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tue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8초

일부 농촌지역 노인의 음주양상에 따른 건강상태 (A Study on Health Statue of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y according to Drinking Pattern)

  • 백달현;황병덕;문효정;윤희정;이성국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1권3호
    • /
    • pp.263-273
    • /
    • 2006
  • 연구대상자는 2000년 현재 경북 성주군에 거주하고 65세 이상노인 8,209명중 25개리에 설치되어있는 보건소,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에 인접하여 거주하고 있는 노인 2,542명 중 질병이나 기타 사유로 요양기관의 입소자 또는 장기출타, 주소불명 등을 제외한 2,421명(남자: 1,273명, 여자: 1,14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남자 72.7세, 여자 72.8세였으며, 가족 구성상태는 부부만 사는 노인이 남자의 경우 66.5%, 여자의 경우 32.3% 이었고, 여자노인에서는 혼자서 생활하는 경우도 36.9%이었다. 대상자의 음주양상에서 남자의 경우 비음주자가 35.1%, 음주중단자 16.1%, 음주자 48.8%이었다. 여자의 경우 비음주자가 80.2%, 음주중단자 4.5%, 음주자 15.3%이었다. 음주중단자의 과거음주기간을 남 여별로 살펴보면 41년 이상이 남자의 경우 57.1%, 여자의 경우 23.1%로 남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65세 이상 고령인구의 건강수준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주가 만성질병의 원인이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예방 가능한 건강 위험인자들의 조절과 생활형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보건교육을 노인들에게 실시함으로써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노인들에 있어서 건강은 질병의 치료보다는 건강증진에 목표를 설정하여 농촌지역의 노인보건사업 및 노인건강을 유지 증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건강한 노인 중 음주자에게 질병발생에 대한 지식과 예방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정기건강검진 실시로 질병을 조기 발견하여 절주를 할 수 있도록 지원과 인력 개발 등의 다각적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 채색안료의 자연과학적 분석 - 서방광목천왕상 채색안료를 중심으로 - (The Analytical Study of Pigments on Fourguardian Statues in Song-gwang Buddhist Temple in Suncheon - Focusing on Pigments of Virupaksha -)

  • 이한형;박지희;홍종욱;한민수;서민석;허준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1호
    • /
    • pp.122-147
    • /
    • 2012
  • 순천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의 수리를 위한 조사과정에서 수습된 파편들로부터 과거에 사용된 채색안료에 대한 자연과학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순천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은 1628년 중조(重造)된 이래 1720년부터 1976년까지 7차례의 중수개채(重修改彩)가 이뤄졌기 때문에 이 기간 동안의 시대별 사용안료를 연구할 수 있는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 분석은 사천왕상 중 서방광목천왕에서 이탈된 파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광학현미경, SEM-EDX, XRD를 이용하여 시편의 상태를 확인하고, 안료의 구성성분과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파편들에서는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조직이 성긴 한지, 조직이 치밀한 한지, 견직물, 마직물 등 6종의 재료가 확인되었다. 이 중 갈색 점토띠가 있는 토층은 소지부로 판단되며, 나머지 5종의 재료는 소조불의 중수개체 시 사용된 보수재료로 판단된다. 각 재료의 상 하부에 부착된 채색층에 대한 분석결과를 서로 비교한 결과, 각 재료들은 '소지부 ${\rightarrow}$ 조직이 성긴 한지 ${\rightarrow}$ 섬유질이 다량 함유된 토층 ${\rightarrow}$ 견직물 ${\rightarrow}$ 마직물 및 조직이 치밀한 한지'의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이들 보수재료들에 적용된 안료와 소조불의 중수개채시기를 고려하면 조직이 성긴 한지는 1720~1891년, 섬유질을 다량 함유한 토층은 1926년, 견직물과 마직물은 각각 1941년과 1976년에 적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각 시대별 사용 안료의 특징을 살펴보면, 1891년 이전에는 백색과 녹색으로 연백과 염기성염화동의 사용이 두드러지며, 1926년 이후에는 화록청, 군청, 바륨화이트와 아연화 등이 등장하고, 1976년을 전후해서는 지당과 합분(패각분)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소조상에 적용된 시대별 안료에 대한 추론 결과는 향후 사찰벽화나 단청 등의 근대 안료연구에 비교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외암리 민속마을에 나타난 한국정원의 전환기적 양상 (A Study on the Transitional Aspects in Korean Gardens that Reflected of the Korean Folk Village 'Oeam-Ri')

