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timulator

검색결과 332건 처리시간 0.029초

비단벌레(Crysochroa fulgidissima) 에탄올추출물의 NO 증강 및 염증인자억제활성 (NO and Cytokine Production due to Crysochroa fulgidissima)

  • 안미영;김순자;정혜경;서윤정;박해철;이영보;김미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27-233
    • /
    • 2011
  • 비단벌레(C. fulgidissima)는 동아시아에서 중풍을 치료하는 약으로 한국에서는 살충, 지양제로서 사용한 기록이 있다. 본 연구는 비단벌레의 에탄올 추출물의 내피세포에서의 산화질소(NO) 증강효과와 내피성 산화질소 합성효소(eNOS)의 양적 증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단벌레 에탄올 추출물은 양성대조약물 sodium nitroprusside에 비해 65.9%의 NO 증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NOS에 대해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염증성부착인자인 ICAM-1과 VCAM-1 수치와 염증매개인자 프로스타글란딘 $E_2$를 조사하여 비단벌레 에탄올 추출물의 염증억제 기전을 조사한 결과, HUVEC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염증매개인자와 염증성부착인자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아울러 혈관성 내피성장인자(VEGF)의 낮은 수치를 HUVEC 세포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에탄올 추출물을 HPLC로 부분정제 후 GC-MS와 MALDI-TOF 분석을 통하여 일부 칸다리딘 성분 함유함을 확인하였다

새만금 지역의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순환자원 활용 지반안정재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Ground Stabilizer using Circulating Resource for Improvement of Soft Ground in Saemangeum Area)

  • 서세관;김유성;조대성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03-110
    • /
    • 2020
  • 심층혼합공법은 오거를 사용하여 지반을 굴착한 후 지반안정재를 흙 재료와 혼합하여 연약지반에 개량체를 설치하는 공법으로, 지중에 설치되는 개량체는 흙 재료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압축강도가 다르게 발현되기도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는 순환유동층 보일러의 연소재를 고로슬래그의 알칼리 활성화 반응의 자극재로 활용하여 개발한 심층혼합공법용 지반안정재를 부산, 여수, 인천 지역의 점토와 혼합한 후 실내 배합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단위안정재량(γB)과 일축압축강도(qu)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지역을 대상으로 채취한 흙 재료에 대해 동일한 실내시험을 실시하여 도출된 상관관계에 대한 비교검토를 실시하였고, 현장에서 수행한 시험시공 결과를 분석하여 현장에서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내시험에서는 기존의 연구를 통해 도출된 단위안정재량(γB)과 일축압축강도(qu)의 상관관계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장에서의 시험시공 결과는 현장의 기준강도에 비해 높은 일축압축강도를 보여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3D 가상환경시스템 이용한 공포증 치료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hobia Treatment Using 3D Virtual Reality System)

  • 백승운
    • 정보학연구
    • /
    • 제5권4호
    • /
    • pp.45-55
    • /
    • 2002
  • 가상현실은 인간과 컴퓨터가 서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이다. 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컴퓨터로 만들어진 가상의 삼차원 환경 속에서 보고, 듣고, 느끼며 그리고 가상환경과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신치료 분야에 가상현실을 도입하고 이를 이용한 고소공포증 노출 치료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고소공포증은 높은 곳에 올라가면 불안, 공포를 느끼며 추락할 것 같은 두려움과 함께 자기도 모르게 뛰어내릴 것 같은 불안이 공포에까지 이르는 상태이다. 이 공포증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약물치료방법과 인지, 행동 치료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런 기존의 방법들은 치료 효율이 떨어지며, 치료시 어려움이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기존의 치료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연구에서 가상현실을 정신치료에 적용하고 있다. 가상환경은 환자에게 적절한 자극을 제공하여 환자로 하여금 공포감을 느끼도록 하고, 환자는 이러한 공포상황에 체계적으로 노출됨으로써 공포증을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개인용 컴퓨터를 기반으로 가상 엘리베이터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여 고소공포증 치료에 이용하고자 한다. 가상 엘리베이터 시뮬레이터를 구성하기 위해 위치센서, 머리 부착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사운드 시스템을 사용하였고, 치료를 위한 가상환경은 전망용 엘리베이터에서 바라본 건물들을 배경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가상현실 정신치료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머리 부착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위치센서를 부착함으로써 환자의 머리이동이 가상환경에 적용되도록 하였으며, 삼차원 사운드를 적용함으로써 사실적으로 느껴지도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하여, 가상환경에 노출 전과 후의 ECG를 측정 비교하였다.

