichment of 700 μL·L-1 CO₂ caused increment of net assimilation rate (NAR). The growth responses of these plants to CO₂ enrichment were different especially at high CO₂ condition (2,000 μL·L-1 CO₂). The total dry weight in Peace increased up to 2,000 μL·L-1 CO₂ but not in I-214. A CO₂ enrichment of 2,000 2,000 μL·L-1 CO₂ had little effect on NAR of I-214 but enhanced NAR of Peace. Although it is uncertain whether the different responses to CO₂ enrichment between I-214 and Peace resulted from the different properties of stomatal responses to long-term CO₂ treatment, the decrease in NAR is probably due in part to CO₂-induced stomatal closure in I-214 but not in Peace.

  • PDF

한국산(韓國産) 운향과(芸香科)의 계통분류학적(系統分類學的) 연구(硏究)(I) - 엽맥(葉脈)과 기공형태(氣孔形態)를 중심(中心)으로 - (A Systematic Study of Korean Rutaceae(I) - Mainly Treated with Venation and Stomatal Type -)

  • 이정환;김삼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3호
    • /
    • pp.260-270
    • /
    • 1993
  • 본(本) 연구(硏究)는 운향과(芸香科) 식물 8속(屬) 15종류(種類)의 엽맥상(葉脈相)과 기공의 형태를 중심으로 종(種) 및 속(屬) 간(間)의 유연(類緣)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운향과(芸香科)의 엽맥형태는 환주맥(環走脈)과 반연주맥(半緣走脈) 및 방사상곡주맥(放射狀曲走脈) 등(等) 3개유형(個類型)으로 구분되었고, 초피나무 아과(亞科)에 포함되던 쥐나무속(屬)이 황벽나무속(屬)과 같은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을 갖는것이 특징(特徵)이었다. 엽맥상(葉脈相)에 의한 진화(進化)는 환주맥(環走脈)의 감귤아과(亞科)에서 반연주맥(半緣走脈)의 초피나무아과(亞科)를 거쳐 황벽나무와 쥐나무의 방사상(放射狀) 곡주맥(曲走脈)으로 진화(進化)한것으로 나타났다. 운향과(芸香科)의 기공형태(氣孔形態)는 불규칙형(不規則形)(Anomocytic type)과 고리형 (Actinocytic type) 으로 나누어 지고, 표피세포(表皮細胞)의 모양도 파상형(波狀形)과 장방형(長方形) 및 중간형(中間形)으로 구분되었으며, 기공((氣孔)의 크기와 밀도간(密度間)에는 1% 수준(水準)에서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 PDF

소맥엽신의 기공운동과 환경조건과의 관계 III. 토양수분 및 도복이 소맥엽신의 기공개도에 미치는 영향 (Stomatal Movement and 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to Stomata in the Wheat III. Effect of Soil Water Potential and Lodging on the Stomatal Aperture in Wheat)

  • 남윤일;하용웅;박무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38
    • /
    • 1985
  • 토양수분, 질소시비량 및 도복의 발생 유무가 소맥엽신의 기공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져 소맥 조광 품종을 공시하여 침윤법으로 개화기에 기공개도의 일중변화를 조사하였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공이 폐공되는 시각은 토양수분 Potential이 낮을수록 빨라졌으며 폐공되는 정도도 컸었다. 2. 기공개도는 하위엽이 상위엽에 비하여 작았고 토양수분 Potential 이 낮을수록 기공개도의 감소정도는 더욱 컸다. 3. 도복된 맥체의 기공개도는 정상 맥체에 비하여 작았는데 그 경향은 토양수분 정도 및 측정시각에 관계없이 동일하였다. 4. 질소 보비구는 소비구에 비하여 기공개도가 큰 일중변화를 하였는데 도복구나 건조구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5. 도복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기공개도는 크게 감소하였는데 도복후 6 일에는 무도복구에 비하여 50%이하의 개도를 보였으며 그 감소정도는 하위엽이 더욱 컸으며 일중에서는 오후에 현저하였다.

  • PDF

은행나무와 곰솔에 처리된 인공산성비에 의한 잎의 형태변화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Foliar Structural of Changes of Ginkgo biloba and Pinus thunbergii)

  • 소웅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79-86
    • /
    • 1995
  • 은행나무와 곰솔의 잎은 pH 3.2 이하의 인공산성비 처리구에서 괴사반점과 황화현상 및 조기노화 현상이 나타났다. 잎표면 구조의 관찰에서 은행나무 잎은 pH 2.4의 처리구에서 잎표면 왁스층의 침식이 심하게 일어난 반면 곰솔의 경우 pH 4.0 이하의 처리구에서 왁스층의 침식이 심하게 일어났다. 은행나무 잎은 pH 3.2 이하에서 표피세포와 해면조직에서 구조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유관속조직은 정상적인 구조를 나타냈다. 엽육세포의 크기는 산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지고 세포간극이 커졌다. 곰솔의 잎은 표피세포보다 엽육조직과 유관속조직의 피해가 현저하였다. 은행나무의 기공의 크기와 모양은 인공산성비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기공지수와 기공의 공극 크기는 높은 산도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인공산성비가 처리된 은행나무와 곰솔 잎의 기공들은 열려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