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uc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62초

Spatial Pattern of Larix gmelini in a Spruce-fir Valley Forest of Xiaoxing'an Mountains, China

  • Jin, Guangze;Liu, Liang;Liu, Zhili;Kim, Ji-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20-725
    • /
    • 2010
  • On the basis of vegetation data in the 9.12 ha (380 m ${\times}$ 240 m) permanent sample plot of the spruce-fir valley forest in Liangshui National Reserve of Xiaoxing'an Mountains,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and spatial association by using point pattern analysis for living and dead trees of Larix gmelini by DBH size class. The number of L. gmelini were counted as 59 living stems/ha (6.42 $m^2$/ha of basal area) and 34 dead stems/ha (2.86 $m^2$/ha of basal area). The distributional curve of diameter class exhibited bimodal shape. The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all living larch stems noted the clumped distribution on the whole. The size of larch aggregates of dead stems was decreased as diameter class was increased. The distribution of dead stems became gradually randomized with decreased clumped size as the scale increased. Living stems and dead stems of the larch had positive spatial association at most of scales, illustrating that the occurrence of mortality of the larch tree was closely related to the distribution pattern of living larch trees.

Somatic Embryogenesis - Apical Meristems and Embryo Conversion

  • Yeung, Edward C.;Stasolla, Claudio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9-307
    • /
    • 2000
  •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s currently available for somatic embryogenesis of plants. However, one common problem related to somatic embryos is that the conversion rate can be low for some species. Apical meristems are responsible for post-embryonic growth of the embryo. The low percentage observed is most likely a result of poor apical meristem development or defects in the meristem organization during somatic embryogenesis. In flowering plants, apical meristems are well developed by the late heart stage of zygotic embryo development. In conifers, such as white spruce, apical meristems are formed at the pre-cotyledon stage. Thus, apical meristem development occurs very early, prior to the maturation stage of embryo development. Once formed, meristems are stably determined. In the somatic embryo, as exemplified by white spruce, since embryo development is not synchronous, tissue differentiation including apical meristem formation occurs throughout the“maturation”stage. Different apical meristem organizations can be found among different individuals within a population. In contrast to their zygotic counterparts, the apical meristems appear not to be stably determined as their organization, as the shoot apical meristem especially, can be easily modified or disrupted. Precocious germination seldom results in functional plantlets. All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conditions for somatic embryo maturation have not been optimized or are not suitable for meristem formation and development. The following strategies could improve meristem development and hence conversion: 1. Simulate in ouuio conditions to promote meristem development prior to the“maturation”treatment.2. Prevent deterioration of apical meristem organization during somatic embryo maturation.3. Promote further meristem development during embryo germination.

  • PDF

오존처리 고수율 펄프의 고해 특성(II) -고해 후 발생된 미세섬유의 리그닌 분포- (The Beating Properties of High Yield Pulp Treated with Ozone(II))

  • 윤승락
    • 펄프종이기술
    • /
    • 제34권4호
    • /
    • pp.22-29
    • /
    • 2002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ne fibers produced during beating process of high yield pulp treated with ozone and the distribution of lignin in the produced fine fibers. Thermomechanical(TMP) pulp and chemithermomechanical(CTMP) pulp of spruce and CTMP of white birch were beaten to reach 200$m\ell$ CSF, and then the fine fibers were observed using ultraviolet microscope. The fine fibers produced from TMP and CTMP of spruce using treated with ozone for 15 minutes were fragments of fiber surfaces or cell corners, and most of them contained lignin. However, lignin was not observed in the fibers after 15 minutes of ozone treatment. The fine fibers produced from CTMP of white birch were broken pieces or fragments of fiber surfaces or cell corners. The lignin was observed in the fibers until 5min of ozone treatment but no lignin was observed after 5 minutes of ozone treatment. Differen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MP and CTMP explained both the differen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distribution of lignin observed in the fine fibers produced from the beating process of TMP and CTMP treated with ozone.

