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t-up performance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31초

창업멘토링 기능이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적 기민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Mentoring Function on Management Performance of Start-up Companies: Focusing on Entrepreneurial Alertness)

  • 이정하;이동명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5호
    • /
    • pp.45-61
    • /
    • 2023
  • 정부의 창업지원 정책으로 창업률은 높아지고 있으나 기업의 지속적인 생존률 및 성장률은 창업률에 비해 현격이 낮은 것이 사실이다. 스타트업의 생존률과 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창업멘토링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창원지원사업에 선정된 기업들은 스타트업이 회사를 운영함에 있어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어 창업멘토의 멘토링을 통해 스타트업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창업멘토링 기회가 많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의 경영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창업멘토링과 창업기업의 기업가적 기민성에 대한 요인이 어떠한 영향 관계에 있는지를 규명하기위해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창업멘토링을 받은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창업멘토링이 기업가적 기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업가적 기민성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요인별로 실증 분석하였다. 더불어 정부지원사업에 있어서 초기기업과 도약기업의 기준이 되는 창업 3년미만 기업과 3년이상 기업으로 나누어 각 그룹별로 멘토링 기능과 기업가적 기민성 간 업력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멘토링 문제해결 기능이 기업가적 기민성 평가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멘토링의 동기부여 기능이 기업가적 기민성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업간 업력에 따라 멘토링 기능이 기업가적 기민성에 조절효과가 일부에서 나타났다.

  • PDF

외식창업 성공요인이 경영성과와 창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uccess Factors of Foodservice Business Start-up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Satisfaction -Focused on Daegu·Gyeongbuk Area-)

  • 이희혁;유영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33-24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창업 성공요인이 경영성과와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 추가적으로 경영성과는 외식창업 성공요인과 창업만족도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식창업 성공요인은 입지, 서비스, 시설, 상품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외식창업 성공요인의 입지, 서비스, 시설, 상품 요인은 모두 경영성과와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영성과는 창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영성과는 외식창업 성공요인과 창업만족도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외식창업 성공요인, 경영성과 및 창업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ship on Technological Innovation of Technology-based Start-ups in Korea

  • Ahn, Seungku;Kim, Juil;Lee, Kwang-Hoo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1호
    • /
    • pp.90-107
    • /
    • 2021
  • This paper analyses how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entrepreneurship of technology-based start-ups affect their performance. In this paper,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248 technology-based start-ups. The effects of indicators of technological capacity like R&D intensity, R&D organization, technology competitiveness, patents, and certification were analyzed. Factors affecting sales were R&D intensity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echnology competitiveness and patents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product competitiveness. The factor that positively influenced organizational performance, customer performance, and achievement of start-up goals wa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The results of such an analysis should be designed to discover and foster long-term innovation potential, rather than relying on short-term financial performance.

창업투자보조금 사업의 지원 성과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Start-Up Investment Subsidies)

  • 김주미
    • 정보화연구
    • /
    • 제10권1호
    • /
    • pp.137-145
    • /
    • 2013
  • 정부는 최근까지 창업 촉진 및 신규 일자리 창출 도모를 목적으로 비 수도권 제조 창업기업에 대해 창업투자 보조금을 지원해 왔다. 정부의 이러한 보조금 지급 결과, 4년간 총 1조 5천 4백 60억원 정도의 매출 증대 효과와 비정규직 포함 총 3,825명의 고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창업투자 보조금에 대한 전반적 성과와 더불어 개선되어야 할 정책적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한다.