  • PDF

사인추출물의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3의 합성과 피부 노화 개선에 대한 효과 (Effects of Amomi, Semen Extract on Synthesis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and Anti-wrinkle in Skin)

  • 최규호;김수남;이소희;성대석;손의동;이창훈;이병곤;장이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89-392
    • /
    • 2004
  • 본 연구에서 프로모터-리포터 분석방법을 통해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의 프로모터를 자극하는 천연물을 선별한 결과 사인 추출물이 가장 좋은 프로모터 자극효과를 나타냈으며, 무모생쥐에서 패쇄첩포 후 RT-PCR로 실험한 결과 IGF-1 mRNA를 $35\%$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인 추출물의 피부 주름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체 섬유아세포에서는 type-I collagen과 MMP-1 합성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무모생쥐에서는 콜라젠의 증가와 진피 두께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동위원소를 이용한 콜라젠 증가실험에서 type-I collagen은 $38\%$ 증가하였으며 무모생쥐에서 실시한 RT-PCR 결과에서는 mRNA가 $21\%$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MMP-1 효소발현의 경우 ELISA 분석을 통해서 $63\%$의 높은 발현저해능을 확인하였고 Western blot에서도 발현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추출물을 무모생쥐에 패쇄첩포 하였을 경우 대조군에 비해 진피 두께가 두꺼워지고 콜라젠 양도 증가되는 것으로 조직염색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사인추출물은 피부 주름개선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이며, 여기에는 인슐린 유사성장 인자-I의 발현증가와 관련된 기전이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북방산 개구리(Rana dybowskii)의포의 프로젝트론 생서에 대한 cAMP의 조절작용 (Role of cAMP in the Regulation of Progesterone Production and Secretion by Frog (Rana dybowskii) Follicles in vitro)

  • 권혁방;안연섭;김지열;윤용달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7-184
    • /
    • 1988
  • 북방산개구리의 여포를 인공배양하면서 여포의 progesterone(p$_4$) 의 생성양상과 cAMP의 조절작용을 조사하여 보았다. 배양중인 여포에 뇌하수체 추출물(frog pituitary homogenate,FPH)을 처리하였을 때 배양 한시간 부터 여포내 p$_4$의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생성된 p$_4$의 최대양이나(약 60-300pg/follicle),peak를 이루는 시간이(2시간 이후)개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FPH의 처리를 받지않은 대조군에서는 배양기간에 관계없이 여포내에서 대략 10pg/follicle정도의 p$_4$가 측정되었으나 예외인 개체도 있었다. 배양액내로 분비된 p$_4$의 양은 여포내에 생성된p$_4$양의 약 60%정도 이었다. 배양액에 adenlate cyclass의 촉진제인 forskolin이나phosphodiesterase의 저해제인 3-isoburyl-1- methylxanthine(IBMX)을 동시에 혹은 따로 처리하면 p$_4$의 생성과 분비가 역시 증가하며 모든 양상이 FPH의 자극에 의한 것과 거의 같았다. 따라서 개구리여포의 스테로이드생성은 cAMP를 통하여 조절된다는 것과 여포세포내에는 cAMP의 생성과 분해에 관계하는 효소들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 PDF

거자법(巨刺法)에 의한 전침자극(電鍼刺戟)이 흰쥐의 formalin 유도(誘導) 통증(痛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Hetero-segmental Electro-acupuncture on Formalin Induced Pain in the Rat)

