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irred reactor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초

실리콘 산화막의 플라즈마 식각에 대한 표면반응 모델링 (Surface Reaction Modeling for Plasma Etching of SiO2 Thin Film)

  • 임연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5호
    • /
    • pp.520-52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FC(fluorocarbon) 플라즈마 반응기에서 입사하는 이온에너지에 따른 고분자 증착, 식각과 증착의 경쟁반응 및 물리적 스퍼터링 등의 여러 표면 현상들을 모델링하였다. $SiO_2$ 식각에 대한 표면반응은 식각반응 영역을 잘 혼합된 CSTR(continuous stirred tank reactor) 가정을 도입하여 이온 도움에 의한 식각으로 모사되었다. 정상상태 고분자층을 통한 식각과 증착의 경쟁반응의 모델링은 이온 도움에 의한 고분자 생성 및 분해 메커니즘을 제안하여 수행하였다. 이러한 메커니즘은 최근 발표된 실험 및 분자동력학적 전산모사 결과에 기초하였으며,모델 계수들은 빔실험 결과 및 플라즈마 실험결과들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최종 개발된 모델의 결과들은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문헌에 보고된 실험결과들과 비교하였다.

교반셀에서 측정한 아민첨가 암모니아수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 반응 속도 측정 (Absorption Rate of Carbon Dioxide into Blended Ammonia Solution with Amine Additives in a Stirred Cell Reactor)

  • 박호석;유정균;홍원희;김종남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185-189
    • /
    • 2009
  • 10 wt% 암모니아수 흡수제에서 이산화탄소 흡수속도를 교반셀 반응기를 이용하여 293~337 K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암모니아 흡수제와 이산화탄소의 반응속도를 아레니우스 식으로 나타내었으며 활성화에너지는 50.42 kJ/mol였다. 2-Amino-2-methyl-1-propanol(AMP), 2-amino-2-methyl-1,3-propandiol(AMPD), 2-amino-2-ethyl-1,3-propandiol(AEPD)의 입체장애아민 첨가제가 1 wt% 함유된 흡수제에서의 이산화탄소 흡수속도를 측정하였다. 아민 첨가제들은 흡수속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1 wt%의 AMP를 첨가한 경우 반응속도 상수는 약 53% 증가하였다.

휘발유/에탄올 혼합연료의 자연발화 및 연소배기가스 특성에 관한 수치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Auto-ignition and Combustion Emissions Using Gasoline/Ethanol Surrogates)

  • 이의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1-6
    • /
    • 2016
  • 자동차화재는 매년 5,000건 이상의 사고가 발생되며, 직접적인 피해 뿐 아니라 교통혼잡과 공해물질 배출 등 많은 2차적 손실을 가져온다. 최근에는 자동차 연료로서 휘발유에 에탄올을 섞는 것을 미국 등 여러 나라에서 상용화하고 있는데 이는 기존의 화석연료의 사용을 억제하고 바이오연료의 소비를 촉진시키기 위함이며, 향후 법제화를 통해 이러한 에탄올 함유량을 향후 더 크게 늘릴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에탄올을 혼합한 가솔린 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의 엔진과 후처리 시스템 화재 위험성을 조사하기 위해 PSR로 모델링한 엔진에서 연소특성을 조사하였다. 에탄올 첨가 연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탄올 분율이 증가하면 열적인 화재 가능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NOx와 CO 배출량이 감소하였지만, 미연탄화수소의 배출은 증가됨으로 예측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후처리 장치 중 기존의 삼원촉매의 경우에는 보다 저온이 예측되므로 열적인 화재발생이 감소한다고 예상되지만, 미연탄화수소의 증가로 후처리장치에 고온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화재의 위험성이 증가될 수 있다.

옥수수유로부터의 효소적 glycerolysis에 의한 monoacylglycerol과 diacylglycerol 함유 기능성 유지 합성 및 특성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Mono- and Diacylglycerol Enriched Functional Oil by Enzymatic Glycerolysis of Corn Oil)