오존처리(處理) 고수율(高收率)펄프의 고해(叩解) 특성(特性)(I) - 오존처리(處理) 펄프 고해후(叩解後) 섬유장(纖維長) 분포(分布) - (The Beating Properties of High Yield Pulp Treated Ozone(I) - Fiber Length Distribution of Ozonenation Pulp for Beating -)

  • 윤승락;코지마 야스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75-80
    • /
    • 1997
  • This research has been examined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fiber damage of ozonenation high yield pulp in the beating process. Ozone treated the TMP(Thermomechanical Pulp) and CTMP(Chemithermomechanical Pulp) of spruce and the CTMP of birch has been beaten to be reached 200ml(freeness) of its content. It had been studied the forming of fiber distribution by treatment for long fiber, short fiber, fine with the above method. As ozone treatment time gets longer, the pulp has showed the tendency of increasing the fiber content of 28, 48mesh. Ozone treated fiber has been increased long fiber content by being added softness. By given longer ozone treatment time, the TMP and CTMP of spruce has showed the decreasing of fiber content. On the contrary, CTMP of birch has showed the increasing its fiber content. It had proved that the results of difference are rather closer to the species of tree than closer to the kinds of pulp. The fiber content of over 200mesh which has created in beating process demonstrates the decreasing of its fiber content by getting longer ozone treatment time. The softness of fiber can be extracted by the lignin of fiber surface that had been formed by ozone treatment. Thus we assume that the fiber in the process of beating obtains less physical damage.

  • PDF

목재의 흡방습에 관한 연구 - 수종에 의한 흡방습성의 차이 - (Studies on Absorption and Desorption Wood - Difference of Absorption and Desorption Behavior of Wood -)

  • 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4호
    • /
    • pp.52-61
    • /
    • 1991
  • In this paper, the difference of the property of absorption and desorption for five species in semi-steady state are studied. The species used are listed in Table 1 and the dimension of specimen was $8\times8{\times}T$(Tangential direction)cm and tested in various conditions. A change of average moisture content with time were measured in each cycle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When the relative humidity in air was maximum or minimum, the distribution of moisture In wood of all specimens were illustrated by exponential curves of decrease or increased from lace 10 center of wood. From the consideration of coefficient of decrease(C), the amount of moisture change of spruce was larger than the others. The pheonomenon was considered no relation to the specific gravity in air dry, but the wood structures. The velocity of the absorption and desorption for species decreased in the order spruce(Picea sitchensis) neodobam(Fagus crenata), solsong(Tsuga heterophylla), meranti(Shorea sp.) and kaesoo(Cercidiphyllum japoicum). In case of constant temperature and water vapor pressure is changed. the amount of absorbed moisture was larger than that of constant water vapor pressure and temperature vaned. In this fact, it is considered that the property of sorption of wood is strongly influenced by vapor pressure gradient than temperature gradient.

  • PDF

직교이방성판의 3차원 자유진동 해석에 관한 연구 (Three-Dimensional Free Vibration Analysis of Orthotropic Plates)

  • Park, Sung-Ji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1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탄성이론에 근거하여 3차원 spline 대판법을 이용하여 직교이방성판의 3차원 응력해석을 제시한다. 직교이방성판은 아라고나이트 결정과 시트카 스프러스로 구성되어 있다. 해석에 대한 수렴섬과 정밀도의 정확성을 수치해석 예를 들어 검증하고, 탄성이론에 근거하여 이산화된 수치해석법에 의해 결과을 비교 검토한다. 해석법에 따라 해의 수렴성과 정밀도를 구할 수 있으며, 두께폭 비, 종횡비와 아라고나이트 결정과 시트카 스프러스판의 수직응력분포에 대한 경계조건의 영향을 검토하고, 응력 분포의 특성에 미치는 직교이방성과 강한 이방성의 특징의 차를 비교 검토한다.

