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rout vegetabl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5초

메밀 새싹채소의 주요 내재미생물 분석 및 염소처리에 따른 품질변화 (Microbiological Characterization and Chlorine Treatment of Buckwheat Sprouts)

  • 이현희;홍석인;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2-457
    • /
    • 2009
  • 친환경 기능성 채소로서 시장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고품질 새싹채소의 수확 후 미생물 안전관리와 품질유지 유통기술을 개발하고자 메밀 새싹의 내재미생물을 검지하고 살균소독제로서 차아염소산나트륨의 적용 농도별 미생물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메밀 새싹의 주요 내재미생물 균총은 Enterobacter, Sphingomonas, Klebsiella 등이 대부분으로 $10^5-10^7$ CFU/g 수준이었으며, 그 종류는 종자 자체의 내재미생물과 유사하였고, E. coli O157:H7, Sal. Typhimurium, L. monocytogenes 등의 병원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50-150 ppm의 차아염소산염 용액으로 처리한 메밀 새싹의 생균수는 무처리구에 비해 약 1 log cycle 이상 감소하였으나 적용농도에 따른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저온저장 7일 후 관능평가에서 100 ppm 이상의 염소수처리 새싹이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평가되어 적정 농도의 염소수처리가 메밀 새싹채소의 미생물 억제 및 외관품질 유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사 및 분산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진공 건조에 의한 건조복원식품의 품질변화 (The Effect of Far Infrared Ray-Vacuum Drying Having Reflection and Dispersion Functions on the Quality Changes of Dried-Rehydrated Food)

  • 이진원;성기석;박장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8-545
    • /
    • 2012
  • 가공식품 제조 시 건더기 스프 및 조미 식품에 사용되고 채소류를 건조기 내부 반사 분산 기능을 가진 원적외선-진공 건조기와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할 경우, 건조 조건에 따른 갈변도, 색도, 산도 및 pH 변화와 같은 이화학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수화복원성 및 전자현미경 관찰과 같은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총균수 측정에 따른 미생물학적 특성에 대한 건조 채소류들의 품질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채소 원재료의 품질 저하 요소인 색의 변화 및 갈변도의 경우 RD-FRVD를 이용한 경우, HAD를 이용한 경우보다 색 및 갈변 현상이 적게 나타났다. 특히, 숙주의 경우에는 건조 전 상태와 갈변 정도가 크게 다르지 않게 나타났다. 산도 및 pH 측정 결과는 채소류의 수분함량 및 건조방법에 따라서 건조 전 상태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큰 유의차는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저장성을 위한 미생물 사멸 효과 역시 RD-FRVD를 이용하여 건조한 경우 총균수 사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초로 더 많은 건조 방법을 이용하여 원재료 채소 건조 시 품질저하 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건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며, 미생물에 대한 저장 안전성 및 영양성분 손실 최소화를 동시에 나타낼 수 있는 경제성 있는 건조방법이 건조 채소식품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현 식품 업체에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리새싹 함유 녹즙의 항산화력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f Anti-oxidant Analysis to Vegetable Juice Containing Barley Sprouts)

  • 유인식;백청목;정미연;권상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48-253
    • /
    • 2017
  • 본 연구는 보리새싹 함유 녹즙의 항산화력 분석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 하였다. 실험에 사용 된 시료는 충북 진천군 소재의 CSJ 회사로 부터 공급 받아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Polyphenol, Flavonoid 함량 분석결과 어성초발효새싹녹즙은 $1.075{\pm}0.174mg/mL$, $2.736{\pm}0.187\;quercetin\;mg/mL$, 유기민들레는 $1.048{\pm}0.173mg/mL$, $2.685{\pm}0.245\;quercetin\;mg/mL$, 칸앤락 $1.013{\pm}0.083\;mg/mL$, $3.624{\pm}0.237\;quercetin\;mg/mL$, 브로콜리혼합즙은 $1.494{\pm}0.255mg/mL$, $3.826{\pm}0.286\;quercetin\;mg/mL$, 보리새싹은 $1.043{\pm}0.220mg/mL$, $1.990{\pm}0.223\;quercetin\;mg/mL$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검출되었다. 항산화능 실험결과 DPPH에 대한 어성초발효새싹녹즙 전자공여능은 81.97%로 나타났으며, ABTS assay 방법에 의한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브로콜리혼합즙, 어성초발효새싹녹즙, 유기민들레, 칸앤락, 보리새싹 순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Ascorbic acid $100{\mu}g/mL$와 비교할 때 그 효과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통계처리는 SPSS24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였다.(p<0.05) 향후 제품들의 기능성 부재료로 사용하여 제품화하면 건강기능성 음료로서의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단체급식에서 제공되는 콩나물무침 및 야채 salads의 생산단계 및 보관단계에 따른 총 비타민C 함량변화 (A Study on Total Vitamin C Content Changes in Process of Food Products Flow and Holding Time of Cooked Soybean Sprouts and Fresh Vegetable Salads in Food Service Operations)