창업마케팅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rketing Characteristic on Business Performance)

  • 전인오;안운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97-109
    • /
    • 2016
  • 우리나라의 신생기업은 5년 후 생존율이 29.6%로 낮아진다. 이는 초기의 창업기업들이 중견기업에 비해 자원이 풍부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존율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창업기업의 마케팅특성이 주요 원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 등은 창업기업에 따라 다르게 소유하고 있으며, 특히 창업기업의 경우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조사될 수 있다고 판단되어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이 창업기업의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관계를 검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성과를 측정하여 창업기업의 대표자들에게 창업기업의 생태계에 관련된 내용을 시사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15년도를 기준으로 창업한지 3년 6개월 이내의 창업기업가들을 대상으로 2015년 11월 20일부터 12월 20일까지 창업 기업 종사자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데이터클리닝 한 결과 207개의 표본을 대상으로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독립변수인 창업기업의 마케팅환경이 매개변수인 마케팅전략에 미치는 영향은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에 있어 제품전략, 유통 전략, 촉진전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변수인 마케팅전략이 종속변수인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품전략, 유통전략, 촉진전략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마케팅전략의 매개효과는 학습지향성,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제품전략과 유통전략이 확실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학습 지향성과 마케팅경험, 경쟁지향성이 비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제품전략만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의 요약을 종합해보면 창업기업이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마케팅전략을 펼쳐야 하는데 특히 학습지향성과 마케팅경험이 중요시되며 창업마케팅특성이 기업성과를 높이는데 있어서 제품전략과 유통전략이 재무성과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제품전략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를 높인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창업기업 마케팅특성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창업마케팅특성에 따른 마케팅전략을 펼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 PDF

고온 혐기성 소화공정의 start-up seed로서의 호기성 폐 활성슬러지 이용가능성 연구 (Waste Activated Sludge for Start-up Seed of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 김문일;신규철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90-495
    • /
    • 2005
  • Since there are very limited numbers of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ers being operated, it is often difficult to start up a new one using sludge from an existing reactor as a seed. However, for obvious reasons it seems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mpare the start-up performance of thermophilic anaerobic digestion using different sources of seed slud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art-up performance of anaerobic digestion using aerobic Waste Activated Sludge (WAS) from a plant and mesophilic Anaerobic Digested Sludge (ADS) as the seed source at both mesophilic ($35^{\circ}C$) and thermophilic ($55^{\circ}C$) temperatures. In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First, thermophilic anaerobic reactors were seeded with WAS (VSS = 4,400 mg/L) and ADS (VSS = 14,500 mg/L) to investigate start-up performance with a feed of acetate as well as propionate. The results show that WAS started to produce $CH_4$ soon after acetate feeding without a lag time, while ADS had a lag time of 10 days. When the feed was changed to propionate, WAS removed propionate down to below the detection limit of 10 mg/L, while ADS removed little propionate and produced little $CH_4$. Second, in order to further compare the methanogenic activity of WAS and ADS, both mesophilic and thermophilic reactors were operated. WAS acclimated to anaerobic conditions shortly and after acclimating it produced more $CH_4$ than ADS. WAS at mesophilic temperature biodegraded acetate at the same rate as for thermophilic. However WAS at mesophilic temperature biodegraded propionate at a much faster rate than at thermophilic. WAS as the seed source of anaerobic digestion resulted in much better performance than ADS at both mesophilic and thermophilic temperatures for both acetate and propionate metabolism.

강원도 청년창업 지원사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Youth Startup Support Project in Gangwon-do Province on Startup Performance)

  • 윤지원;박우진;배병윤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135-149
    • /
    • 2020
  • 청년취업은 매해 사회적인 이슈가 되면서 정부에서는 청년취업률 제고방안으로 자발적인 일자리 창출을 위하여 청년창업 지원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강원지역의 청년들의 경우 타 지역으로 전출하는 인구수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강원도에서 추진 중인 '청년 창업 프로젝트'를 통해 실질적으로 청년 창업에 어떤 성과를 보였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창업기업의 특성인 정부지원 참여도, 교육이수 정도, 지식재산권 보유정도, 인증 보유정도인 4가지로 분류하고 창업성과(매출액, 존속기간, 존폐여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통제변수로 나이와 지리적 요인(영동·영서)으로 투입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나아가, 창업기업 특성과 창업성과 간의 후속지원이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육이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특성은 매출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정부사업 참여도가 많을수록 기업 존속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의 존폐여부에 대해서는 정부지원사업 참여도가 정(+)의 방향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매개변수인 후속지원에 대한 분석결과는 창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후속지원 매개효과에서는 지리적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특성 모두 창업성과간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년 창업기업의 성과제고를 위하여 (예비)청년창업자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창업지원기관에서는 원활한 기업 관리와 선정을 위하여 기업 특성들을 참고해볼 필요성이 있다. 강원도지역에서는 성공적인 창업사례를 도출하기 위하여 창업기업의 시기별 유기적 연계지원을 강구해야할 것이다.

