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qualene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4초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Squalene Synthase Inhibitor Isolated from Fermented Soybean Paste

  • Choi, Sung-Won;Kim, Dong-Seob;Hur, Nam-Youn;Park, Cheon-Seok;Baik, Moo-Yeo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89-93
    • /
    • 2005
  • Squalene synthase (SQS) inhibitors were screened from various plants and food extracts. Effective SQS inhibitor was purified from fermented soybean paste using ethanol extract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ethyl acetate extraction,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and crystallization. Through UV spectrometry, $^1H$ NMR, $^{13}C$ NMR, and mass spectrometry, SQS inhibitor was identified as daidzein with molecular mass of 254 and molecular formula of $C_{15}H_{10}O_4$. Daidzein showed $IC_{50}$ value of 50 nmol/L against SQS, confirming its potential as therapeutic agent for hypercholesterolemia.

Squalene이 항암제를 투여한 흰쥐의 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qualene on the Rat Liver Treated with a Anticancer Agent)

  • 김정상;김종세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1호
    • /
    • pp.1-9
    • /
    • 1996
  • This paper aims to probe the effect of SQ in the rat liver which pretreated with CP was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In the A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mal and the treated groups were not detected at 24 hours, but the few mitochondria were expanded at the 72 hours. In the B group, the cisternae of rough-surfaced endoplasmic reticulum were partially destructed and attached ribosomes were remarkably decreased at 24 hours. A number of the mitochondria were dilated and increased in number, the filamentous materials also detected at 72 hou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Q is not only concerned with construction of the membrane of the cell organelles but also decreased the cellular toxicity in the hepatic cells.

  • PDF

Major Chemical Constituents of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 of Pandanus odorus Leaves

  • Rahman, N.N.Ab;Hassan, M.N.;Omar, A.;Kadir, M.O.Ab.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2호
    • /
    • pp.75-79
    • /
    • 1999
  •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was used as a solvent in the extraction of freeze-dried Pandanus odorus leaves. Analysis of the extract with GC-MS showed that Pandanus odorus leaves contain nutritional constituents such as ${\alpha}-tocopherol$ (Vitamin E) and squalene. The contents of ${\alpha}-tocopherol$ and squalene extracted from freeze-dried ground Pandanus odorus leaves at pressures ranging from 80 to $200\;kg\;cm^{-2}$ and temperatures between 40 to $80^{\circ}C$ were $134{\sim}300\;ppm$ and $750{\sim}1,200\;ppm$ respectively. The highest yield was obtained at $200\;kg\;cm^{-2}$ and $40^{\circ}C$. Other major components identified were hexadecanoic acid, 9,12,15-octadecatrien-1-ol, campesterol, stigmasterol and ${\beta}-sitosterol$.

  • PDF

현미 종류별 발아현미의 발아 전 후 생리활성물질 함량의 변화 (Pre- and Post-Germination Changes in Pharmaceutical Compounds of Germinated Brown Rice)

  • 정혜영;이동현;백흠영;이영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37-43
    • /
    • 2008
  • 발아현미에 함유된 기능성 물질의 발아 전후 함량 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미, 녹미, 적미, 흑미, 찹쌀현미 등 5종의 현미를 대상으로 발아 전 상태 및 발아현미 제조 후 상태에서의 tocopherol 및 tocotrienol류, squalene 및 phytosterol 류 등 기능성물질 함량 변화를 평가한 본 실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타민 E 함량은 발아전보다 발아후의 현미에서 약 10% 수준의 함량 감소가 관찰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2. Squalene 함량의 경우 발아찹쌀현미는 발아 과정 중 31%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다른 종류의 현미는 발아 전후 큰 변화가 없었다. 3. Phytosterol류 중 stigmasterol은 모든 종류의 발아현미에서 발아 전 대비 5-27%의 뚜렷한 증가가 관찰되었으며, campesterol, sitosterol 및 총 phytosterol 함량은 발아 전후 간 대차 없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비록 현미 종류별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의 경우 발아 현미는 발아전과 비교할 때 stigmasterol은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며 본 실험 분석 대상이었던 tocopherol, tocotrienol, squalene, campesterol, sitosterol 등 기능성 물질은 발아 전후 대차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Molecular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the Yew Gene Encoding Squalene Synthase from Taxus cuspidata