  • 김혜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7
    • /
    • 199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undamental data to improve meals of the college foodservice operations serving more than 300 meals per day through evaluating changes in; total vitamin C contests, water contents, and pH, in the process of handling such foods as soybean sprout cooked and of fresh vegetable salads. This study, also, tried to identify nutrition reduction, step by step, to minimize nutrition loss. 1. In handing COOKED SOYBEAN SPROUTS, total vitamin C contents were higher after wash(1.54%mg%) than other cooking methods adopted in university meals(1.08mg%), however, total vitamin C contents was significantly lost during boiling step. 2. Significant loss of total vitamin C and water content in the FRESH VEGITABLE SALADS was detected in the process of washing and cutting vegitables. Especially,'cabbage' lost 20% of total vitamin C in the process of 'soaking in water', which was one of preparation process 3. Significant loss of vitamin C was observed after 6 hours of HOLDINC AFTER COOKING but it can be reduced through holding under lower temparature, in case of soybean sprouts and fresh vegitable salads. pH became acidic as holding time expanded. WATER CONTENT of cooked soybean sprouts decreased up to 4 hours holding time, however, it increased when we checked at after 6 hours' of holding time. Water content continuously decreased up to 6 hours of holding time in case of FRESH VESITABLE SALADS with the statistically significance level.

  • PDF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년, 2011년) 자료를 이용한 뇌졸중 유병 경험자들의 과일 및 채소 섭취 관련 요인 분석 (Factors Associated with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f Subjects Having a History of Stroke: Using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2011))

  • 김성제;최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68-478
    • /
    • 2014
  • Objectives: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stroke attack.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status of consuming fruits and vegetables and to find out which factors may influence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in individuals with a history of stroke. Methods: The data of 208 subjects from 5th (2010,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who reported a stroke diagnosis was used for analysis. To identify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 classification-tree analysis was carried out. Results: Among those who reported a stroke diagnosis, the frequencies of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were influenced by their age, place of residence (urban or rural), economic status, educational level, occupation, number of family members, frequency of eating out, and having meals (breakfast or lunch) with family members. Two factors from fruits and three factors from vegetables were genera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es. Urban residents ate fruits and vegetables more frequently in all factors than rural residents. Eating frequencies of 'seasonal fruits (orange, apple, strawberry, melon, pear and watermelon)', 'easily-accessible fruits (persimmon, tangerine, grape, peach, banana)', and 'Western-style vegetables (cabbage, mushroom, carrot, tomato, spinach)' were influenced by the socioeconomic status. Eating frequencies of 'Korean-style vegetables (bean sprout, radish leaves, pumpkin/squash, sea weed)', 'preserved vegetables (Korean cabbage, radish, laver, cucumber)' were influenced by having breakfast with family member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by eating more fruits and vegetables, more preventive effects against secondary stroke attack are expected in stroke patients who live in the rural areas and who do not eat breakfast with family members. In addition, more outreach and education programs are needed for them.

유통중인 즉석섭취 새싹채소와 샐러드의 세균오염 분석 (Analysis of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routs and Fresh-cut Salads in a Market)

  • 강태미;조선경;박지용;송경빈;정명수;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0-494
    • /
    • 2011
  • 즉석섭취편이 식품중 신선편의식품(fresh-cut-vegetable)인 새싹채소와 샐러드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특히 새싹채소의 미생물 품질평가를 위한 자료가 거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국내 대형할인마트에서 유통중인 새싹채소 50제품, 샐러드 30제품을 수집하여 총 호기성균, 대장균군, E. coli, Salmonella spp, S. aureus, B. cereus, L. monocytogenes, Cam. jejuni, C. perfringens의 오염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호기성균은 새싹채소에서는 7.95 log CFU/g 검출되었으며 샐러드에서 평균 6.70 log CFU/g검출되어 샐러드 보다 새싹채소에서 약 1 log CFU/g 더 높게 검출되었다. 대장균군은 새싹채소에서 6.69 log CFU/g 검출되었고 샐러드에서 평균 5.42 log CFU/g 검출되었다. E. coli은 새싹채소 50제품 중 16제품(32%)에서 2.38 log CFU/g으로 검출되었고 샐러드 30제품 중 8제품(27%)에서 2.21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 cereus는 새싹채소 50제품 중 16제품(32%)이 검출되었고 샐러드 30제품 중 16제품(53%)가 검출되었으나 대부분이 3 log CFU/g 이하의 검출율을 보여 주었다. Salmonella, S. aureus, L. monocytogenes, Cam. jejuni, C. perfringens는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분석된 새싹채소와 샐러드에서 B. cereus이외에 다른 식중독 병원성 미생물의 위해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총 세균수가 높게 검출되었고 위생지표세균인 대장균의 검출율이 높아서 이들 식품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보다 더 철저한 생산유통관리가 요망되며 특별히 새싹채소에 대한 미생물안전성 확보에 대한 노력이 요구된다.