  • 박래균;이기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11-216
    • /
    • 2004
  • 회분식 반응기(stirred-tank batch reactor)를 사용한 DAG, MAG 함유 기능성유지를 비용매계(solvent-free system) 조건에서 효소적 반응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48시간 동안 합성된 지질을 HPLC를 사용한 TAG, 1,3-DAG, 1,2-DAG 및 MAG 함량 분석결과 각각 45.05, 16.27, 23.05 및 14.98%로 분석되었으며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의 지방산 조성 분석결과 palmitic, palmitoleic, stearic, oleic, linoleic 및 linolenic acid가 13.21, 0.15, 2.02, 34.36, 49.12 및 1.14 mol%로 분석되었다. 합성된 지질의 ${\alpha},\;{\gamma}$${\delta}-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각각 0.014, 0.029 및 0.010%로 분석되었으며 총 tocopherol 함량은 0.053%로 나타났다. 또한 재구성된 지질을 사용하여 산가, 비누화가, 요오드가를 측정하였으며 융점 및 결정화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옥수수유로 유래된 DAG, MAG를 함유한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의 이화학적, 물리적 특징을 규명하였다.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의 산화 안정성 실험을 시행한 결과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가 원료유인 옥수수유보다 높은 과산화물가와 p-anisidine가를 보였으며 각기 달리 혼합한 rosemary추출물(100, 200 및 300ppm)이 체중개선 기능성 유지와 옥수수유의 산화를 감소 시켰다.

완전혼합 반응기에서 CH4/Air 예혼합화염의 열손실율에 따른 Nox 생성특성 (NOx Formation Characteristics on Heat Loss Rate for CH4/Air Premixed Flames in a Perfectly Stirred Reactor)

  • 황철홍;이기만;금성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465-1472
    • /
    • 2009
  • 완전혼합 반응기에서 외부로의 열손실이 $CH_4/air$예혼합화염의 NOx 생성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해석으로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로서, 단열조건에서 NOx는 체류시간에 따라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에, 열손실이 고려될 때 열전 달 상수와 체류시간의 증가에 따라 NOx 저감현상이 뚜렷하게 발생하였다. 민감도 해석을 통해 열손실율이 증가함에 따라 Thermal NO 기구와 Re-burning NO 기구는 NOx 저감에 크게 기여하는 반면, Prompt NO 기구와 $N_2O$-경유 NO 기구는 오히려 NOx 증가에 기여함을 확인하였다. NOx 생성기구는 열전달 상수 및 체류시간의 변화에 따라 매우 복합한 특성을 갖지만, NOx 농도는 독립된 Thermal NO 기구에 의해 표현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실용 $CH_4/air$예혼합 연소기에서 NOx 농도를 예측할 수 있는 열손실율과 체류시간을 조합한 새로운 NOx 상관식이 도출되었다.

산업단지 종말처리장 방류수 유입에 따른 소류지 부영양화 제어 가능성 연구 (Feasibility study on the control of the eutrophication by flowing the industrial wastewater effluents to the lake)

  • 이지선;장인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649-4655
    • /
    • 2010
  • 본 논문은 A 시의 산업단지 종말처리장의 방류수 유입에 따른 K 소류지의 녹조 제어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완전혼합연속반응기로 모형화한 호소를 총인과 엽록소-a의 농도를 예측하였다. 정상상태일 때 총인과 엽록소-a 농도는 각각 $0.29\;/m^3$$4.0\;g/m^3$를 나타났고 실측치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비정상상태에서 종말폐수방류수가 최소유량 또는 최대유량으로 소류지로 유입될 때 시간경과에 따른 총인과 엽록소-a 농도 변화를 예측하였다. 또한, 현재 심각한 부영양화 단계에 있는 소류지를 중영양 또는 빈영양 단계로 전환하기 위해 소류지로 유입되는 총인부하량 ($L_p$)과 호소깊이/체류시간 ($H/{\tau}w$)값의 변화를 통해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제어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기법이 소류지내 총인농도의 제어전략을 수립하기에 적합한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Zymomonas mobilis에 의한 Packed Bed Reactor를 이용한 연속적인 sorbitol의 형성 (Continuous Production of Sorbitol with Zymomonas mobilis in a Packed Bed Reactor)