  • Huang, Zhuoshi;Jiang, Keji;Pi, Yan;Hou, Rong;Liao, Zhihua;Cao, Ying;Han, Xu;Wang, Qian;Sun, Xiaofen;Tang, Kexuan
    • BMB Reports
    • /
    • 제40권5호
    • /
    • pp.625-635
    • /
    • 2007
  • The enzyme squalene synthase (EC 2.5.1.21) catalyzes a reductive dimerization of two farnesyl diphosphate (FPP) molecules into squalene, a key precursor for the sterol and triterpene biosynthesis. A full-length cDNA encoding squalene synthase (designated as TcSqS) was isolated from Taxus cuspidata, a kind of important medicinal plants producing potent anti-cancer drug, taxol. The full-length cDNA of TcSqS was 1765 bp and contained a 1230 bp open reading frame (ORF) encoding a polypeptide of 409 amino acids. Bioinforma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duced TcSqS protein had high similarity with other plant squalene synthases and a predicted crystal structure similar to other class I isoprenoid biosynthetic enzymes. Sou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as one copy of TcSqS gene in the genome of T. cuspidata. Semi-quantitative RT-PCR analysis and northern blotting analysis showed that TcSqS expressed constitutively in all tested tissues, with the highest expression in roots. The promoter region of TcSqS was also isolated by genomic walking and analysis showed that several cis-acting elements were present in the promoter region. The results of treatment experiments by different signaling components including methyl-jasmonate, salicylic acid and gibberellin revealed that the TcSqS expression level of treated cells had a prominent diversity to that of control,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results of TcSqS promoter region in the PlantCARE database.

생쥐 근위세뇨관에서 납에 의한 신장 독성에 대한 스쿠알렌의 효과 (Effects of Squalene on Renal Toxicity Induced by Lead Acetate in Proximal Tubules of the Mice)

  • 김종세;이유현;이준행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3호
    • /
    • pp.185-19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납중독에 의한 신장 기능 손상에 대한 스쿠알렌의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ICR계 건강한 생쥐를 사용하여 납과 스쿠알렌을 복강 투여한 후, NO와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 설정은 다음과 같다. 실험군 1은 정상군, 실험군 2는 납 (30 mg/kg)만 처치한 군, 실험군 3은 납을 처치하고 스쿠알렌 (180 mg/kg)도 함께 처치한 군으로 각 실험군 당 생쥐 10마리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 2의 경우, 미토콘드리아 신장, 사립체내막의 파괴, 소포체에서 리보소옴의 탈락이 24, 48시간동안 관찰되었고, 72시간부터 서서히 회복 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험군 3의 경우 실험군 2에 비해 손상 정도가 덜 하였으며, 48시간 이후부터 정상군과 유사한 소견을 보였다. NO의 경우 실험군 2에서는 NO 수치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실험군 3의 경우 정상군보다 NO가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납에 의한 NO 수치 감소에 대해 회복 효과를 보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보아, 스쿠알렌이 신장 근위세뇨관에 미치는 납 독성을 감소시키면서 빠른 회복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lycerol-유도 급성신부전에서 표피성장인자 발현 및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스쿠알렌의 효과 (Effects of Squalene on The Epidermal Growth Factor (EGF) Expression and Histological Changes by Glycerol-Induced Acute Renal Failure in Mice)

  • 최영복;김영호;이준행;김종세
    • Applied Microscopy
    • /
    • 제34권4호
    • /
    • pp.241-254
    • /
    • 2004
  • 신장은 독성물질, 빈혈, 재관류-유도 상해, 급성신부전에 회복 기능을 가지고 있다. 뇨 표피성장인자(EGF)는 신장 사구체연접장치에서 생산된다. 신장은 EGF를 축적하거나 배설한다. 신장 질환의 경우에는 EGF 배설이 감소한다. 본 연구에서는 glycerol-유도 급성신부전에서 스쿠알렌의 효과를 연구하였다. In vitro에서 RT-PCR를 통해 EGF 발현을 관찰하였다. 근위세뇨관 세포를 분리한 후, glycerol (1, 2, 4 mM) 혹은 스쿠알렌(0.1, 0.05 or 0.1%)을 첨가하였다. In vivo에서 BUN, creatine,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군은 다음과 같다. 실험군 1은 정상군, 실험군 2는 glycerol (50%, 8 ml/kg) 처치 후, 스쿠알렌을 처치하지 않은 군, 실험군 3은 glycerol (50%, 8 ml/kg) 처치 후, 스쿠알렌(180 mg/kg)을 함께 처치한 군으로 각 실험군 당 생쥐 7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glycerol이 신장에 손상을 주어 EGF mRNA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스쿠알렌을 처치한 군에서는 EGF mRNA 발현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BUN과 creatine 수치의 빠른 회복이 관찰되었다(P<0.01). 조직학적 관찰에서도 실험군 2는 사립체의 심한 손상이 관찰되었는데, 실험군 3의 경우 사립체의 빠른 회복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스쿠알렌이 glycerol-유도 급성신부전에 회복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공용매가 첨가된 초임계유체 추출공정에서 기능성 지방산의 추출 (Isolation of Functional Fatty Acid in Cosolvent Induced SFE Process)