땅콩나물용 품종선발과 고함량 레스베라트롤 생육단계 구명 (Cultivar Selection for Peanut Sprouts and Investigation on the Growth Stage for the High Level of Resveratrol)

  • 박은지;이규빈;허유;손병구;최영환;이용재;박영훈;임채신;강점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3-68
    • /
    • 2015
  • 땅콩나물의 재배에 적합한 온도와 품종, 그리고 최적 레스베라트롤 생산을 위한 생육단계를 구명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땅콩나물용 적정품종을 선발하고자 8가지 국내외 육성품종의 외형적 특징, 발아율, 발아세, 유묘활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세근 발생량이 낮고 하배축이 굵은 '조평'이 가장 적절하였고, 땅콩나물 재배에 적합한 온도는 $27^{\circ}C$로 판단되었다.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높은 땅콩나물의 적정 생육시기를 구명하고자 치상 후 생육조사와 동시에 HPLC를 이용한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조사한 결과 레스베라트롤은 치상 후 9일차에 $17.0{\mu}g/g$ 이상의 높은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땅콩나물은 생산적 측면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고려했을 때 치상 후 9일차에 땅콩나물을 수확하는 것이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몇 가지 LED가 유채의 종자발아, 초기 생장 및 생리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LEDs on the Seed Germination, Growth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Rape (Brassica napus) Sprout Vegetable)

  • 조자용;손동모;김종만;서범석;양승렬;김병운;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04-309
    • /
    • 2008
  • 유채의 새싹 발아와 생리활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LED 광질 종류를 구명하기 위해 청색, 녹색, 적색, 백색, 황색, 적색+청색광을 발광 14시간, 암조건 10시간, 주간 $25^{\circ}C$, 야간 $18^{\circ}C$로 조절하여 종자 발아와 새싹을 생장을 시켰다. 생리활성 조사는 새싹을 메탄올로 추출한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종자 발아율과 발아속도는 광질에 관계없이 3일 만에 100% 발아 되었다. 파종 후 6일째의 신선중은 녹색광과 백색광에서 각각 0.339g/10plants 및 0.339g/10plants로 높았다. 새싹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색광과 백색광 처리구에서 각각 72.5 및 70.9mg${\cdot}L^{-1}$로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2,000mg${\cdot}L^{-1}$일때 청색광과 백색광 처리구에서 각각 90.0 및 90.3%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적색광 처리구에서 57.4mg${\cdot}L^{-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녹색광 처리구에서 22.5mg${\cdot}L^{-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페놀화합물 처리 Agrobacterium 및 세포벽 약화 들깨새싹을 이용한 형질전환과 재조합 단백질 발현 (Transformation of Cell Wall-weakened Perilla Seedlings Using Phenolic Compound-treated Agrobacterium Cells and Recombinant Protein Expression)

  • 정일경;신동일;박희성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98-601
    • /
    • 2009
  • 들깨묘는 재배가 용이하며 건강채소로 애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아 후 2일째의 들깨묘에 대하여 세포 상해를 일으킬 수 있는 NaOH/SDS 용액을 처리하고 페놀 화합물을 처리한 재조합 Agrobacterium 세포를 이용하여 형질 전환을 수행하였다. 형광분석에 의한 GUS 유전자발현 분석에서 50 mM acetosyringone 처리 및 0.5% NaOH /0.01% SDS 처리의 복합처리에 의하여 가장 높은 GUS활성이 나타났으며 상승효과를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hepatitis B virus antigen (HBsAg) 단백질 발현으로 성공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항산화식품을 이용한 노인 급식 식단 작성 및 만족도 평가 -서울 일부 60세 이상 성인 및 노인을 대상으로- (Evaluation of Menus Using Antioxidant-Rich Foods at a Congregate Meal Program for the Korean Elderly)

  • 박선주;이해정;최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761-770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lan a 5-day menu using antioxidant-rich foods (vitamin A. vitamin C, vitamin E, phytochemicals) for a congregate meal program for the elderly and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menus. The elderly participated in the congregate meal program at Guro Elderly Welfare Facility during October, 2003 (120 persons / day). The elderly liked yungyangbab, cooked rice with sweet potato and pumpkin, soybean paste soup with chinese cabbage, pan-fried cuttlefish patty with chopped soybean sprout, pan-fried beef patty with tofu and ginseng, fresh vegetable salad and most of desserts. The leftovers of menu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tisfaction of menus. The 5-day menu contained over 1/3 of K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except fiber calcium, vitamin K and vitamin E. In conclusion, menus using antioxidant-rich foods for a congregate meal program for the elderly will improve nutrient intakes and satisfaction of the meal program. It may help to prevent chronic diseases and improve healthy lives of the Korean elderly.