  • 이원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2권1호
    • /
    • pp.100-121
    • /
    • 2009
  • 본 연구는 1920년대 외암리 민속마을을 사례로 정원의 전환기적 양상에 대해 정원요소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이 시기에는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에 따른 종래의 전통적 정원양식과 다른 양식의 정원구성요소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하에 정원구성요소로 수경, 식물, 구조물, 포장 등의 변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환기적 시기인 1920년대는 외부적으로는 외세의 영향과 안으로 실학사상, 개화사상과 더불어 신분제도상의 붕괴조짐이 정원설계요소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외세의 영향으로 외래양식의 도입과 외래수종의 사용이 증가하였으며, 내부적 신분제도상의 변화는 정원양식의 탈규범화를 촉진하여 상위지향적 형태 및 재료의 사용과 공간기능의 변용을 초래하였다. 전환기적 정원의 특성이 나타나는 정원 조영자는 신분제도상의 붕괴에 불구하고 경제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변화에 지배계급으로 위치를 공고히 한 상류계층에 국한되어 있으며, 식민치하의 사회 혼란상으로부터의 도피적 행태나 선진문물을 선구적으로 받아들이는 행위를 통하여 정원의 변화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의 결과로, 자연에 심산 유곡에 위치한 정원의 입지와 지형처리기술을 발달시켰으며, 외래의 양식을 차용하고 사랑마당 정원을 변모시키는 정원조성행태를 보이게 된다. 정원의 배치 및 공간구성에서 전환기적 양상이 두드러진 유형은 건물과 마당(내원)으로 공간구획의 유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전환기적 정원설계요소의 출현이 빈번한 유형으로 수경관의 형태와 정원공간의 변화는 사랑 마당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외래적인 요소의 영향이 지대한 수경관과 수목, 점경물 등의 도입이 주요한 공간변화를 일으킨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전환기적 정원요소로 수경관에서는 계류를 중심으로 한 부정형지의 회유식 연못이 주를 이루며, 식물은 전통수종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외래수종과 토피아리형 수목인 상록침엽수, 관목류의 출현이 두드러지며 건조물은 외래형식이 가미되고 점경물은 형태와 배치기법 등에 변화가 나타나며 원로가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전환기적 정원조성기법의 특징은 적극적인 지형처리기법과 정원소유를 위한 영역성의 증대, 정원재료 및 형태의 변화와 양식의 혼재, 정원의 장식미 추구, 정원 내 의식공간의 퇴조, 동선처리 기법의 변화, 차경에서 선경으로의 취경기법의 변화, 사랑마당 공간 변화, 정적인 정원감상기법에서 동적으로의 변화 및 은유에서 직유로 정원표현기법이 달라지고 있다. 또한 정원을 중심으로 한 내부지향적 시각구조로의 변화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일환으로 전통과 현대의 교량 역할을 하는 근대시기에 대해 접근해 본 것으로 시기적 양상은 전통정원에서 근대정원으로 전이되는 전환기적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향후, 한국조경사의 한 부분으로 근대조경의 시기가 인식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의 다각적인 접근을 통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추후 과제로 삼는다.