  • 박상균;김재효;김민선;박병림;손인철;김경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231-246
    • /
    • 2000
  • Acupuncture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numerous diseases, especially for pain control in the oriental culture. However, the mechanism of pain control by acupuncture was not clear so far. The present study was examined that the effects of electro-acupuncture (EA) applied to the acu-point of extra-segmental area on modulation of formalin induced pain in Sprague - Dawley rats. In order to apply EA to acu-points in the plantar area of right fore paws, a pair of teflon - coated stainless steel wires were implanted in HT 7 (shin-mun) and PC 7 (dae-neong) 5 days before behavioral test. A behavioral test was performed by means of video camera after injection of 5% formalin ($50{\mu}l$) into the lateral plantar region of left hind paw. EA was delivered by a constant current stimulator at 4~5 mA, 2 ms, and 10 Hz for 30 min.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were recorded in the biceps femoris muscle under chloral hydrate anesthesia. Test stimuli with 1~9mA were applied to the sural nerve territory including the medial portion of the 4th toe and the lateral portion of the 5th toe. Behavioral responses including favoring, flinching and bitting were occured in the biphasic pattern, such as the lst phase (0~5 min) and the 2nd phase (20~45 min) after formalin injection. However, EA (4~5 mA, 2 ms, 10 Hz) significantly inhibited Che behavioral responses. EMG activities of flexor reflex had a latency of 100~300 ms and thresholds of test stimuli for EMG were 4~5 mA in normal rats. Injection of formalin decreased threshold of test stimuli and increased EMG activities for 2hrs after injection. However, EA significantly inhibited EMG activities of flexor reflex increased by formalin and recovered EMG evoked threshol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tralateral extra-segmental EA inhibits the first and second phases of formalin induced pain but their mechanism be needed to examine additionally.

  • PDF

참개구리와 옴개구리 여포의 프로제스테론 생성과 난자의 성숙 (Progesterone Production and Oocyte Maturatf on of Frog (Rona nigromaculata and Rana rugoBa) Follicles in vitro)

  • 권혁방;김지열;고선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5-182
    • /
    • 1990
  • 참구개구와 옴개구리의 여포를 생체외 배양하면서 progesterone (P$_4$)생성과 난자의 성숙 및 cyclic(cAMP)의 조절작용을 조사하였다.참개구리의 여포에 뇌하수체 추출물(frog pituitary homogenate.FPH)을 처리하면 농도에 의존하여 여포의 P$_4$생성이 증가하였으며 난자의 성숙(핵붕괴)이 일어났다. 이들 여포들을 배양하면서 3시간 간격으로 호르몬이 여포에 축적된 양, 배양액에 분비된 양 및 난자의 성숙율을 조사한 결과 FPH처리군에서 P$_4$는 3-6시간에 최고치 (여포내,약 400pg/여포;분비량,약 800pg/여포)를 나타내었으며 난자의 핵붕괴는 9-12시간에 일어났다. 상기 여포들과 같은 조건으로 배양하면서 forskolin과 3-isobutyl-1-methylxanthine(IBMX)을 배양액에 처리하여 간접적으로 여포내 cAMP의 농도를 높여주면 FPH와 유사한 양사으로 호르몬의 생성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난자의 성숙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옴개구리의 여포를 배양하면서 FPH를 처리하였을 때는 아무 처리를 하지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거의 P$_4$의 생성을 촉진하지 않았으며 난자의 성숙도 유도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들에게 forskolin과 IBMX를 처리하면 P$_4$의 생성을 현저하게 촉진하여 다량의 P$_4$가 여포와 (약 800pg/여포) 배양액에 (1700pg/여포)축적되었다.

  • PDF

미약 전자기장을 이용한 말초장애 치료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timulator for peripheral disturbance therapy using A variable Micro-electromagnetic)

  • 김수병;이승욱;심태규;이나라;이용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209-1216
    • /
    • 2010
  • 당뇨 합병증 등으로 인한 말초혈류 및 신경장애, 수족냉증 및 손가락 관절염, 통증 질환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손가락 질환 전용 치료기기가 전무한 상태로 이와 관련된 치료기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변 미약자기장을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말초혈류/신경개선과 손가락 류마티스 치료를 위한 솔레노이드 원통형 코일을 제작하고, 다양한 치료목적에 사용하기 위해서 3가지 자극모드(N, S, N/S)와 자극주파수(0.25, 0.5, 1hz)를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자속밀도 측정 프로브를 솔레노이드의 중심에서부터 거리를 0 ~ 3cm 단계로 자극방식과 주파수별로 자속밀도를 측정하였다. 자속밀도를 측정한 결과, 모든 자극방식과 주파수에서 솔레노이드 내부의 중심(0cm)에 근접할수록 자속밀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솔레노이드 중심 자속밀도는 N자극 (294.3mT)과 S자극(293.8mT)에서는 1Hz, N/S자극(275.4mT)에서는 0.25Hz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패턴과 강도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다양한 손가락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형 치료기기를 개발하였다. 솔레노이드 내부 자속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손가락 말초질환 개선을 위한 미약자기장 시스템의 임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척수손상 흰 쥐의 운동기능 회복에 미치는 손상부위 직접자극을 통한 기능적 자기자극치료 효과 (The Effect of Direct Functional Magnetic Stimulation of the Lesion on Functional Motor Recovery in Spinal Cord Injured Rat)

