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eel-plate girder bridge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123초

국내 강철도교의 피로특성 (Fatigue Characteristics of Steel Railway Bridges)

  • 경갑수;최일윤;이준석;이희현;이준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92-699
    • /
    • 2005
  • In order to evaluate that factors such as span length, member type and train loading affect on fatigue of steel railway bridges, in this paper, a series field tests were carried out for some plate girder bridges. From the result estimated by rainflow counting method to analyses real strain-time curve obtained from the field test, it was known that the fatigue effect is more significant in the bridge having short span length and the secondary members regardless of train load types.

  • PDF

경량전철 강교량에 대한 이동하중하 동적거동 및 장대레일 축력의 해석적 평가 (Analysis of the Dynamic Behavior and Continuous Welded Rail of LRT Steel Bridge)

  • 성택룡;김철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64-571
    • /
    • 2005
  • Two-plate girder bridge and narrow steel box girder bridge are suggested for the steel wheel AGT system. For these bridge system, rail-bridge interac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dynamic behavior of these bridges was investigated. The result shows that all the estimated parameters satisfy the criteria concerned. As a result these two suggested bridge systems have enough performance to be competitive for the LRT elevated structures.

  • PDF

무도상 판형교의 횡방향 동적거동특성 분석을 위한 실험적 연구 (Field Test to Investigate Lateral Dynamic Characteristics of Steel Plate Girder Railway Bridge without Ballast)

  • 오지택;김현민;박옥정;박찬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II)
    • /
    • pp.591-595
    • /
    • 2003
  • Fiel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o analysis lateral dynamic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teel plate girder railway bridges without ballast. Three bridges which have 9m, 12m, 18m span length in Kyoung-Bu Line were selected for test. According to the each bridge, dynamic lateral deflections and accelerations were measured. From the present study, it was observed that dynamic lateral amplification phenomena caused by a fluctuation of lateral force were occurred under the current running circumstances. Lateral deflections were occurred below than that specified in Korean railway bridge specification, but lateral accelerations is a match for vertical accelerations. From now on, it is in need a plan to reduce lateral accelerations for the conventional railway Line speed up.

  • PDF

철도판형교 무근콘크리트 교각의 전도 보강기법 (Strengthening method against Overturn of Plain Concrete Gravity Pier for Open-Steel-Plate-Girder Railway Bridges)

  • 이준석;최은수;이인규;이주범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65-1173
    • /
    • 2007
  • Open-Steel-Plate-Girder railway bridges, in general, have plain concrete gravity pier without piles at foundations. Such piers are vulnerable to be overturned against braking forces and ground shakings during an earthquake. Thus, this study suggests a strengthening method using earth anchors to improve the resistance of plain concrete gravity piers to the overturn of themselves. Also, a filed test was performed for the as-built and the strengthened pier and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to assess the strengthening effect. The earth anchors increased the ultimated capacity for the pier's overturn. Finally, a F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nonlinear elements for soil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the soil stresses for the as-built and the strengthened pier.

  • PDF

합성거더교의 등가 건조수축 변형률 (Equivalent Shrinkage Strain For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Bridges)

  • 배두병;정대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통권68호
    • /
    • pp.135-144
    • /
    • 2004
  • 현대 교량이 연속화, 장대화되어 가는 추세에 따라 강-콘크리트 합성거더교의 내구성 및 안전성 확보를 위해 콘크리트의 건조수축과 크리프 등 장기거동에 의한 영향이 정확히 평가 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 도로교 설계기준에 주어진 최종 건조수축 변형률은 $180^{1\;2}$인데 이는 실험적 연구 등을 통해서 밝혀진 값보다 현저히 작은 값으로 여러 시공사례에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는 등 건조수축에 의한 영향이 과소평가 되고 있어 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바닥판으로 콘크리트 슬래브를 적용한 플레이트 거더교 박스 거더교, 플리플렉스빔교를 대상으로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에 제시된 건조수축 및 크리프에 대한 규정을 적용하여 시간단계별 비선형 해석을 수행하였고, 얻어진 결과를 도로교 설계기준에 따라 산정된 값들과 비교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비선형 해석의 결과와 동일한 응력을 발생시키는 선형등가 건조수축 변형률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도로교 설계기준에서 제시한 $180^{1\;2}$ 보다 대략 2배의 값을 적용하는 것이 실제의 건조수축의 영향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간 구성 및 시스템 손상을 고려한 강판형 철도교의 지진 취약도 해석 (Seismic Fragility Analysis of Track-on Steel-Plate-Girder Railway Bridges Considering the Span Variability and System Damage)