거창 송계사(松溪寺) 목조여래좌상과 18세기 후반 조각승 상정(尙淨) 불상의 작풍(作風) 연구 (A Study on the Wooden Seated Buddha at Songgyesa Temple in Geochang and the Sculpting Style of Sangjeong, a Monk Sculptor in the Late 18th Century)

  • 유재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242-261
    • /
    • 2021
  • 상정(尙淨)은 18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조각승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수조각승 상정의 조상 활동 6건과 그가 조성한 기년 불상 중 마지막 작품으로 발견된 1767년 거창 송계사 <목조여래좌상>을 토대로 상정 불상의 전체적인 작풍을 설정하였다. 상정이 조성한 불상의 공통점은 귀의 생김새, 상·하반신 옷주름, 오른손이 놓인 위치, 하반신 표현 등에 나타나 있었다. 그 중 하반신 표현은 불상 하단에 표현된 연잎 사이로 하반신 옷주름이 흘러내리는 A유형, 연잎과 대좌 표현 없이 하반신에 'S'자형 옷주름만 형성된 B유형, 불신과 대좌를 일체형으로 조성하여 대좌에 표현된 연잎 사이로 하반신 옷주름이 흘러내리는 C유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정은 그가 유일하게 조각 수업을 받았던 스승 태원(泰元)의 작풍을 충실히 계승하였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서울 봉은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나한상> 조성 불사에서 수조각승 태원 아래에서 상정이 3위 조각승(3/12위)으로 참여한 기록과 봉은사 석가상에서 표현된 'S'자형 하반신 옷주름이 상정이 조성한 모든 불·보살상에 반영된 모습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현좌 표현, 보발의 형상 또한 18세기 전반 조각승 진열(進悅)에서 태원을 거쳐 상정에게로 이어졌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상정과 태원 두 조각승의 작풍은 불상에서 나타나는 양감과 측면의 두께, 하반신 옷주름의 요철 강도, 오른쪽 가슴의 옷자락 형태, 귀의 세부적인 표현 등에서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각가 개인의 양식을 추출하였고, 상정의 작풍을 갖고 있는 불·보살상 10건 14점에 대해 상정 또는 태원(계) 등 원 조각가를 분류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천안 성불사 마애석가삼존과 16나한상의 손상도 및 안정성 평가 (Stability and Damage Evaluation of the Buddha Triad and 16 Rock-Carved Arhat Statues at Seongbulsa Temple in Cheonan, Korea)

  • 양혜리;이찬희;조영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4호
    • /
    • pp.78-99
    • /
    • 2020
  • 천안 성불사 마애불은 16나한이 모두 남아있는 국내의 유일한 예로 학술적 가치가 아주 높으나 심하게 손상되어 있어, 보존 방안을 검토하기 위해 디지털 기록화와 정밀 진단을 바탕으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 결과, 삼존불은 비슷한 규모이나 나한상은 매우 다양한 크기를 보였으며, 권속 2구는 나한상에 비해 크다. 추정공양상은 나한상과 유사하며, 대부분의 존상은 형상과 제작기법이 잘 드러난다. 마애불이 새겨진 암반은 편리 구조가 뚜렷한 호상편마암으로, 석영과 장석으로 이루어진 우백대와 흑운모로 구성된 우흑대가 교호하며 미량의 백운모를 포함한다. 이 마애불에는 물리적 풍화와 변색 및 생물 오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주암면에는 미세 균열 1,131cm, 박리상 균열 1,061cm, 구조상 균열 1,456cm, 절리 1,277cm로 나타났다. 손상도 평가 결과, 절리 3.6(균열지수), 박리 5.2%, 박락 1.7%, 탈락 0.1%로 산출되었다. 특히 생물학적 풍화가 심하여 주암면의 생물피도는 9단계와 10단계가 전체 면적의 57.5%를 차지하였고, 5~8단계도 22.3%로 아주 높았다. 표면 변색 요인은 Fe과 Ca 및 S로 암갈색과 백색으로 나타나고 흑화 오염물에서는 다량의 C가 검출되며, 모든 영역에서 손상 가중치가 매우 높다. 마애불 암반에서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불연속면이 확인되었다. 암반의 파괴유형 분석 결과, 평면 파괴와 전도 파괴의 가능성이 있으며 쐐기 파괴는 발생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주암면의 초음파 속도는 평균 2,463m/s이며, 절리대가 많은 좌측면 하부가 상대적으로 낮아 상당히 풍화된 단계(HW)와 완전히 풍화된 단계(CW)가 집중 분포하는 취약한 물성을 보였다. 이 마애불에서는 미세 균열의 14.9%와 박리상 균열의 58.9% 정도에서 보존처리가 요구된다. 또한 마애불의 보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수목 정비와 암반의 구배를 고려한 배수 시설 및 지반 정비가 필요하며, 장기적인 보존 관리를 위해 보호 시설도 검토해야 할 것이다.

