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ainless steel crown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4초

연질 PE관을 이용한 여름딸기 부분냉방기술 개발 (Spot Cooling System Development for Ever-bearing Strawberry by Using Low Density Polyethylene Pipe)

  • 문종필;강금춘;권진경;이수장;이종남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149-158
    • /
    • 2014
  • The effects of spot cooling on growing ever-bearing strawberry in hydroponic cultivation during summer by spot cooling system was estimated in plastic greenhouse located in Pyeongchang. The temperature of cooling water was controlled by heat pump and maintained at the range of $15{\sim}20^{\circ}C$. Cooling pipes were installed in root zone and very close to crown. Spot cooling effect was estimated by applying system in three cases which were cooling root zone, crown plus root zone, and crown only. White low density polyethylene pipe in nominal diameter of 16 mm was installed on crown spot, and Stainless steel flexible pipe in nominal diameter of 15A was installed in root zone. Crown and root zone cooling water circulation was continuously performed at flowrates of 300 ~ 600 L/hr all day long. Strawberry yields by test beds were surveyed from Aug. 1 to Sep. 30. The accumulated yield growth rate compared with a control bed of crown cooling bed was 25 % and that of crown plus root zone cooling bed was 25 % and that of root zone cooling bed was 20 %. The temperatures of root spot in root zone cooling was maintained at $18{\sim}23.0^{\circ}C$ and that of crown spot in crown cooling was maintained at $19{\sim}24^{\circ}C$. Also, the temperatures of root spot in crown plus root zone cooling bed was maintained at $17.0{\sim}22.0^{\circ}C$ and that of crown spot was maintained at $19{\sim}25^{\circ}C$.

Stainless steel crown 순면위에 레진피복을 이용한 전치부 심미적 수복 (ESTHETIC RESTORATION OF ANTERIOR STAINLESS STEEL CROWN WITH COMPOSITE RESIN VENEER)

  • 박종하;안수현;김재곤;백병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805-812
    • /
    • 1997
  • Despite dentistry's attempts to improve the dental health of the public and to minimize the effects of caries, many children still present with extensive destruction of primary anterior teeth. One of dentistry's most challenging tasks is to repair these teeth with restoration which are durable, retentive, and esthetic. Esthetic restoration can often be achieved with polycarbonate crowns, strip crowns, conventional S-S crowns, open-faced S-S crowns, commercially veneered S-S crowns. But, all of these have limitation. Advances in restorative materials and metal-bonding procedures have made possible new restorative techniques that combine the advantages of S-S crowns with the cosmetics of composite restoration methods. The described technique of bonding composite to trimmed and fitted S-S crowns offers many advantages over other techniques currently used to restore primary anterior teeth. 1. If S-S crowns are accurate trimmed and contoured, good retention of crowns is achieved. 2. The patient time required is similar to that of conventional S-S crowns. 3. Good esthetics and high bond strengths are achieved. 4. It is possible to use this veneering technique intraorally on crowns that have fractured veneers.

  • PDF

유동성 복합레진을 이용한 유구치 II급 수복의 생존율 (Survival Rates of Class II Restoration in Primary Molar with Flowable Resin Composite)

  • 서혜준;박소영;이은경;정태성;신종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2-2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환자의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치료에 유동성 복합레진을 이용한 II급 와동 수복물의 생존율을 기성금속관과 비교하여 후향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2015년 6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인접면 우식증으로 진단되어 유동성 복합레진과 기성금속관 수복 치료를 시행한 590명의 1,504개의 유구치에 대한 전자의무기록과 방사선사진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해 생존 분석을 하였다. 유동성 복합레진 수복된 치아의 1년 생존율은 98.5%, 3년 생존율은 87.7%, 평균 생존기간은 39개월이었으며, 기성금속관과 비교할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 0.896). 현 연구의 한계 내에서 유동성 복합레진을 이용한 II급 수복은 유구치 인접면 우식증 치료의 예지력 있는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구치부 수복 (MOLAR RESTORATION WITH AN ORTHODONTIC BAND)

