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rch gel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32초

아밀로오스 함량과 Gel Consistency의 차이에 의한 품종별 쌀전분의 노화특성 (Retrogradation Behavior of Rice Starches Differing in Amylose Content and Gel Consistency)

  • 금준석;이상효;이현유;이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052-1058
    • /
    • 1996
  • 쌀 품종별 가공특성에 관한 연구의 일부로 아밀로오스 함량과 gel consistency가 다른 5가지 품종에 대한 노화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Brabender amylograph에 의한 쌀 품종별 호화특성에서는 아밀로오스 함량에 관계없이 hard gel인 품종이 높은 setback 값을 보였다. 45%의 쌀전분 겔을 $20^{\circ}C$에서 저장하면서 0, 1, 2, 3, 5일 후의 rigidity modulus (E)를 측정한 결과 hard gel인 품종의 초기경도가 soft gel에 비해 더 높았는데 고아밀로오스 품종의 경우는 초기 경도에 관계없이 최종경도가 다른 품종들에 비하여 더 높았다. Avrami equation에 의한 쌀전분겔의 노화 특성 연구에서는 고아밀로오스인 수원232호와 San Li Cun이 각각 4.42와 7.94로 작은 시간상수(1/k)값을 나타내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을수록 노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종별 gel consistency의 차이가 노화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일정한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 PDF

벼에서의 아밀로즈 생합성 관련 Wx 단백질의 동정 및 분리 (Identification and purification of Wx protein involved in biosynthesis of amylose in Rice)

  • 남백희;김진구;최해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533-538
    • /
    • 1993
  • 아밀로즈는 ${\alpha}-1,4$ 결합으로 이루어진 포도당의 중합체로 곡류에서의 식품학적 기능성을 결정하는 가중 중요한 전분의 구성성분으로, 이의 함량은 단일 우성유전인자인 Wx 유전인자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알려지고 있다. 지금까지 Wx 단백질이라고 알려지는 전분 합성 효소(starch-bound starch synthase)는 아밀로즈의 생합성에 관련된 효소로 아밀로즈의 함량을 조절하는 단백질로 알려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밀로즈의 생합성 기작 연구의 한단계로 Wx 단백질인 아밀로즈 합성 효소를 동정하고 분리하였다. 아밀로즈의 함량이 매우 다양한 변이품종들로부터 전분 결합 단백질을 추출하고 이를 전기영동 분석을 통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분과 결합하여 존재하는 66 kDa의 단백질이 전분 중 아밀로즈의 함량과 매우 높은 연관관계를 전기영동상에서 보여주고 있어, 이를 Wx 단백질로 동정하였다. 아울러 이 단백질을 전분으로부터 분리하고, gel filtration 과정을 통하여 순수 분리하는 정제 방법을 확립하였다.

  • PDF

녹두전분의 리올로지 성질 (Rheological Properties of Mungbean Starch)

  • 권순혜;김명희;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8-43
    • /
    • 1990
  • 녹두전분의 농도(5-8%, 건량기준)와 가열온도$(80-95^{\circ}C$)가 전분의 리올로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녹두전분은 농도에 관계없이 아밀로그래프의 최고점도를 보이지 않았고 가열 중 점도는 계속 증가하였다. 전분호화액은 항복응력을 가진 의가소성 유체의 성질을 보였고, 점조도지수는 농도와 가열온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유동지수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전분 겔을 $4^{\circ}C$에 저장하는 동안 겔의 수축정도는 농도와 가열온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아밀로그래프를 이용하여 $95^{\circ}C$에서 15분간 호화시켜 만든 농도 7과 8%의 겔의 초기경도는 6% 겔보다 2배 이상 높았으나, $4^{\circ}C$에서의 노화속도는 농도와 가열온도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초미세분쇄를 이용한 옥수수 변성전분의 물리적 특성 변화 구명 (Investigation of Physical Property Change in Modified Corn Starch by Ultra Fine Pulverization)

  • 한명륜;김애정;장문정;이수정;김희선;김명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4호
    • /
    • pp.335-340
    • /
    • 2009
  • 본 연구는 초미세분쇄기술을 이용하여 옥수수전분의 입자구조파괴가 이루어졌을 때 분자구조적, 물리적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초미세 분쇄처리 후 옥수수전분의 평균직경은 약 50% 감소가 이루어졌으며 비표면적은 567% 증가하였다. 초미세분쇄처리 전 후의 옥수수전분에 대한 분자량분포를 GPC로 측정한 결과 분쇄 후 저분자량의 Peak II의 면적이 21.0%에서 86.5%로 상승하였다. 손상전분 함량은 각각 9.63%와 83.57%로 초미세분쇄처리에 의하여 크게 증가하였다. 옥수수전분의 경우는 겔(gel)을 형성하였으나 초미세분쇄처리 후에는 전분의 분쇄과정에서 전분입자파괴와 아울러 옥수수전분의 분자량이 저분자화 되면서 겔 형성능력이 크게 저하되었다.

