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out vegetabl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7초

루우핀 콩의 식품이용 (Lupin Seed for Human Consumption)

  • 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98-405
    • /
    • 1986
  • 루우핀 콩의 식품가공 적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호주에서 생산된 Lupinus angustifolius의 종실을 삶음 속도, 콩나물 성장속도 및 균체성장속도 등을 검토하고 또한 루우핀 종실로부터 만들어진 단백질 농축물(LPC)을 우리나라 식품제조에 활용하는 방안등을 조사하였다. 루우핀 콩의 수분 침지속도는 대두보다 컸으나 삶음 속도는 대두보다 크게 떨어졌다. 가열에 의한 연화속도 $D_{100}$은 대두의 경우 84분이었으나 루우핀 콩의 경우 345분이었다. 루우핀 콩에 포함되어 있는 잔유 쓴맛성분(주로 알카로이드)와 황색색소 및 지방은 핵산-알콜-물을 혼합한 이상용매로 제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얻어진 단백질 농축물은 단백질 함량 50% 이상을 함유하며 유백색의 순한 풍미를 가지는 물질로 우수한 식품재료로 판단되었다. 루우핀콩 단백질 농축물에 탄수화물(주로 셀롤로오스)분해효소 처리를 하면 가용성이 높고 단백질 함량이 증가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들 재료들을 이용하여 식물성 대용유와 유산균 발효음료의 제조 가능 하였으며 이들 제조방법의 제문제를 검토하였다.

  • PDF

Simultaneous Molecular Detection of Cryptosporidium and Cyclospora from Raw Vegetables in Korea

  • Sim, Seobo;Won, Jua;Kim, Jae-Whan;Kim, Kyungjin;Park, Woo-Yoon;Yu, Jae-Ra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2호
    • /
    • pp.137-142
    • /
    • 2017
  • Cryptosporidium and Cyclospora are well-known coccidian protozoa that can cause waterborne and food-borne diarrheal illnesses. There have been a few reports regarding contamination in different vegetables with Cryptosporidium, but no data are available regarding the sources of Cyclospora infections in Korea. In the present study, we collected 6 kinds of vegetables (perilla leaves, winter-grown cabbages, chives, sprouts, blueberries, and cherry tomatoes) from July 2014 to June 2015, and investigated contamination by these 2 protozoa using multiplex quantitative real-time PCR. Among 404 vegetables, Cryptosporidium and Cyclospora were detected in 31 (7.7%) and 5 (1.2%) samples, respectively. In addition, Cryptosporidium was isolated from all 6 kinds of vegetables, whereas Cyclospora was detected in 4 kinds of vegetables (except perilla leaves and chives). Cryptosporidium (17.8%) and Cyclospora (2.9%) had the highest detection rates in chives and winter-grown cabbages, respectively. Cryptosporidium was detected all year long; however, Cyclospora was detected only from October to January. In 2 samples (sprout and blueberry), both Cryptosporidium and Cyclospora were detected. Further investigations using TaqI restriction enzyme fragmentation and nested PCR confirmed Cryptosporidium parvum and Cyclospora cayetanensis, respectively. In conclusion, we detected C. cayetanensis in vegetabl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is suggests that screening should be employed to prevent these protozoal infections in Korea.

Effects of different sulfur ion concentration in nutrient solution and light source on glucosinolate contents in kale sprouts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 Park, Ye-Jin;Chun, Jin-Hyuk;Woo, Hyunnyung;Maruyama-Nakashita, Akiko;Kim, Sun-Ju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2호
    • /
    • pp.261-271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mount of glucosinolates (GSLs) in kale sprouts (Brassica oleracea L. var. acephala) ('TBC') according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sulfur ions in sprout's nutrient solutions (0.0, 0.5, 1.0, and 2.0 mM) and to different light sources [Fluorescent lamp, Red, Blue, and Mix (R+B) LED]. Kale sprouts were cultivated in a growth chamber for 13 days in sulfur solutions. Kale sprouts were treated with fluorescent lamp and LED light sources for 5 days, from eight days after sowing to harvest. Amount of seven types of GSLs (progoitrin, sinigrin, 4-hydroxyglucobrassicin,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gluconasturtiin, and neoglucobrassicin) were measured in kale sprouts after harvest. The total GSL content was influenced by different sulfur solution concentration, and it was the highest at S 0.5 mM ($172.54{\mu}mol{\cdot}g^{-1}DW$) and the lowest at S 2.0 mM ($163.09{\mu}mol{\cdot}g^{-1}DW$). The GSL content was influenced by different light source, and it was the highest with Red LED ($159.23{\mu}mol{\cdot}g^{-1}DW$) and the lowest with Blue LED ($147.57{\mu}mol{\cdot}g^{-1}DW$). As the sulfur solution concentration increased under all light source, progoitrin and sinigrin contents tended to decrease while glucobrassicin content showed an upward tendency for all of the light sources. The content of glucobrassicin was higher than that of progitrin when treated with sulfur solutions for all LED light sources. Sinigrin, which has excellent anti-cancer effects, showed the highest rate (92.2%) among all the GSLs, under all of the light sources.