  • 이석우;이제호;최형준;손흥규;김성오;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1-95
    • /
    • 2009
  • 소아 및 청소년에서 유구치 및 대구치는 인접면이나 평활면에 광범위한 치아우식증으로 치질이 많이 파괴되거나, 치수치료로 인하여 치질 부위가 약해져서 파절되기 쉬운데, 치료방법으로 기성금속관이 사용되고 있다. 기성금속관은 1950년대 Humphrey에 의해서 소개되었고, 장점으로 내구성이 강하고, 임상적 수명이 길며, 성공률이 높지만, 치질 삭제로 인한 치수노출 위험성과 인접 치아의 삭제의 가능성이 있고, 다수의 치아 수복 시에 교합면 높이를 맞추기 어려우며, 큰 크기의 기성금속관을 선택한 경우 금속관의 변연에 의해 인접 치아의 맹출을 방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기성금속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구치부 수복 시 교정용 밴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는데, 치아우식증으로 파괴된 치질 부위를 교정용 밴드와 복합레진, 또는 글래스아이오노머, 아말감 등으로 수복하는 방법이다.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구치부 수복은 치경부와 교합면에 치아우식증이 있어 치질이 많이 파괴되거나, 치수치료한 치아, 법랑질 저형성된 대구치 등에서 사용될 수 있고, 시술 시간이 짧아 행동조절이 어려운 어린이에서 유용하다. 그러나, 치료 후 구강위생상태를 청결히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 증례들에서는 유구치와 대구치에 광범위한 치아우식증의 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아에서 교정용 밴드를 이용한 보존적 수복치료를 시행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인체 섬유모세포(HGF-1) 배양에서 소아용 치과금속재의 세포친화성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A MOLECULAR BIOLOGIC STUDY ON BIOCOMPATIBILITY OF METALLIC DENTAL MATERIALS USED FOR CHILDREN WITH CULTURED HUMAN GINGIVAL FIBROBLASTS)

  • 김주미;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43-254
    • /
    • 2002
  • 소아치과 임상에 흔히 사용되는 3종의 금속재에 의한 인체 섬유모세포(HGF-1)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에 대한 세포적 및 분자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세포의 성장과 증식 및 세포사, 그리고 이들과 관련된 세포내 신호전달물질 발현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고, 세포사는 screening한 후 세포사의 유형(necrosis/apoptosis)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HGF-1은 DMEM으로 계대배양한 후 유지하였으며, 사용한 금속재는 stainless steel crown (R), 교정용 band(B), 교정용 wire(W)의 세 종류였다. HGF-1세포의 증식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cell count를 하였고, 생존세포 count를 위하여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증식도를 계산하였다. 세포수는 배양일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여 7일째에 최고를 나타내었고, 11일째에는 감소하였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상대증식도 또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세포사에 대한 형태적 소견은 괴사(necrosis)를 나타내었다. PCNA lableing index에 대한 대조군과 실험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신호전달 관련 MAP kinase인 ERK1 및 ERK2, p38, JNK는 배양일의 경과에 따른 발현의 변화는 관찰되었으나, 대조군과 각 실험군 간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대상인 stainless steel crown, 교정용 band 와 wire, 세 종류의 소아 치과용 금속재는 단기간의 인체섬유모세포를 이용한 세포친화성 검정에 있어서 세포적, 분자적 위해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 PDF

여러가지 post-and-core로 수복된 상악 중절치의 유한요소법적 연구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XILLARY CENTRAL INCISORS RESTORED WITH VARIOUS POST-AND-CORE APPLICATIONS)