대순진리회 강성상제의 신격과 그 의미 - 강성(姜聖)의 의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eanings of Daesoonjinrihoe Gangseong Sangje's Divinity)

  • 고남식
    • 대순사상논총
    • /
    • 제22권
    • /
    • pp.1-32
    • /
    • 2014
  • This paper is searching the meaning of Gangseong(姜聖) which came from Gucheon Sangje(九天上帝, the Lord and Creator of the Great Origin of the Ninth Heaven) incarnated in the Gang(姜) family. To study the meaning of Gangseong(姜聖), this paper concentrate on Maitreya(彌勒尊佛) and the sentence about Wonsibanbon(原始返本) Sangje's incarnation in the Gang's family appeared on term Gangseong in the middle of divinity terms(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姜聖上帝). Furthermore, Sangje's surname Gangseong(姜姓) has relation with Maitreya and the sentence about Wonsibanbon. What Maitreya has relation with Gangseong(姜聖) is the legendary poem that Maitreya Statue became complete woman(六丈金佛 化爲全女) and what Wensibanbon has relation with Gangseong is the fact that family name Gang is primary surname all over the world's human beings. Wonsibanbon comprises correction of family lineage and theocracy(政敎一致) which came from tracing and reviving the beginning. As a primary family name, Sangje's incarnation family name Gang plays a leading edge role of religious activity of Sangje because primary family name Gang represents the one and only Truth(眞法) or the principle of Wensibanbon which means the union[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政敎一致), and combining saintliness and heroism (聖雄兼備). According to the one and only Truth(眞法) like this, the first emergence and role of the completely "DoTongKunJa" (道通君子, the perfection of man with Dotong) who Sang-Je declared will build the union[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 shows realization of advance-oriented salvation. Under the principle of Yangsan(兩山, twin mountain, 甑山, 鼎山, the three-story Maitreya Statue of Geumsan Temple) which implies emergence of the completely "DoTongKunJa"(道通君子) who will accomplish the union[unity] of religion and politics(政敎一致), combining saintliness and heroism(聖雄兼備) and advent of the one and only Truth(眞法出現). This could be possible by the almighty of Sangje who incarnated in Gang's family nam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Wensibanbon from the text Jeonkyung(典經) as shown. Adjusting family lineage (血統) means to straighten out the relation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ants, and which has close relation with the activity after Sangje's incarnation in Gang's family nam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Wensibanbon. As far as family lineage was concerned, there are three aspects of close relation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ants. First, general connection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ants, Second Dotong(道通)-related connection, Third after -death entrance(冥府)-related connection. Descendants should know a family history from moral laws of family relationships(天倫) by the Compatibility principle. As for second Dotong-related connection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ants, the fact descendants' Dotong can be accomplished by the act of ancestors' charity shows human beings world(人間界) where descendants live has close organic relation with divine world(神明界) where ancestors live. As for third after-death entrance-related connection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ants, after-death entrance are totally related with both Heavenly order(天道) of ancestors and Humane-order(人道) of descendants. At this point, we can see the relation between ancestors and descendants are very close and organic. As shown from the text Jeonkyung, Sangje as Gucheon Sangje(九天上帝, the Lord and Creator of the Great Origin of the Ninth Heaven) and Maitreya(彌勒尊佛) has descended to the earth adopting Gang's family name according to principle Wensibanbon. By Sangje's incarnation in Gang's family name, the legitimacy of the religion and the perfection of Do could be successed under the law of Yangsan(兩山). Furthermore, Sangje realize the one and only Truth by Adjusting family lineage and producing the completely "true man" through Cheonji Gongsa.