Picea mariana 생장(生長)을 억제(抑制)하는 Kalmia angustifolia 에 대한 외생균근(外生菌根)의 영향(影響) (Overcoming Kalmia-Induced Growth Inhibition of Picea mariana by Mycorrhizal Inoculation)

  • ;;박용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29-444
    • /
    • 1998
  • Picea mariana 생장을 억제하는 Kalmia angustifolia에 영향을 주는 외생근균을 조사 선발하였다. 11개 외생근균중에서 19계통을 선발하여 Kalmia 잎침출물이 들어있는 배지에 P. mariana 치묘와 함께 근균을 접종하여 자라는 형태와 생장양상을 조사하였다. Kalmia 잎추출물을 첨가한 액체배지에서는 균사의 건중량을, 한천배지에서는 코로니의 직경을 측정한 결과 분리된 9개 균주에서는 현저하게 억제되었으나 나머지 10개 균주에서는 반대로 증가되거나 Kalmia의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배양배지의 pH가 3-4일 때는 생장을 억제 받는 근균도 있었으나 pH와 잎침출물을 조합한 조건하에서는 더욱 강하게 억제되었다. 분리된 13개 계통은 순수배양에서 Kalmia 잎침출물 25%와 함께 배양한 P. mariana에서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Paxillus involutus(NF4), Cenococcum geophilum(GB12), Laccaria laccata(GB23), E-strain(GB45)계통에서는 Kalmia 잎추출물 50%에서 배양한 결과 다른 계통보다 많은 외생근균이 형성이 되었다. 이러한 근균을 미리 접종한 P. mariana를 Kalmia 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후 온실 안에서 4개월동안 Kalmia와 갈이 재배하였다. P. involutus, L. laccata 와 E-strain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많은 근균(흡수근외 77-91%)이 형성되었으나 C. geophilum를 미리 접종한 치묘에서는 근균이 비교적(흡수근의 32%) 적게 형성되었다. 외생균근이 대부분의 치묘에서 생겼음에도 불구하고 근균의 90% 이상이 접종근균에서 생겨났다. 근균의 지속적인 생장은 살아있는 Kalmia 식물개체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P. involutus, L.laccata와 E-strain과 같이 처리한 치묘 근균의 80% 이상과 C. geophilum을 처리한 치묘 근균의 53%가 접종된 균주의 영향을 받았다. 대조구에서는 토착균주에 의해 약 45%의 짧은 뿌리의 외생근균이 형성되었다. L. laccata와 C. geophidum는 Kalmia잎추출물과 같이 배양한 치묘의 근균행성을 촉진하였다. 균주를 접종한 경우 근균형성율은 pH5보다 pH4에서 4-15% 더 낮았으며 L. laccata를 접종한 경우 심하게 억제되었다. P. involtus에 접종한 치묘는 L. laccata를 E-strain를 접종한 치묘보다 줄기와 뿌리생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P. involtus와 L. laccata를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의 치묘보다는 건중량이 많고 키가 훨씬 컸다. E-strain에 접종한 치묘는 대조구와 비교해서 1차 측근 수가 매우 작았으며 줄기 건중량은 매우 높게 나타났으나 다른 형질, 예를 들면 흡수근, 뿌리 건중량, 수고 등은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C. geophilum에 접종한 치묘는 1차 측근수를 제외한 다른 생장 특징에서는 대조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 PDF

대기오염이 삼림에 미치는 영향 : 피해현황과 원인을 중심으로 (Impacts of Air Pollution on Forests : A Summary of Current Situations)