  • 서민석;손원준;이우철;유현미;조병훈;백승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4호
    • /
    • pp.324-332
    • /
    • 2009
  • 근관 치료된 치아의 수복에 있어서 파절은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는 점이다. 포스트를 사용해서 수복한다는 것은 치수와 다른 단단한 물질을 근관 내에 삽입한다는 것으로 자연스럽지 못한 구조를 만들어서 고유의 응력분산을 변화시킨다. 오랫동안 수많이 in vitro 연구들이 post-and-core로 수복된 치아의 파절 저항에 대해서 이루어졌지만 어떤 것이 최상의 선택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상충되는 관점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한요소분석법을 사용하여 post-and-core system의 물리적인 성질이 치질의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어떤 조합이 파절 저항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근관 치료된 상악 중절치를 삼차원 유한 요소법으로 Modeling하였다. 1.5 mm의 ferrule 높이를 부여하고 외관은 zirconia ceramic crown으로 지정하였다. 세가지 평행한 형태의 포스트 (zirconia ceramic, glass fiber, and stainless steel)와 두 가지 코어 (Paracore and Tetric ceram) 물질을 6개의 모델로 조합하였다. 각각의 모델은 해면골, 피질골, 치주인대, 그리고 4 mm 근관 충전을 가지도록 설계하였다. 50 N의 정적인 교합력이 치아 장축에서 60도 각도로 치관의 설면에 적용시켰다. 모델들의 응력전달 특징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결과를 나타내는 데는 Maximum von Mises stress 값을 사용하였고 최대 변위량과 정수압도 계산하였다. Glass fiber post로 수복된 경우 높은 탄성계수를 가진 레진 코어 모델 (29.14 MPa)에서 낮은 탄성계수의 코어 모델 (29.21 MPa)보다 더 낮은 응력이 발생하였다. Glass fiber post로 수복된 모델 (0.03497-0.03499 mm)은 다른 포스트로 수복된 모델들 (0.03245-0.03452 mm)보다 더 많은 최대 변위량을 보였다. 이는 glass fiber post로 수복된 치아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치아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더 많이 움직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Zirconia ceramic 이나 stainless steel 과 같이 탄성계수가 큰 포스트는 응력을 증가시키지만 포스트가 스트레스를 대부분 흡수하여 치질에는 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났다. Glass fiber post로 수복된 모델에서는 코어와 크라운이 만나는 순면 치경부에서 가장 높은 응력이 발생하였다.

Evaluation of internal fit of interim crown fabricated with CAD/CAM milling and 3D printing system

  • Lee, Wan-Sun;Lee, Du-Hyeong;Lee, Kyu-Bo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4호
    • /
    • pp.265-27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nternal fit of the crown manufactured by CAD/CAM milling method and 3D printing method. MATERIALS AND METHODS. The master model was fabricated with stainless steel by using CNC machine and the work model was created from the vinyl-polysiloxane impression. After scanning the working model, the design software is used to design the crown. The saved STL file is used on the CAD/CAM milling method and two types of 3D printing method to produce 10 interim crowns per group. Internal discrepancy measurement uses the silicon replica method and the measured data a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to verify the statistic significance. RESULTS. The discrepancy means (standard deviation) of the 3 groups are $171.6\;(97.4){\mu}m$ for the crown manufactured by the milling system and 149.1 (65.9) and $91.1\;(36.4){\mu}m$, respectively, for the crowns manufactured with the two types of 3D printing system.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3D printing system group showed more outstanding value than the milling system group. CONCLUSION. The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the interim restoration has more outstanding 3D printing method than the CAD/CAM milling method. Therefore, the 3D printing method is considered as applicable for not only the interim restoration production, but also in the dental prosthesis production with a higher level of completion.