  • 박주남;김이현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2권1호
    • /
    • pp.13-20
    • /
    • 2010
  • 지진에 의한 철도교량의 손상은 철도 교통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철도 시스템의 내진성능 확보에 있어서 교량 시스템에 대한 지진 위험도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교량의 지진 취약도는 교통 시스템의 지진 위험도 평가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교량의 지진 취약도 해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대부분의 경우 개별 교량 또는 특정 교량형식을 대표하는 단일 교량에 대해서만 취약도 연구를 수행하였을 뿐 실제 임의의 여러 경간수를 가지는 교량 군(群) 전체에 대한 지진 취약도 연구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철도교의 대표형식 중의 하나인 무도상 강판형 철도교에 대하여 경간 변화를 고려한 지진 취약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교량 주요 요소의 손상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전체적 손상을 나타낼 수 있는 시스템 손상지수를 정의하였으며, 이렇게 정의된 시스템 손상지수를 이용하여 교량 주요 요소의 손상을 통합하는 시스템 손상에 대한 지진 취약도를 작성하였다. 2경간 에서 15경간까지 경간수를 증가시키며 무도상 강판형 철도교에 대한 지진 취약도 함수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확률 이론(Total Probability Theory)을 적용하여 국내 무도상 강판형 철도교의 실제 경간 분포를 고려한 전체 무도상 강판형 철도교량 군(群)에 대한 지진 취약도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교량의 경간 수에 따른 지진 취약도를 탄력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해주어 철도의 노선 별 내진성능 평가 시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철도교용 고무패드 설치에 따른 판형교의 동적 거동 분석 (Analysis of Dynamic Behavior of Open-Steel-Plate-Girder Bridges Due to Installing Rubber Pads)

  • 최은수;김현민;오지택;김성일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통권76호
    • /
    • pp.295-30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철도교용 고무패드의 강성추정기법'에서 결정된 각 고무패드의 강성과 가정된 감쇠비를 이용하여 두 판형교에서의 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패드에 의한 판형교의 동적 거동 변화가 철도교량의 거동의 한계를 규정하고 있는 규준에 적합한지도 판단하였다. 고무패드를 교좌로 판형교에 설치하면 판형교의 동적 처짐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처짐이 증가하더라도 규정에 있는 한계를 넘지는 않아 차량의 안정적 주행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천연고무나 크로로프렌 고무패드는 변형이 크게 발생하여 교좌로서 활용이 부적합하나, 폴리우레탄 고무패드는 변형이 작게 나타나 사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고속 주행을 위해서는 패드의 면적을 증가 시켜서 패드변형을 제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무패드의 강성증가 및 감쇠비 증가가 교량의 동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무패드의 감쇠비 증가는 교량의 동적 거동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패드의 강성 증가는 상대적으로 자중이 크고 강성이 작은 교량에서는 응답 개선 효과가 적지만, 자중이 작고 강성이 큰 즉 경간이 짧은 교량에서 상대적으로 응답 개선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비선형비탄성해석을 활용한 하로 판형교의 극한강도 평가 (Ultimate Strength Evaluation of Through Plate Girder Bridge Using Nonlinear Inelastic Analysis)

  • 전신열;태후타이;김승억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13-1718
    • /
    • 2010
  • An ultimate strength evaluation of the through plate girder bridge using nonlinear inelastic analysis is presented. In this method, separate member capacity checks after analysis are not required, because the stability and strength of the structural system and its component members can be rigorously treated in analysis. The method captures the inelastic redistribution of internal forces throughout a structural system, and allows an economic use of material for highly indeterminate steel bridges.

  • PDF

허용응력설계법 및 하중저항계수설계법에 의한 강합성 거더교 설계결과 비교 (Design Comparison of Composite Girder Bridges Designed by ASD and LRFD Methods)

  • 조은영;신동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5A호
    • /
    • pp.447-456
    • /
    • 2009
  • 연속경간 강합성 플레이트 거더 및 박스 거더 단면을 현 도로교설계기준의 허용응력설계법(ASD)과 AASHTO-LRFD 설계기준에 근거하여 최근 교량설계핵심기술연구단을 중심으로 제안된 하중저항계수설계법으로 설계하였다. 두 방법으로 설계된 강거더 단면의 강재량과 구조성능을 분석하였으며, 휨파괴에 대한 신뢰도해석을 수행하고 신뢰도지수를 비교 및 분석하였다. ASD법으로 설계 시에는 현 도로교설계기준에 규정된 DB-24 및 DL-24 설계활하중을, LRFD법으로 설계 시에는 최근 국내 통행차량 측정결과 통계에 근거하여 제안된 설계활하중을 적용하였다. 3경간 연속교의 경간비를 4:5:4로 가정하고 중앙부 최대경간장은 30~80 m를 고려하였다. 두 방법으로 설계된 강합성거더 단면의 휨파괴에 대한 신뢰도해석은 국내에서 생산된 16,000여 구조용 강재 표본의 항복강도 통계적 특성이 반영된 휨저항강도의 통계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보강강판을 이용한 연속 PSC 교량 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tinuous PSC bridge with a reinforcement steel plate)

  • 구민세;김훈희;정영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22-429
    • /
    • 2005
  • It is limited to decrease height or section even by system conversion to indeterminate structure - continuous beam - in existing PSC girder bridges. In this study, the movement of connection is analyzed through actual field test, by increasing stiffness of negative moment area in continuous PSC bridge and developing continuous PSC bridge with embedded steel plate, that can overcome the demerit of existing connection.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body unification of the connection is being realized and maintained. Moreover, the height of a span is suggested in continuous PSC girder bridge with embedded steel plate by computational analy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