  • 이승범;박경애;홍인권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438-444
    • /
    • 1999
  • 국내에서 생산되는 현미겨는 약 8.4~14.7 wt %의 지질을 포함하고 있으나 지방산의 양이나 조성은 현미겨의 형태, 토질 상태, 도정과 같은 전처리나 정미도에 영향을 받는다. 현미겨에 포함되어 있는 지질은 보통 palmitic acid, linolen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 tocopherol, squalene 등과 같은 지방산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계유체를 이용하여 현미겨에서 squalene을 함유한 지방산을 추출하였으며, 각각의 공정에 ethanol을 첨가하여 초임계유체 추출을 시행하였다. 추출물은 GC-MSD로 분석을 하였고, 추출된 현미유의 양은 공정 온도, 압력에 따라 달랐으며, 조성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의 환산밀도 (${\rho}_{\gamma}$ reduced density)에 영향을 받았다. 4시간의 공정시간에 약 70~80%의 현미유가 추출되었으며, ethanol을 첨가한 초임계유체 추출은 일반 초임계유체 추출에 비해 추출시간이 단축되며 동시에 추출량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용매추출 공정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squalene이 초임계유체 추출과 ethanol올 첨가한 초임계유체 추출에서 추출됨이 확인되었다.

  • PDF

생쥐의 화상에 미치는 Squalene의 치료 효능 (Healing Effects of Squalene on the Epidermis in Burned Mouse)

  • 김종세;김정상;윤중식;최영복;조광필;김재성;정수만
    • Applied Microscopy
    • /
    • 제29권2호
    • /
    • pp.163-175
    • /
    • 1999
  • 본 실험은 화상을 입은 생쥐에서 SQ의 치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에 있다. 실험군은 7개군으로 구분하였다; 대조군, 화상군, 그리고 화상을 입헌 후 SQ를 처치한 군.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군은 등 부위에 2도 화상을 입혔다. SQ를 처치한 모든 군은 하루에 한 번씩 10초 간격으로 순수한 SQ 3방울을 도포하였다. 화상 후 10일 동안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 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화상군의 표피층의 모든 부분은 SQ를 처치한 군보다 더 심한 상처를 입었다. SQ를 처치한 6째와 10일째 군에서, 기저층은 분화가 활발하였고, 가시층의 각화세포는 수적으로 매우 증가하였다.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SQ를 처치한 모든 군의 기저층에서 세포분열이 화상군에서보다 더 활발하게 나타났다. 특히, SQ를 처치한 10일군에서는 이상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대조군보다 더 두꺼운 가시층과 많은 각화세포, 뚜렷한 세포간교, 그리고 멜라닌세포를 포함하는 튼튼한 기저층.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SQ은 표피성장인자(EGF)를 활성화시키고, 유해산소의 제거 역할을 하며, 막계에 에너지원을 제공할 가능성이 있다. 이 실험의 결과는 SQ가 화상 치료에 특수한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 PDF

고려인삼으로부터 Squalene Synthase 유전자의 Cloning 및 형질전환체 특성

  • 심주선;손화;양덕춘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4년도 추계 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50-52
    • /
    • 2004
  • Introduce of gene connected with disease and transformation system of ginseng, Squalene systhase(PSS) gene cloned from and disease resistant gene were carried out for expression and transformation of plant using Agrobacterium. PSS of 35S-35S-AMV-PSS-Tnos, has been constructed which were mobilized into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MP 90 disarmed Ti-plasmid. PSS gene were introduced into the binary vector pRD 400. The transgenic ginseg plants were propagated using repetitive secondary embryogenesis and introduced NPTII and PSS genes of the transgenic ginseng were successfully indentified by the PCR and survival test on the mediu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