통마늘의 CA저장 중 저장기체 농도에 따른 품질변화 (Effects of Storage Gas Concentrations on the Qualities of Garlic(Allium sativum L.) Bulb during CA Storage)

  • 강준수;홍경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58-263
    • /
    • 2001
  • 마늘을 $0^{\circ}C$에서 일반 대기 및 CA 조건 하에서 4개월 저장하면서 기간 및 조건에 따른 저장 중 마늘의 생리적 품질을 폭정하고 pungency와 fructan 등의 화학적 성분 변화를 분석하였다. 저장 중 마늘의 생리적 품질은 저장 조건에 대해서 큰 차이는 없었으나, CA 저장한 마늘이 일반 대기에서 저장한 마늘에 비해서 수분 감량이 더 많이 일어나 dry weight와 경도가 낮게 나타났다. 표면색은 저장 4개월에서 어둡고 진하게 변했다. CA 저장이 마늘의 발근은 억제하지 못하지만 발아율은 일반 대기저장에 비해서 약 50%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대기에서 저장한 마늘이 CA 저장한 마늘보다 더 높은 pungency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pyruvate는 산소 농도가 닻은 (1% $O_2$) CA 저장 조건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Fructan은 저장기간에 따라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fine sugar는 점차 증가하였다. 발아율이 높은 일반 대기 저장의 fructan 함량이 CA 저장의 경우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20%의 이산화탄소 농도에서 저장한 마늘의 fructan이 가상 많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LED 광질이 브로콜리 새싹의 발아,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as Light Quality on the Germination,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roccoli Sprouts)

  • 조자용;손동모;김종만;서범석;양승렬;배종향;허북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6-123
    • /
    • 2008
  • 브로콜리의 새싹 발아와 생리활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LED 광질 종류를 구명하기 위해 청색, 녹색, 적색, 백색, 황색, 적색+청색광을 조광 14시간, 암조건 10시간, 온도는 주간 25, 야간 18로 조절하여 종자 발아와 새싹을 생장을 시켰다. 생리활성 조사는 새싹을 메탄올로 추출한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종자 발아율은 광의 종류에 관계없이 3일 만에 100%의 발아율을 나타냈다. 파종 후 8일째의 신선중은 청색광처리구에서 0.389g/10plants로 가장 높았다. 총페놀화합물 함량은 백색광 처리구에서 $83.0mg{\cdot}L^{-1}$으로,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청색광 처리구에서 $72,6mg{\cdot}L^{-1}$로 가장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2,000mg{\cdot}L^{-1}$일 때 백색광 처리구에서 9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이 $500mg{\cdot}L^{-1}$일 때 황색광 처리구에서 66.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추출물이 $2,000mg{\cdot}L^{-1}$일 때 적색광 처리구에서 14.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신선편의 샐러드와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품질 및 식중독 미생물 오염도 (Microbiological Quality of Fresh-Cut Produce and Organic Vegetables)

  • 조미진;정아람;김현정;이나리;오세욱;김윤지;전향숙;구민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91-97
    • /
    • 2011
  • 본 연구는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의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고, 식중독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여 위생적인 신선편의 제품의 생산을 유도하고,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의 미생물학적 위해평가의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경기도 지역의 대형 할인매장과 백화점에서 유통되고 있는 신선편의 샐러드류와 유기농 채소류를 구입하여 총균수과 대장균군, 장내세균, 대장균을 분석하여 미생물학적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S. aureus,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B. cereus 등의 식중독관련 미생물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신선편의 샐러드 중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제품은 과일샐러드 제품으로 일반세균수, 장내세균수와 대장균군의 오염 수준이 낮았다. 하지만, 새싹채소는 일반세균수, 장내세균, 대장균군 등의 오염수준이 다른 신선편의 제품보다 높았으며, 분석 시료의 37.5%에서 B. cereus가 3 log CFU/g 이상 오염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신선편의 제품에서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 L. monocytogenes 등의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S. aureus는 2개의 샐러드 제품에서 검출되었으나, 오염 수준은 기준 이하였다. 유기농 채소류 중에서는 유기농 상추가 일반세균수, 장내세균, 대장균군의 오염도가 유기농 상추와 깻잎에 비하여 높았으며, 대장균과 S. aureus는 상추와 깻잎에서만 검출되었고, 풋고추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B. cereus는 분석된 모든 유기농 채소류에서 검출되었고, 오염도는 1.2-4.0 log CFU/g 수준이었다. 병원성 미생물인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V. parahaemolyticus는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농 채소류는 구입 후 대부분 가정에서 간단한 세척 후 바로 섭취하는 것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오염도는 낮았으나, 유기농 상추의 일반세균수가 5 log CFU/g 이상으로 충분한 세척으로 균수를 낮추지 않는다면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한 수준은 아니었다. 따라서 섭취적 충분한 세척으로 초기 오염도를 낮추고, 저온에서 보관하며, 가능한 빠른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식물원료 첨가가 In vitro 반추위 메탄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egetable Sources Supplementation on In vitro Ruminal Methane Gas Production)