  • ;손요환;김진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229-238
    • /
    • 1994
  • 세계 여러지역에서 임목생장과 활력감소가 커다란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바, 이 논문은 북미, 유럽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삼림피해에 관해 현재까지 알려진 바를 요약하고 있다. 오염원 주변에서의 삼림쇠퇴는 상당히 오랫동안 인지되어 왔으나, 오염원으로부터 먼거리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피해를 준 경우는 그리 흔치 않다. 북미지역의 경우, Los Angeles와 Mexico City 주변에서 고농도의 오존으로 인해 삼림쇠퇴가 일어나고 있고, 미국 동부의 고산지대에서는 강산성의 안개에 의한 가문비나무의 내동성 감소로 피해가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유럽의 경우 독일가문비나무가 Mg 결핍과 N 과다공급이 원인이 되어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지역적으로 삼림쇠퇴현상이 보이기는 하지만 전체적인 임분생장량이나 현존 biomass가 1970년에 비해 1990년에 증가되었다. 동아시아의 경우, 이에 관한 연구가 초기단계에 있는 바, 중국의 여러 공업지대에서 강산성 강우현상을 보이고 삼림쇠퇴의 주원인이 대기오염일 것으로 사료되는 예가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의 대도시와 공단주변에서 대기오염에 의한 삼림피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온대림에서 광범위한 삼림쇠퇴 현상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나는 삼림쇠퇴의 정확한 원인을 밝혀내기 쉽지 않다. 대면적에 걸쳐 나타날 수 있는 삼림피해에 대비하는 계속적인 감시와 연구가 앞으로의 과제로 남아있다.

  • PDF

독일가문비나무(Picea abies [L].Karst)림(林)에서의 Energy와 물질순환(物質循環)에 대(對)한 SLODSVAT(Six-Layer One-Dimensional Soil-Vegetation-Atmosphere-Transfer) 모델과 그 적용(適用) (A Six-Layer SVAT Model for Energy and Mass Transfer and Its Application to a Spruce(Picea abies [L].Karst) Forest in Central Germany)

  • ;;;;주영특;김영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10-224
    • /
    • 1996
  • SLODSVAT 모델은 (1)식생의 환경 조건과 생태 생리학적 특징에 의해 결정된 두개 수관층에서의 복사, 수분증발, 열, 이산화탄소 및 바람(momentum) 등의 이동과, (2)식물의 뿌리, 줄기, 잎으로 이어지는 수분의 흡수와 저장 및, (3)수관에 의한 강우의 차단, 그리고 토양에 의한 강우의 저장과 유하 등을 Simulation한 상호관련된 몇 개의 하위 모델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일 중부에 위치한 Solling지방의 독일가문비림(Picea abies L Karst)을 대상으로 기후 관측 결과와 모델링에 의한 결과를 서로 비교해 본 바, SLODSVAT는 서로 다른 환경 조건하에서 수분증발과 열 흐름의 계절적 변화 뿐만 아니라 일변화도 자연적 과정에 맞게 적절히 설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대기, 임관 및 토양 구조에 대한 기상학적, 식물학적, 수문학적 자료들이 유능하다면 독일가문비림 생태계에 대한 증산과 증발산의 비를 평가하고 예측함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야외조건하(野外條件下)에서 독일가문비(Picea abies Karst) 침엽(針葉)의 순(純) 광합성률(光合成率)의 단기(短期) 변화(變化)에 대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Experimental Studies of the Short-Term Fluctuations of Net Photosynthesis Rate of Norway Spruce Needles under Field Conditions)

  • ;;진현오;주영특;정동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8권1호
    • /
    • pp.38-46
    • /
    • 1999
  • 독일 중부(Solling Hills)의 가문비림 임관의 구조적인 수분증산 통도특성은 LE와 H의 유동량으로 측정되고, 1996년 6월중 재배열된 Penman-Monteith 식을 이용하여 SVAT 모형을 설계하여 도출하였다. 또한 SLODSVAT 모형을 통한 전체 임관 내 각 침엽의 연속적인 수분통도성을 평가하여 임관기공의 통도성을 비교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에서 나온 임관 표면 통도성과 유동량을 설계하고, SLODSVAT 모형에 의해 설계된 기공 통도성 사이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알 수 있었다. 이 차이점은 산림 임관의 범위내에 빗물리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임관 표변의 통도성은 전체 측정 기간 동안 임관 기공 전도력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산림의 전체 증발산량에 대한 하층부의 공헌도는 작았고, 임관의 복사에너지 균형에 의존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층부 증발산량의 기각은 독일 가문비림에 대한 임관 표면 전도력의 과대 평가로서 나타난 결과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