창업보육기업의 창업자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to Business performance of business incubator company via CEO's Characteristics)

  • 김민수;황보윤;김홍
    • 벤처창업연구
    • /
    • 제5권2호
    • /
    • pp.33-57
    • /
    • 2010
  • 본 연구는 창업자의 특성이 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창업보육기업의 핵심 성공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창업자의 특성은 주로 심리적 특성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와 달리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이외에 행위적 특성과 경력 특성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창업보육센터의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창업자의 심리적 특성 특히 성취욕구와 위험 감수 능력이 높을수록 기업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업자 창업 경험이 풍부할수록 기업 성과가 높은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는 표본이 주로 충남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향후 연구는 포괄적인 범위에서 연구 대상을 설정하고 아울러 기업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독립변수를 고려한 장기간의 광범위한 추가 연구가 요망된다.

  • PDF

창업가역량과 창업보육 프로그램 지원이 기술창업기업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기업 역량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Competences on Corporate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 김진한;조진형;이세재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32-142
    • /
    • 2020
  •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pursuing various support policies to foster start-ups national widely in order to secure new economic growth engine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diffusion strategy for the 2'nd round Start-up Boom in March 2019 and is promoting the support policies for start-up incubating by various programs. Many incubators and startup accelerators operate various kinds of programs to foster start-ups using government financial supp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technical capability of entrepreneurs as the internal factors of the technology-based start-ups and the effects of program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s an external factor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a start-up compan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ore competence of start-ups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results show that the entrepreneurship, technical capability and the programs supported by incubators or accelerators had no direct effects on the corporate performance of a start-up, but the core competence of the company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s. In addition, the type of program supported by the comprehensive accelerator programs or the marketing supports had effects on the core competence rather than simple financial supports. Lastly, the policy proposals for incubating program suppor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long with the limitation are suggested.

Effects of CEO's Self-Determination on Start-up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in Service and Distribution SMEs

  • SHIN, Hyang-Sook;BAE, Jee-Eun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1권4호
    • /
    • pp.31-44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EO's self-determination on entrepreneurship, business performance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Also, this research provide some strategic insights for improving business performance. In the proposed model, self-determination consist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and entrepreneurship consists of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 sensitivity, and proactivenes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proposes a framework that entrepreneurship and operational performance will play mediating roles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financial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SME CEOs for analysis, and a total of 122 samples were used. In the analysis process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nd evaluation, frequency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In addition, a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CEO's self-determination,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operational and financial performance) using SmartPLS 3.0. Results: The findings and summar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nomy of self-determin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Second, the competence of self-determination affects entrepreneurship and operational performance. Third, it affects the innovation, initiative and risk sensitivity of the CEO's entrepreneurship, and ultimately, its oper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 that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tart-up also increases when self-determination can be a factor in increasing entrepreneurship in three sub-dimensionalities. Conclus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in order for SMEs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company by securing competitiveness after start-up, external motivation such as external help and support from the state (local government) is important, but competence and relationship, which are components of self-determination.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he CEO may be more important. To this end, CEO's should prioritize learning for competency development, and the government should pay attention to providing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hrough establishment of education policies and education systems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start-up C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