  • 양승학;이세영;조성백;박규현;박중국;최동윤;유용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1-180
    • /
    • 2011
  • 각 시판되고 있는 식물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눠 첨가 후 각 시간별 배양을 실시한 후 pH, $NH_3$, VFA 발생량, 총 가스발생량, $H_2$, $CO_2$, $CH_4$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그룹 1은 상추와 대파첨가구에서 암모니아 농도가 높았고 고추첨가구에서 낮았다 (P<0.05), 그룹 2는 마늘첨가구에서 암모니아 농도가 낮았고 (P<0.05) 깻잎, 무순과 부추첨가 구에서 높았다 (P<0.05). 마늘과 고추첨가구에서 단백질분해과정 중 아미노산에서 암모니아로 분해되는 과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총 VFA 농도는 대파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0.05) 그 외 시험구에서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Acetate와 propionate의 비율에서 볼 때 마늘첨가구가 propionate의 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가스발생량이 대체로 높았으며, 대파와 양파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마늘과 깻잎 첨가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가스 발생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생강목에 속하는 강황과 생강첨가구는 pH와 총 가스발생량에서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in vitro 발효를 높였다. 마늘첨가구는 반추위내 총 가스발생량이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0.05). 모든 시험구에서 총 가스발생량과 $CO_2$ 발생량은 대체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마늘첨가구는 총 가스발생량은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CO_2$ 발생량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마늘첨가구의 $CH_4$ 발생량은 배양시간과 관계없이 매우 낮은 수준을 유지했으며 48시간 배양 후 대조구의 약 1/3 수준으로 낮았다 (P<0.05). $H_2$는 거의 모든 시험구에서 미량 발생되었는데, 대조적으로 마늘첨가구에서만 매우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마늘첨가구에서 g단위 DM 당 $CH_4$ 발생량이 현저히 낮았으며 다른 처리구는 대체로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본 시험에서는 allium속의 마늘, 부추, 양파, 파를 포함한 시판 중인 채소를 이용하여 in vitro 발효조절시험을 실시하였는데 특정 식물들은 in vitro 발효 대사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마늘 첨가는 $CH_4$ 생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셀레늄 처리가 4가지 채소종자 발아와 싹의 생장 및 셀레늄 흡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enium Supplement on Germination, Sprout Growth and Selenium Uptake in Four Vegetables)

  • 정용화;한명자;성선진;서동철;강종구;손보균;허종수;조주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9-185
    • /
    • 2009
  • 새싹채소의 종자발아와 생장에 미치는 셀레늄 농도 처리(삽입) 효과와 흡수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대표적인 채소류인 배추, 상추, 청경채 및 을 이용하여 다양한 셀레늄 농도 (0, 1, 5, 10, 25, 50, 100 mg $L^{-1}$ 를 처리하였다. 종자발아는 배추, 청경채 및 갓에서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억제되었지만, 상추의 경우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싹의 생장에 미치는 셀레늄의 효과는 배추, 상추, 청경채 및 갓의 경우, 지상부 길이, 뿌리 길이, 생체중 및 엽록소 함량 등의 생육특성에 있어서 낮은 처리 농도 (1 mg $L^{-1}$)에서 오히려 약간의 생장 촉진 효과를 보이거나 거의 차이가 없었다. 5 mg $L^{-1}$ 이상의 농도 처리 시에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심각한 생육 억제 현상을 보였다. 식물체내의 셀레늄의 흡수 특성은 셀레늄을 각각 1${\sim}$25 mg $L^{-1}$ 처리 시 배추는 0.11${\sim}$1.15, 상추는 0.16${\sim}$0.61, 청경채는 0.13${\sim}$1.31 그리고 갓은 0.14${\sim}$1.13 mg $g^{-1}$dw 범위에서 셀레늄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여 1${\sim}$5 mg $L^{-1}$ 범위의 낮은 농도의 셀레늄 처리가 셀레늄 함유된 기능성 새싹채소의 생산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근로자의 식품섭취 기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s for Food Intake of Korean Industrial Workers)