  • 조윤우;김수정;박해운;서정민;황세진;장성호;이동규;안상호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3권1호
    • /
    • pp.53-58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rect functional magnetic stimulation (FMS) of affected spinal cord on motor recovery following spinal cord injury in rats. Methods: After a contusion injury at the spinal level T9 using an NYU Impactor, functional magnetic stimulation was delivered by a magnetic stimulator through a round prototype coil (7 cm in diameter). Stimulation parameters were set as follows: repetition rate = 50 Hz (stimulus intensity 100% = 0.18 T), stimulation time = 20 min. Functional magnetic stimulation was administered twice a day, 5 days per week for 8 weeks starting 4 days after spinal cord injury. Functional magnetic stimulationwas delivered directly to the affected spinal cord. Outcomes of locomotor performance were assessed by the Basso Beattie Bresnahan (BBB) locomotor rating scale and by an inclined plane test weekly for 8 weeks. Results: In the BBB test, hindlimb motor function in the Functional magnetic stimulation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m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3, 4, 6, 7, and 8 weeks (p<0.05). In the inclined plane test, the angle of the plane in the functional magnetic stimulation group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t 4, 5, 7, and 8 weeks (p<0.05).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direct Functional magnetic stimulation of the lesional site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motor improvement after spinal cord injury.

전기자극에 의한 횡격막 조율을 이용한 호흡보조장치 (Respiratory Assist by Use of Electrical Diaphragmatic Pacing)

  • 오중환;김은기;서재정;박일환;김부연;이상헌;이종국;이영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441-446
    • /
    • 2001
  • 배경: 전기 자극에 의한 호흡조율장치는 인공호흡기에 비하여 많은 장점이 있으나 임상적으로 제한된 환자에게만 적용이 되어왔고 일시적인 조율장치는 별로 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본 실험의 목적은 일시적 호흡보조장치가 개흉술 환자에서 임상응용이 가능한지를 알고자 동물실험을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전신마취 하에 5마리의 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좌측 5번째 늑간을 열고 자체 고안한 일시적 사용 가능한 전극을 좌측 횡격 신경 주위에 설치하고 근자극기에 연결하였다. 흉벽을 봉합하고 흉관을 수면 아래로 배관되게 설치하였다. 대동맥과 우심방에 Millar 카테터를 삽입하고 Swan-Ganz 카테터를 폐동맥에 삽입하였다. 마취가 깊게되어 자기 호흡이 약해진 경우 자극기를 작동하여 혈역학적 변화와 일회호흡량을 관찰하였다. 결과 일회호흡량은 143.3$\pm$51.3ml에서 272.3$\pm$87.4ml(p=0.004)로 증가하였고 우심방 이완기압은 0.7$\pm$4.0mmHg에서 -10.5$\pm$4.7mmHg(p=0.005)로 감소하였다. 폐동맥 이완기압도 6.1$\pm$2.5mmHg에서 1.2$\pm$4.8mmHg(p<0.001)로 감소하였다. 흉강내압의 변화를 알 수 있는 흉관의 물기등 높이는 10.3$\pm$6.7cmH$_{2}$O에서 20.0$\pm$5.3cmH$_{2}$O로 증가하였다. 결론: 일시적인 횡격막 조율장치는 개흉술 예에서 일시적으로 호흡을 보조해주는 간편한 방법이다. 자체 고안한 전극은 삽입 및 제거가 가능하며 이러한 음압을 이용한 호흡보조장치는 혈액순환에도 도움을 준다. 임상적으로 개흉술 환자에서 일시적인 호흡보조장치를 응용하면 호흡 및 순환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