상아질 형성부전증에 대한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F DENTINOGENESIS IMPERFECTA)

  • 전은민;김은정;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23-328
    • /
    • 2006
  • 상아질 형성부전증은 상아질 형성 이상이 초래되는 유전성 질환으로, 주로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된다. 8000명당 1명꼴로 발생하며 남녀 성별의 차이가 없고 유치열과 영구치열 모두에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으며, Shield등은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환 받은 치 아는 다양한 치아 변색, 법랑질의 박리, 급속도의 상아질의 파괴, 심한 마모현상 등의 임상소견을 보인다. 따라서 치간이개, 고경감소, 저작능력의 저하, 치태와 치석의 침착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치경부 수축 구근 상치관, 짧고 가는 치근, 치수강과 근관의 폐색, 건전치 에서 치근부 병변 등이 보인다. 상아질 형성부전증에 대한 치료 목표는 심미성 회복, 저작능력회복, 교합고경의 회복을 들 수 있다. 본 증례들은 치아의 마모와 변색을 주소로 경북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두 명의 환아들에서 임상 및 방사선학적 검사 소견상 상아질 형성 부전증으로 판단되어 환아의 손상된 치아에 대해 치료를 시행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타이타늄-질소 코팅된 금속관에 대한 평가: 표면 경도, 부식 저항성, 색조 안정성 (Evaluation of Titanium-nitride Coated Crown: Surface Hardness, Corrosion Resistance and Color Sustainability)

  • 김효진;임수민;김진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44-351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타이타늄-질소 코팅된 금속관(TiNCs)의 표면 경도와 스테인리스 스틸 금속관(SSCs)의 표면 경도를 비교하고, TiNCs의 부식 저항성 및 물리적 자극에 대한 금색 코팅의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표면 경도 시험을 위해 10개의 TiNCs와 10개의 SSCs를 사용하였다. 각 금속관 종류당 총 30번의 경도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고 비교하였다. 부식 저항성 시험을 위해 직사각형 형태의 TiNC와 SSC의 원재료(금속관으로 가공되기 전 판상 형태)를 준비하였다. 각 금속관 종류 당 2회의 부식 시험을 시행하였다. 부식 용액에 용출된 금속 이온의 총 양을 유도결합 플라즈마 분광분석기로 측정하였다. 5개의 TiNCs로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칫솔력에 대한 색조 안정성 시험을 시행하였다. TiNCs의 평균 경도는 SSCs의 평균 경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TiNCs와 SSCs의 원재료로부터 용출된 금속 이온의 총 합은 ISO 22674(재료의 무결성에 관한 기준) 기준치를 넘지 않음을 확인했다. TiNCs의 금색 코팅은 반복적인 물리적 자극에 대하여 주어진 시간 동안 안정성을 가졌다.

온수배관을 이용한 시설딸기 부분난방기술 개발 (Spot Heating Technology Development for Strawberry Cultivated in a Greenhouse by Using Hot Water Pipe)

  • 문종필;강금춘;권진경;백이;이태석;오성식;남명현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8권5호
    • /
    • pp.71-79
    • /
    • 2016
  • The effects of spot heating for growing the strawberry cultivated in a plastic greenhouse during the winter that were estimated in Nonsan strawberry experiment station located in Chungnam. The temperature of water for heating was controlled by a electric hot water boiler and kept at the range of $22{\sim}24^{\circ}C$. Heating pipes were set up in root zone for root zone heating and very close to crown for crown heating. Spot heating effects were estimated by applying spot heating system in three test factors of heating root zone, crown only and crown plus root zone. The material for crown heating pipe was white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the nominal diameter of that pipe was 16 mm. The material for root zone heating pipe was flexible stainless steel and the nominal diameter of that pipe was 15A. The flow rate of heating water circulation was 480 L/h and water circulation lasted for all day long. Temperatures, harvest yield by test beds were surveyed from Nov. 10, 2013 to Apr. 29, 2014. The temperature of crown spot for crown heating bed was at the range of $13.0{\sim}17.0^{\circ}C$ during the night and that of crown spot in control bed was at the range of $8.0{\sim}14.0^{\circ}C$. Also, the temperature of root zone for root zone heating bed was at the range of $18{\sim}21.0^{\circ}C$ and that of root zone in control bed was at the range of $13.0{\sim}15.0^{\circ}C$. The cumulative yield growth rate in earlier harvest period (from Dec. 20 to Mar. 15) of crown heating bed was 43%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bed and the cumulative yield of crown plus root zone heating bed was 39 % and that of root zone heating bed was 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