호화전분의 쌍축형 압출성형에서 전분액화 및 체류시간 분포 (Starch Liquefaction and Residence Time Distribution in Twin-Screw Extrusion of ${\alpha}$-Starch)

  • 김성욱;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69-373
    • /
    • 2009
  • 전분액화에 호화찰옥수수전분가 쌍축형 압출성형의 원료로 직접 사용되었다. 그 액화 효과와 체류시간분포를 분석하였다. 내열성 ${\alpha}$-amylase(Bacillus licheniformis로부터 분리)를 함께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전분액화는 환원당측정,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GPC),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배럴온도와 수분함량이 높을수록 환원당 함량은 증가하였고, 호화전분의 경우 생전분보다 더 많은 환원당이 생성되었다. GPC에서 호화전분의 사용에 의한 저분자화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효소 첨가없이 압출성형하는 경우에는 일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사전자현미경의 미세구조에서는 호화전분을 쓸 경우 그 표면이 더 불규칙하고 침식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호화전분의 사용이 전분액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체류시간분포에서는 호화전분을 원료로 할 경우 그 분산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호화전분은 압출성형의 흐름이 원만하지 않은 것을 의미하였으나, 배럴온도와 수분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 그 분산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몇가지 첨가물이 감압 알칼리 수세한 고등어 Surimi의 열특성 및 Gel 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Additives on the Thermal Properties and Gel Structure of Mackerel Surimi Prepared by Alkaline Washing under Reduced Pressure)

  • 박형선;박상우;양승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50-1356
    • /
    • 1998
  • 양질의 고등어 surimi gel을 산업체에서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설계 제작한 감압수세장치를 이용하여 560 mmHg의 감압 하에서 알칼리 수세하여 제조한 고등어 surimi에 난백, 대두 단백, 옥수수전분 및 Read Amity-N등 4종의 첨가물을 각각 첨가, 혼합한 후 이들 첨가물이 surimi의 열특성, gel 강도 및 gel 조직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한 결과, DSC에 의한 고등어 surimi 단백질의 열전이 온도는 각각 40, 52, 67 및 $79^{\circ}C$이었고 NaCl 3% 첨가 시는 37, 46, $57^{\circ}C$$76^{\circ}C$로써 열전이 온도가 낮아졌으며, 난백, 대두단백, Read Amity-N 및 옥수수전분 등 4종 첨가물의 열전이 온도는 각각 77, 78, 61 및 $63^{\circ}C$이었다. NaCl 3% 및 Read Amity-N와 옥수수전분을 각각 3% 첨가 시는 각각 90 및 $92^{\circ}C$에서 새로운 peak가 나타났으며 이는 NaCl 첨가로 인하여 첨가한 전분의 호화온도가 이동함을 알 수 있었다. 4종 첨가물의 종류에 따른 surimi cooked gel의 gel강도 증진효과는 난백 첨가구에서 gel강도 $690\;g{\cdot}cm$로써 가장 높아 대조구$(455\;g{\cdot}cm)$ 보다 51.6% 증진되었으며 그 다음 대두단백, Read Amity-N 및 옥수수전분의 순이었다. SEM에 의한 cooked gel의 관찰 결과 첨가물을 첨가한 것들 (첨가구들)은 첨가하지 않은 것(대조구) 보다 더욱 조밀한 스폰지상의 구조를 나타내었다.

  • PDF

Image Analysis of Surimi Sol and Gel in Composite System

  • Yoo, Byoung-Seung;Lee, Chong M.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92-294
    • /
    • 1998
  • Surimi sol and gel were prepared by mixing egg albumin, starch, oil and carrageenan, which are used as representative ingredients in the surimi composite, at different ratio. Structural properties in surimi composite were investigated by examining the phase changes and dispersion pattern (average particle size, size range and the averge number of particle) of the particulate ingredients in sol and gel with an image analyzer. A staining technique of the specimen containing egg albumin in surimi gel was developed by adjusting pH of a toluidine staining solution. Image analysis revealed that size and density of ingredient particles were function of the level and dispersion of ingredients except of starch-incorporated surimi gel which showed maximum particle size at 6%.