서울 근교능원의 석조문화재와 자생지의류의 생태학적 분포 조사 (the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royal mausoleums of Seoul area)

  • 민경희;안희균;이필순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7호
    • /
    • pp.11-23
    • /
    • 1986
  • Korea has a long history from several thousand years ago. Specially stonecultural properties were used for the long period in Korea. Ancient tombs of prehistoric age, Sukgul-am (stone cave), Chumsung-dae (astronomical observatory)and stone statue of Buddha in the period of three dynasties were made of stone. There after the foundation stone, mortarstone, millstone, and other stone facilities at home have been also used for a long time. For the conservation of the cultural properties, the ecological distribution of lichens was investigated with the stone buildings around tombs and multistory stonepagodas.1. Yoo-nung (The tomb of Emperor Sungjong) : The stone buildings of granitearound tomb about 80 years old are clean and solid in quality, but they were covered in places with three kinds of lichens as the circle forms of pale-green and dark-gray colored thallus in crustose type. They were examined ecological distribution,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lobe size of lichens.2. Yoong-nung (The tomb of son of Emperor Yung-jong) : Granite buildings around tomb about 200 years old are also clean, moreover, they were also covered with the same kinds of crustose lichens in overlap.3. Yung-nung (The tomb of Emperor Sejong) : More than seven species of crustose, foliose and one species of fruticose lichens were growing on thegranite stone buildings built in about 500 years ago.4. Shilluk-sa multistory brick pagoda : It was built at the Koryo dynasty more than about 700 years. More than 5 species of crustose folios and two species of fruticose lichens were growing well on the granite stone at shade area. It was assumed that foliose lichens as dominant species with the respect of ecological aspect.5. Shilluk-sa multistory marble pagoda : This marble pagoda was built at the middle period of the Koryo dynasty as the same age of multistory brick pagoda. It was covered with black colored thallus such as crustose lichens. It is seemed that only crustose lichens on the stone were due to the drymarble stone. From the results described above, distribution of lichens showed that only crustose lichens on the stone from the short history (about 100-200 years) were grown with small size of circle form, stone buildings over 500 years were covered with crustose, folios and fruticose lichens, and the lichens distribution on the stonemore than 500 years appeared more foliose and fruticose than crustose typ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uccession of lichens on the stone buildings iscrustose$\rightarrow$foliose$\rightarrow$fruticose.Parmelia mexicana, Cladonia floerkeana, Ramalina yasudae identified are described in this paper and other unidentified species of saxicolous lichens will bedescribed later.

  • PDF

한국인 여학생 상악 치조골의 성장 양상 분석 (AN ANALYSIS OF THE GROWTH PATTERN OF MAXILLARY ALVEOLAR BONE OF THE KOREAN GIRLS)

  • 박수진;이승표;이유미;김정욱;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61-169
    • /
    • 2011
  • 상악 치조골은 상악골의 일부로 치근을 감싸고 지자하는 역할을 하며 치아의 결손 시 지지구조물로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지금까지 치조골의 성장에 관한 연구는 교정적 치료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영구치 결손을 위한 치료법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장기에 있는 한국인 여학생들의 측모두부규격방사선사진들을 연도 별로 수집하여 상악 치조골의 성장 양상을 분석하였다. 한국인 여학생들의 만 8세에서 만 14세까지 2년 간격으로 측모두부규격방사선 사진, 키, 역연령을 수집하였다. 여섯 항목을 계측하여 각 항목의 평균 최소값 및 최대값을 구하고 각 예측 항목과 역연령, 키 사이의 상관관계 및 동일 항목에서 나이 군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성장량 예측을 위한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상악 치조골은 14세까지 계속 성장하였으나 성장속도는 점차 감소하여 키의 성장 양상과 차이를 보였다. 역연령 및 키와 치조골 높이 사이의 상관 계수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역연령 군 사이의 상관계수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역연령을 기초로 하는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14세 때의 치조골 높이 예측 공식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아 상악 치조골의 성장 양상 이해와 성장량을 예측을 가능하게 하여 임플란트 시술과 같은 적극적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quired Mowing Power and Bale Density of Miscanthus × Giganteus for Field Biomass Harvesting using Different Methods

