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외암리 민속마을에 나타난 한국정원의 전환기적 양상

A Study on the Transitional Aspects in Korean Gardens that Reflected of the Korean Folk Village 'Oeam-Ri'

  • 이원호 (국립문화재연구소 자연문화재연구실)
  • Lee, Won H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투고 : 2008.12.19
  • 심사 : 2009.03.20
  • 발행 : 2009.05.29

초록

본 연구는 1920년대 외암리 민속마을을 사례로 정원의 전환기적 양상에 대해 정원요소를 중심으로 다루었다. 이 시기에는 사회 경제 문화적 변화에 따른 종래의 전통적 정원양식과 다른 양식의 정원구성요소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하에 정원구성요소로 수경, 식물, 구조물, 포장 등의 변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환기적 시기인 1920년대는 외부적으로는 외세의 영향과 안으로 실학사상, 개화사상과 더불어 신분제도상의 붕괴조짐이 정원설계요소 변화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외세의 영향으로 외래양식의 도입과 외래수종의 사용이 증가하였으며, 내부적 신분제도상의 변화는 정원양식의 탈규범화를 촉진하여 상위지향적 형태 및 재료의 사용과 공간기능의 변용을 초래하였다. 전환기적 정원의 특성이 나타나는 정원 조영자는 신분제도상의 붕괴에 불구하고 경제력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변화에 지배계급으로 위치를 공고히 한 상류계층에 국한되어 있으며, 식민치하의 사회 혼란상으로부터의 도피적 행태나 선진문물을 선구적으로 받아들이는 행위를 통하여 정원의 변화에 직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의 결과로, 자연에 심산 유곡에 위치한 정원의 입지와 지형처리기술을 발달시켰으며, 외래의 양식을 차용하고 사랑마당 정원을 변모시키는 정원조성행태를 보이게 된다. 정원의 배치 및 공간구성에서 전환기적 양상이 두드러진 유형은 건물과 마당(내원)으로 공간구획의 유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전환기적 정원설계요소의 출현이 빈번한 유형으로 수경관의 형태와 정원공간의 변화는 사랑 마당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외래적인 요소의 영향이 지대한 수경관과 수목, 점경물 등의 도입이 주요한 공간변화를 일으킨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전환기적 정원요소로 수경관에서는 계류를 중심으로 한 부정형지의 회유식 연못이 주를 이루며, 식물은 전통수종이 주를 이루는 가운데 외래수종과 토피아리형 수목인 상록침엽수, 관목류의 출현이 두드러지며 건조물은 외래형식이 가미되고 점경물은 형태와 배치기법 등에 변화가 나타나며 원로가 자주 사용되기도 한다. 전환기적 정원조성기법의 특징은 적극적인 지형처리기법과 정원소유를 위한 영역성의 증대, 정원재료 및 형태의 변화와 양식의 혼재, 정원의 장식미 추구, 정원 내 의식공간의 퇴조, 동선처리 기법의 변화, 차경에서 선경으로의 취경기법의 변화, 사랑마당 공간 변화, 정적인 정원감상기법에서 동적으로의 변화 및 은유에서 직유로 정원표현기법이 달라지고 있다. 또한 정원을 중심으로 한 내부지향적 시각구조로의 변화를 들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는 일환으로 전통과 현대의 교량 역할을 하는 근대시기에 대해 접근해 본 것으로 시기적 양상은 전통정원에서 근대정원으로 전이되는 전환기적 양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향후, 한국조경사의 한 부분으로 근대조경의 시기가 인식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례의 다각적인 접근을 통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추후 과제로 삼는다.

This study is subjected to those gardens of the Korean Folk Village 'Oeam-Ri' designed in 1920s. - transitional period of traditional gardens - and define socio-cultural change's influences and through documents on garden design, descendant's testimony and measured drawings, to understand that period's garden culture'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arden design elements. This study applied following analysis methods and procedures to derive out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garden culture. Analysis o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n 1920s. Analysis on actual condition of transitional garden's design. In this point Outline of the Garden, Space formation, Garden designing elements are (1) water landscape, (2) plant, (3) structures, (4) paving, to derive out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garden. The results follow as below; First,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1920s, the economical development, fueled by opening nation's door to foreign countries and indication of collapse of statue systems together with idea of practical science and Enlightenment Thought, was element of changes in garden style. Second, Garden Designers of transitional gardens in 'Oeam-Ri' were limited to upper class of the society. They were wealthy enough to maintain their high social statue in rapidly changing society. As results, tendency of returning to nature developed gardens located in a site of scenic beauty and development of geographical features arranging techniques, and also showed copying foreign styles. Third, arrangement of garden and space composition, in most cases, composed of buildings and yards. Changes in water landscape features and garden spaces are centered to main-yard. Major changes of the garden spaces are water landscapes and plants that showing foreign influences. Fifth, scenic appearance techniques appears with dense garden space and emphasizing visual scenic view. Sixth,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garden design techniques ar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feature arranging techniques, changes and mixture of the materials and garden types, emphasizing garden's decorative beauty, change of concept of yard within house into garden, changes from 'borrowing of landscapes' to 'selecting landscapes', changes of front garden from emptiness to fullness, changes of attitudes of enjoying gardens from 'staying calm in the garden' to 'moving or walking in the garden', changes to inner-oriented view, and changes from 'just watching and enjoying the nature' to 'enjoying specific objects'. This study is one of the efforts to restore the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by approaching and observing modern era which function as bridge between tradition and present day, and we observed transitional aspects of changes of traditional garden into modern garden. Hereafter, more studies will be needed to Modern Garden Design be recognized as part of Korean Garden Design History and these would be author's next assign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