  • 장기효;김영복장현수전억한
    • KSBB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58-64
    • /
    • 1996
  • K-carrageenan에 고정화시킨 Zymomonas mobilis를 이용한 연속적인 sorbitol 생산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Toluene과 glutaraldehyde로 처리하여 투과성을 증대시킨 세포를 alginate나 chitin 고정화 공정에서 어느 정도의 효소활성을 보였으나 210시간 이상의 공정반응에서는 sorbitol 생성량이 감소되었다. 독성이 적고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물질로서 toluene 대신 CTAB(Cetyltrimethylammoniumbromide)를 사용하였다. CTAB로 투과성을 증가시킨 세포를 k-carrageenan에 고정화하여 CSTR과 packed bed reactor를 이용하여 sorbitol 생산을 시도하였으며 CSTR보다도 (25일) packed bed reactor에서 (30일) 더 긴 시간 효소활성도가 유지되었다. Two-stage 연속공정에서는 희석비율이 (dilution rate, $h^{-1}$) 증가함에 따라서 sorbitol 생성률이 증가되었으며 희석비율 0.32 $h^{-1}$에서 첫번째와 두번째 반응조에서 각각 $15g/\ell-h,$ $22g/\ell-h의$ sorbitol 생성률을 얻었다. 0.32$h^{-1}$보다 높은 희석비율에서는 생성를이 감소되었다.

  • PDF

대형 와 모사를 통한 레이놀즈 수 증가에 따른 혼합 탱크내의 유동 구조의 연구 (The study of flow structure in a mixing tank for different Reynolds numbers using LES)

  • 윤현식;하만영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06-1813
    • /
    • 2003
  • The stirred tank reactor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devices in industry for achieving mixing and reaction. Here we report on results obtained from the large eddy simulations of flow inside the tank performed using a spectral multi-domain technique. The computations were driven by specifying the impeller-induced flow at the blade tip radius. Stereoscopic PIV measurements (Hill et $al.^{(1)}$) along with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impeller-induced flow (Yoon et $al.^{(2)}$) were used in defining the impeller-induced flow as superposition of circumferential, jet and tip vortex pair components. Large eddy simulation of flow in a stirred tank was carried out for the three different Reynolds numbers of 4000, 16000 and 64000. The effect of different Reynolds numbers is well observed in both instantaneous and time averaged flow fields. The instantaneous and mean vortex structures are identified by plotting an isosurfaces of swirling strength for all Reynolds numbers. The Reynolds number dependency of the nondimeansional eddy viscosity, resolve scale and subgrid scale dissipations is clearly shown in this study.

  • PDF

대형 와 모사를 통한 레이놀즈 수 증가에 따른 혼합 탱크 내의 유동 구조의 연구 (The study of Flow Structure in a Mixing Tank for Different Reynolds Numbers Using LES)

  • 윤현식;전호환;하만영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7권9호
    • /
    • pp.1290-1298
    • /
    • 2003
  • The stirred tank reactor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devices in industry for achieving mixing and reaction. Here we report on results obtained from the large eddy simulations of flow inside the tank performed using a spectral multi-domain technique. The computations were driven by specifying the impeller-induced flow at the blade tip radius. Stereoscopic PlY measurements (Hill et al. $^{(1)}$) along with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impeller-induced flow (Yoon et al. $^{(2)}$) were used in defining the impeller-induced flow as superposition of circumferential, jet and tip vortex pair components. Large eddy simulation of flow in a stirred tank was carried out for the three different Reynolds numbers of 4000, 16000 and 64000. The effect of different Reynolds numbers is well observed in both instantaneous and time averaged flow fields. The instantaneous and mean vortex structures are identified by plotting an isosurfaces of swirling strength for all Reynolds numbers. The Reynolds number dependency of the non-dimensional eddy viscosity, resolved scale and subgrid scale dissipations is clearly shown in this study.

고농도 유기성폐수의 혐기성처리시 SRT변화에 따른 유기물질 제거효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strate Removal Efficiency with Varing SRT in Anaerobic Treatment of High Organic Wastewater)

  • 김병호;김동민
    • 환경위생공학
    • /
    • 제4권1호
    • /
    • pp.43-52
    • /
    • 1989
  • A synthetic wastewater composed of powdered baby food and inorganic nutrients was treated by five 3.6L anaerobic reactors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lids retention time (SRT) and media surface ratio,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organic substrate. Of the five reactors, four were semi-continuously fed stirred-tank reactors and one continuously-stirred batch reactor. The influent was 7430mg/L in COD, 7120 mg/L $BOD_L$ and 6350mg/L in $BOD_5$, respectively. Operating temperature was $35{\pm}1^{\circ}C$ and pH in the range 6.9 to 7.2. In this experimental study it was found that a linear relationship existed, within the experiment range, between SRT and media surface ratio, and that SRT and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with increasing media surface ratio. The substrate removal efficiencies were 82.7 to $88.2\%$ in COD, 82.9 to $88.4\%$ in $BOD_L$ and 83.3 to $88.7\%$ in $BOD_5$, resp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