  • Jun, Hyeon-Jong;Choi, Il-Su;Kang, Tae-Gyoung;Choi, Yong;Choi, Duck-Kyu;Lee, Choung-Ke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9권4호
    • /
    • pp.253-260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arvesting properties of the giant miscanthus (Miscanthus ${\times}$ giganteus) to measure the required mowing power for different stem conditioning methods in order to shorten the drying time after mowing and the bale density so that the crop can be used as biomass in the winter season. Methods: The required mowing power and bale density were measured using a power measurement device, three different mower-conditioners, and a mid-sized round baler under different working speeds and conditioning methods. Results: For the various mower-conditioners, the average stem length from mowing was 0.86-0.91 m, and the available working speed was 1.6 m/s. The steel roller-type mower-conditioner showed better stem conditioning but could not mow over a working speed of 1.6 m/s. The required average power of the mower-conditioners varied from 23.8 kW for the steel roller-type rotary disk mower-conditioner with a working width of 2.4 m to 37.2 kW for the flail-type rotary disk mower-conditioner with a working width of 3.2 m at a working speed of 1.6 m/s. The bale densities were $155.8-172.2kg/m^3$. The highest bale density was measured for stems with no conditioning and a moisture content of 11.3% (d.b.) mowed by the rotary disk mower. The bale density was affected by the mowing method because of the low moisture content of the miscanthus stems. Conclusions: In terms of the working performance and conditioning statue, the steel roller-type mower-conditioner is a better choice at a working width of 2.4 m, while the flail finger-type mower-conditioner is better at a working width of 3.2 m. The type of mower-conditioner used for giant miscanthus harvesting should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harvest area, workable period, and working performance of a mower-conditioner and baler during the winter.

조선의 명의(名醫) 유이태(劉以泰.劉爾泰) 연구 (Famous medical doctor Yoo Itae's Study in the Chosun Dynasty)

  • 유철호;유원준;차웅석;홍세영;김남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7-153
    • /
    • 2013
  • Objective : Two famous medical doctors, Yoo Itae(以泰, 爾泰) and Riu Euitae(義泰), have been well known in academic world and public in Sancheong-gun. Yoo Itae is the progenitor of Majinhak which is the therapy for measles, he wrote a "Majinpyun" as the first book of therapy for measles in Chosun. Riu Euitae, meanwhile, is a fictional medical doctor and a teacher of Heo Jun who became real without confirmation of historical truths by Roh Jeongwoo who heard about a name, Yoo Itae. Roh's assertion was quoted in the report of literatures, papers, novel, and telecast without verification. His assertion is exposed in novel and media and it has seriously distorted the hi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tify the historical distortion. Methods : Various references study was performed. Confirmed a family tree, birth and death year, birthplace, sepulture, words on a tombstone, writing, collections of works anthology and the existence of keepsake. Investigated records of royal family, Sancheong-gun papers, Sancheong Hyanggyo papers, Dongyuhagan, Chosun Hanryuseungram and the record of Sawoo Munjip(anthology). Analyzed Roh Jungwoo's conversation that tells Riu Euitae is a teacher of Heo Jun and contents of an encyclopedia. Listened to testimony of descendants and assertions of historian in rural area. Verified voice recording on books taken from at birthplace and the space of activity. Results : Yoo Itae is well shown in various records and medical writing books, whereas Riu Euitae does not. Riu Euitae is not a real person in the history. Roh Jeongwoo who asserts Riu Euitae is a teacher of Heo Jun admits his mistake. But, the encyclopedia record describing Riu Euitae is a teacher of Heo Jun, government official at Sancheong district office, historians in rural area, historians in rural area who made a family shrine, gravestone, a statue, memorial, historic site of Riu Euitae on Jinju Rui could not suggest any evidences for the existence of Riu Euitae and for record Riu Euitae is a teacher of Heo Jun. Conclusion : Riu Euitae is neither a real person in the history nor a teacher of Heo Jun. Riu Euitae came from pronunciation confusion between 'I' and 'Eui' in Kyungsang province. Riu Euitae is Yoo Itae on Geochang Yoo who was a medical doctor of King, Sukjeong and wrote medical books including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