  • 김창숙;안명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9
    • /
    • 1993
  • This study was carried on the preferences for food intake pattern of Korean industrial worke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Feb 17, to March 31, 1992 by questionnaires which was composed of 21 it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426 clerical workers, and 439 physical workers.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the educational background, clerical workers was almost of highschool or collage graduates, and physical workers was almost of highschool graduates. Marginal food cost of per person for lunch a day was from 500 Won to 1,000 Won. They replied that amount of staple food and side dishes were appropriate, and the type of preferable foods was Korean style cooked rice. Also it was known that physical workers thought their nutritive condition more badly than that of clerical workers. So the physical workers considered their health very much when they had meal. It was represented that unbalanced diet, without diet and drinking alcohol effected badly to food intake and taste of food wa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food intake. 2. Preferences for staple foods; Cooked rice was preferred the most by the subjects. Cooked rice with redbean was preferred by clerical workers and cooked rice with soybean was preferred by physical workers and cooked rice with soybean was preferred by physical workers. Also clerical and physical workers liked Kalkooksoo (hot noodle), Nangmyun (cold noodle), bread, vegetable bread and disliked Sphagetti, Ramyun (Instant noodle) in same rate. In the next, cooked rice covered with raw fish pieces (Sushi) was preferred by clerical workers and Mandu-kook was preferred by physical workers. Also they disliked Curriedrice and Hashrice in same pattern. 3. Preference for side-dishes; The Acceptances for side-dishes were high soybean paste soup (clerical workers:43.7%, physical workers:34.4%), Kim chi stew, fried potatoes, crab steaming (37.8%, 36.9%), broiled fish (34.6%, 33.9%), fried green pepper, Ham, Chinese cabbage Kim chi, and pickled garlic by clerical and physical workers all together. But in clerical workers, Wooghugi beef-rib tang, Deodeok muchim, spinach namul, beef jangjeorim, fried shrimp were shown to have high preference in physical workers, beef-rib tang, wild onion and shepherd's purses muchim, soybean sprout, fish jeorim, fried sweet potatoes were high preference. 4. Preference of Snacks; The preferences for snacks were high in strawberry (clerical:36.3%, physical:34.3%), milk (49.9%, 44.4%), waxy rice Doek (30.7%, 30.2%), coffee (40.1%, 38.9%) by two groups in same order.

  • PDF

서울 및 안동 일부 지역주민의 식단 조사 -대표식단의 혈당반응 조사를 위한- (The study on Typical Meals Survey in Seoul and Andong Areas -For Investigation of Glycemic Responses to Typical Domestic Meals-)

  • 김명애;윤석권;한민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93-302
    • /
    • 1998
  • 한국인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식단을 알기 위하여 45가지 항목으로 된 설문서를 만들어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자는 20대부터 50대까지 고루 분포하였으며 수입은 100∼200만원의 54%로 중류 생활자가 주로 조사대상이 되었다. 잡곡은 80% 이상의 사람이 이용하였고 10% 미만은 섞거나 먹지 않았으며, 잡곡은 보리와 콩이 주류였고, 가정에서 밥 이외에 먹는 식사로는 비빔밥, 김밥이 많았다. 면류는 라면류와 칼국수를 주로 먹었으며 50% 정도는 약간의 밥을 동시에 섭취하였고, 가정에서 빵류는 식빵을 제일 많이 이용하였다. 국은 약 81% 정도가 자주 먹거나 거의 먹었으며 제일 많이 먹는 국은 채소된장국, 미역국, 쇠고기국 순서였다. 찌개와 국은 87% 정도가 둘 중 하나만 상에 오른다고 하였으며 찌개는 된장찌개, 김치찌개를 많이 이용하였다. 반찬은 3∼4 종류가 제일 많고 제일 자주 먹는 육류는 돼지고기와 쇠고기 구이였다. 생선류는 주로 구워서 제일 많이 섭취하였고, 김치는 99%가 매일 먹으며 가지수는 2가지 종류가 제일 많고, 종류로는 배추김치가 많았다. 나물류로는 콩나물과 숙주나물, 시금치, 쑥갓, 미나리나물을 많이 이용하였다. 외식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은 밥류에서 갈비탕 등의 탕류와 비빔밥, 면류에서 짜장면, 양식에서는 돈까스, 빵류에서는 햄버거가 많이 이용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