  • PDF

젤라틴, 분리대두단백 첨가가 녹두전분의 겔특성에 미치는 영향 (Gelling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Supplemented with Gelatin and Isolated Soy Protein)

  • 최은정;오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64-673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s supplemented with gelatin and isolated soy protein (0, 2, 5%) during storage at $5^{\circ}C$ for 0, 24, 48, and 72 hours. The swelling power of mung bean starch supplemented with gelatin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hereas those supplemented with isolated soy protein (ISP)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mung bean starch supplemented with gelatin and ISP, however,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soluble amylose and soluble carbohydrate of mung bean starch supplemented with gelatin and ISP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In terms of pasting properties measured by the Rapid Visco Analyzer (RVA), the pasting temperature of mung bean starch supplemented with gelatin and IS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reas peak viscosity, minimum viscosity, final viscosity, breakdown, and consistency decreased. DSC thermograms showed that the onset temperature of mung bean starch supplemented with gelatin and ISP did not significantly change, whereas the enthalpy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5% ISP. The lightness (L) and redness (a) of mung bean starch gels supplemented with gelatin, ISP, and without additives increased during cold storage, whereas the yellowness (b) decreased. The addition of gelatin and ISP suppressed changes in L, a and b of mung bean starch gel during cold storage. Synereses of mung bean starch gel supplemented with gelatin and ISP was lower than that without additives, with the addition of gelatin suppressing synereses more than ISP. The addition of gelatin and ISP also suppressed increases in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mung bean starch gels during cold storag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addition of gelatin and ISP suppressed increases in hardness and brittleness of mung bean starch gels during cold storage. The addition of 2%, 5% gelatin and 2% ISP also suppressed a decrease in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mung bean starch gels during 24-48 hr cold storage. Thus, the addition of 2-5% gelatin and 2% ISP to mung bean starch is appropriate for suppressing the quality deterioration of 24-48 hr cold-stored mung bean starch gels.

묵의 구조와 텍스쳐 (Structure and Textural Property of Mook)

  • 배광순;손경희;문수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5-191
    • /
    • 1984
  • 전분 젤의 특성을 정토하기 위하여 녹두, 감자, 고구마로 제조한 전분 겔 및 감자, 고구마 전분에 녹두 전분을 혼합하여 제조한 전분 겔의 구조 및 텍스쳐를 측정하고. 관능검사에 의해 전분 겔의 수응력을 평가하였다. 균일하고 porous한 구조를 보인 녹두 겔이 텍스쳐 측정치가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관능검사에서도수응력이 높게 평가되었다.

  • PDF

친수성 다당류 첨가가 녹두전분 겔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with Various Hydrocolloids)

  • 최은정;오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40-55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containing various hydrocolloids (carrageenan, locust bean gum and xanthan gum)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25^{\circ}C$ for 24, 48 and 72 hours). Carrageenan and xanthan gum reduced the pasting viscosity of mungbean starch, whereas the locust bean gum increased the viscosity. The melting characteristics, as assessed by DSC, showed that carrageenan and xanthan gum delayed gelatinization of mungbean starch and the locust bean gum had no effect on this property. The lightness (L) of the gels with the locust bean gum was similar to that without the additive during storage, whereas that with carrageenan and xanthan gum was higher than that without the additive. Hard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the gels with the locust bean gum was higher than that without the additive during storage, whereas that with carrageenan and xanthan gum was lower than that without the additive. The rupture stress, rupture strain and rupture energy of the gels with carrageenan and xanthan gum was lower than that without the additive during storage, whereas that with the locust bean gum was similar to that without the additive. In the sensory evaluation,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the gels with carrageenan and xanthan gum were lower than those without the additive, whereas springiness, brittleness and hardness of the gels with the locust bean gum were higher than those without the additive. In addition,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gels with the locust bean gum improved.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carrageenan and xanthan gum lower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ungbean starch gel and the locust bean gum improved them. Thus, the addition of 0.5% locust bean gum is an appropriate method for improv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